• 제목/요약/키워드: Fomitella fraxinea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암전이 억제물질 개발을 위한 혈관신생 억제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mushroom having anti-angiogenic activity for development of new cancer metastasis Inhibitor)

  • 정승찬;김재호;박정식;이종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47
    • /
    • 2003
  •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암전이 억제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7종 52균주의 자실체 (또는 균사체)에 대한 다양한 추출물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암전이 억제에 관련된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수정란을 이용하여 Choriollantoic membrane (CAM) assay로 조사하였다. 7종 52균주의 버섯에 대한 물,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 중에서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 ASI 17003과 17009의 물 추출물과 비늘버섯(Pholiota sp.) ASI 24008과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ASI 9017의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ASI 74012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10{\mu}g/egg$농도일 때 62.5%~68.8%의 높은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추출 수율과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비늘버섯 ASI 24008을 혈관신생 억제효과 우수버섯으로 최종 선정하여 현재 이들의 암전이 억제 기작 규명을 위한 정제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 PDF

목재부후성 담자균류 배양균사체의 생물활성 연구 -항균활성, 식물생장조절활성, 항암활성, 효소활성탐색- (Biological Activities of Culture Broth of Some Wood Rotting Basidiomycetes -Antimicrobial, plant growth regulatory, antitumor, and enzymatic activities-)

  • 조수묵;유승헌;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17-24
    • /
    • 1996
  • 목재부후성 담자균류의 배양 균사체의 생물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균활성, 식물생장조절활성, 항암활성 및 그들이 생산하는 효소활성을 검정한 결과 Coriozus versicolor 5129와 C. pubescens 5131 균주는 그람양성세균에, Lenzites betulina 8029 균주는 그람음성세균에 저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 betulina 8085 균주는 세균과 진균에 저지 효과를 나타내어 광범위한 항균 spectrum을 보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0.8ml/ml 농도 처리시 배추 및 무의 발아 및 생장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Fomitopsis pinicolor 8059와 Fomitella fraxinea 8084 균주의 경우 생육을 장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Bjerkandera adusta 8054 균주는 0.4 및 0.2ml/ml농도에서 배추 및 무의 생육을 촉진하였다. 몇종의 목재부후균 다당체를 추출하여 암세포를 이식한 ICR mouse에 투여한 결과 거의 전 균주가 항종양 작용을 나타내었으나 버섯종류 간에 큰 차이를 보였고 그중 L. betulina 8029와 미분류된 8058 균주는 효과가 비교적 높았다. 목재부후균의 세룰로스와 리그닌 분해력은 거의 전 공시균주에서 나타났고 종류간에 역가가 다양하여 강력한 분해균의 선발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장수버섯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mitella fraxinea (Fr.) Imaz.)

  • 장현유;차동열;강안석;홍인표;김광포;석순자;유영진;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38-245
    • /
    • 1995
  • 장수버섯의 배양적특징(培養的特徵) 및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우수(優秀)한 배지(培地)는 CDA배지(培地)였으며, 최적온도(最適溫度)는 $30^{\circ}C$, pH는 6.0이었다. 탄소원(炭素源)은 단당류(單糖類)인 glucose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cellobiose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질소원(窒素源)은 arginine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C/N 첨가비(添加比)는 glucose 3%, arginine 0.25%인 C/N비(比) 12에서 가장 적합(適合)했다. 유기산(有機酸)은 succinic acid, vitamin은 thiamine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인공재배(人工栽培)를 위한 종균제조시(種菌製造時) 가장 적합(適合)한 것은 참나무 톱밥에 첨가재(添加材)로 미강(米糠)을 20%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이었으며, 톱밥재배시(栽培時) 수량(收量)은 참나무, 아카시나무 순(順)으로 높았다.

  • PDF

Biological Detoxification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by Mushroom Species

  • Choi, Han-Seok;Kim, Myung-Kon;Park, Hyo-Suk;Yun, Sei-Eok;Mun, Sung-Phil;Kim, Jae-Sung;Sapkota, Kumar;Kim, Seung;Kim, Tae-Young;Kim, Sung-J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35-942
    • /
    • 2007
  • The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RVSB) has been used in herbal medicine to treat diabetes mellitus and stomach ailments for thousands of years in Korea, despite its content of the plant allergen, urushiol. A new biological approach for the removal of urushiol from RVSB using mushrooms is described. All mushroom species (11 sp.) employed in this study were able to grow on RVSB, although the growth rate (mm/day) was lower than the control (sawdust). The components of urushiol congeners [C15 triene (m/z 314), C15 diene (m/z 316), C15 monoene (m/z 318), and C15 saturated (m/z 320)] were purified by HPLC and identified by GC-MS. A C15:3 (3-pentadecatrienly catechol) was found to be most abundant in RVSB. Urushiol analogues decreased remarkably from 154.15 to 10.73 mg/100 g (approximately 93%) by Fomitella fraxinea, whereas Trametes vercicolor showed only a 1.46% degradation capacity despite its 2 fold higher growth rate. Similarly, laccase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 for F. fraxinea and low for T. vercicolor. Moreover, approximately 98% detoxification was accomplished by F. fraxinea cultivated on RVSB supplemented with 20%(w/w) rice br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hrooms can be used in the detoxification of RVSB.

Antioxidant Activity of Ergosterol Peroxide (5,8-Epidioxy-$5\alpha,8\alpha$-ergosta-6,22E-dien-3$\beta$-ol) in Armillariella mellea

  • 김상욱;박상신;민태진;유국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7호
    • /
    • pp.819-823
    • /
    • 1999
  •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mushroom fruiting bodies were investigated in vitro. Among the mushroom extracts examined, Armillariella mellea, Daedalea dickinsi, Fomitella fraxinea and Pleurotus cornusopiae markedly exhibited inhibition on lipid peroxidaton of rat liver microsomes. Ergosterol peroxide (5,8-epidioxy-5α,8α-ergosta-6,22E-dien-3β-ol), antioxidant from A. mellea, was isolated by solvent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ation.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determined by NMR, GC/MS and X-ray crystallography. Ergosterol peroxide showed potent inhibition on lipid peroxidation and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well-known antioxidants, α-tocopherol and thiourea.

장수버섯 균사체가 배양된 옻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hus verniciflua Stem Bark Cultured with Fomitella fraxinea)

  • 최한석;김보현;여수환;정석태;최지호;박효숙;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2-178
    • /
    • 2010
  • 옻피의 일반성분은 수분 1.64%, 지방 8.09%, 단백질 7.28%, 회분 6.48%, 당류 5.39%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장수버섯을 증식시킨 옻나무 껍질은 각각 7.64%, 3.86%, 3.59%, 6.30%, 불검출 이었다. 배양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7.41mg%으로 대조구(71.91 mg%)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 phosphoserine(55.06 mg%), ammonia(17.84 mg%), aspartic acid (6.05 mg%)가 주요 유리아미노산 이었다. 배양물의 총 phenolic acid함량은 422.89 ppm/283.86 ppm(알코올/물 추출물)이었으며 syringic acid와 gall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고 vanillic, protocatechuic acid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항산화활성(DPPH, $IC_{50}$)은 $28.54\;{\mu}g/54.70\;{\mu}g$ (알코올/물 추출물)으로 gallic acid가($IC_{50}\;1.84\;{\mu}g$) 주요 영향 요소이었다. 배양물의 NIH3T3세포에 세포독성($IC_{50}$)은 알코올 추출물 $50\;{\mu}g/200\;{\mu}L$, 물 추출물 $90\;{\mu}g/200\;{\mu}L$이었으며 UV조사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stress에 대하여 $20-25\;{\mu}g/200\;{\mu}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배양물의 물 추출은 전구지방세포(3T3-L1)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10\;{\mu}g/200\;{\mu}L$의 농도에서 가장높았다.

장수버섯 배양으로 제조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 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Growth and Enzyme Activity of Soybean Product-fermenting Microorganisms)

  • 최한석;여수환;정석태;최지호;강지은;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35-243
    • /
    • 2012
  • 옻의 장류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장류발효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발효옻 알코올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열수 추출물은 Bacillus 속과 Z. rouxii를 포함한 젖산균, 효모, 대장균에 항균활성이 없었다. 발효 옻 열수 추출물은 L. plantarum, L. mesenteroides, S. cerevisiae의 균체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acillus속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B. licheniformis, B. sutilis의 균체를 1.3-4.5배 증가시켰다. 그러나 Z. rouxii는 균체량을 감소시켰으며 유해 미생물인 B. cereus와 E. coli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옻 열수 추출물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가 생산하는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을 큰 폭으로 증가시켰으며, amylase는 B. licheniformis 11052P 균주에서 protease는 B. subtilis 10854에서 그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방 및 cellulose 분해활성은 B. licheniformis와 B. subtilis의 모든 균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곡물별 담자균 배양물의 효소활성 (Enzyme activity of Basidiomycetes products in each cereals)

  • 박효숙;김보현;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2-108
    • /
    • 2010
  • 본 연구는 곡류별 버섯 균사체의 성장률과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현맥 배양물이 다른 곡류와 비교했을때 균사체 성장 속도가 빨랐다. 효소 활성은 기간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alpha}$-amylase 효소 활성은 느타리와 상황버섯균이 우수하였으며, ${\beta}$-amylase활성은 느타리와 장수버섯균이 우수하였다. Protease활성은 상황버섯균을 제외하고는 곡물에 관계없이 비교적 고른 생산을 보였다. 담자균 배양에 의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 PDF

버섯류로부터 혈소판 응집억제물질과 혈전용해물질의 탐색 (Detec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and Fibrinolytic Substances from Mushrooms)

  • 박정식;현광욱;서승보;조수묵;유창현;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116
    • /
    • 2003
  • 농업과학기술원에서 분양 받은 52종의 버섯류의 자실체와 균사체들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혈소판 응집억제 활성과 혈전용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차가버섯 ASI 74006 균사체의 에탄올 추출물이 81.2%로 가장 높은 ADP 유도 혈소판 응집 억제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은 장수버섯 자실체 에탄올 추출물들이 높았다. 그리고 혈전용해활성은 신령버섯 ASI 1174 균사체의 에탄올 추출물이 9.6 unit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버섯류는 대체로 낮았다.

장수버섯 배양법에 의해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된장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rushiol-Fre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 최한석;정석태;최지호;강지은;김유진;노종민;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4-253
    • /
    • 2012
  • 된장제조공정에 발효옻 추출물을 첨가하고 염수발효기간 동안의 미생물, 효소활성,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일반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수발효 42일 경과 후 추출물 첨가군(0.7%, 2.0%, 5.0%, 10.0%, w/v)의 염수 중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88.3, 4634.7, 2982.7, 5070.6 mg/100 mL로 대조군 보다 각각 1.3, 2.8, 1.8, 3.1배 높게 나타났다. 염수를 걸러낸 된장의 미생물 분포는 일반세균 $0.3-12.0{\times}10^8$, 곰팡이 $3.0-21.0{\times}10^4$, 효모 $1.0-2.0{\times}10^4$, 대장균 불검출, B. cereus $3.0-25.0{\times}10^2$ cfu/g으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일반세균과 곰팡이의 생균수가 1 log cycle 범위 내에서 변하였을 뿐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발효옻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skim milk 분해활성은 13.8-26.0%, starch 분해활성은 16.1-35.1%, acidic protease의 활성은 1.8-2.5배, 1.9, a-amylase의 효소활성은 6.4-7.0배 증가되었다. 발효옻 추출물이 첨가된 된장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855.97, 1899.01, 1675.03, 1733.07 mg%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1.4-3.0배 상승하였으며,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citrulline,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val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다. 유기산은 lactic, acetic, pyroglutam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다. 일반성분은 pH, 수분, 회분, 염도,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