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tropin-V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한우에 있어서 PEG에 용해시킨 Folltropin-V의 1회 피하주사에 의한 다배란 유기 (Superovulation in Korea Cattle with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Folltropin-V Dissolved in Polyethyleneglycol)

  • 임석기;우제석;전기준;장선식;강수원;윤상기;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7-212
    • /
    • 1998
  • 본 연구는 한우에 있어서 다배란처리에 의한 체내 정상수정란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PEG에 용해한 FSH의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1일 2회 4일간 근육 주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회 근육주사 방법과 비교하여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황체수, 총 회수란수 및 이식가능 수정란수에 있어서 현저히 증가 (P〈0.05)하였다. 따라서 한우에 있어서 PEG에 용해시킨 Folltropin-V의 1회 피하주사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젖소 과배란 처리시 PEG(Polyethylene Glycol) 처리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G on Embryo Production in Superovulated Hostein Cows)

  • 최선호;류일선;한만희;조상래;최창용;김현종;손동수;김영근;이종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7-322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젖소에 있어서 PEG를 이용하여 과배란 처리기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선자극호르몬의 처리 방법에 따른 황체반응은 Folltropin 단독처리시 $5.8\%$, Folltropin+EB는 $20.6\%$, Folltropin+PEG는 $24.0\%$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2. 성선자극호르몬의 처리 방법에 따른 이식 가능 수정란 수에 미치는 영향은 Folltropin V 단독처리시 3.6개, Folltropin +EB 처리시 3.3개, Folltropin +PEG 8,000 처리시 2.8개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1). 3. 성선자극호르몬의 처리방법에 따른 퇴행란과 미수정 란 Folltropin+EB와 Folltropin+PEG 처리구에서 Folltropin 단독처리보다 많이 회수되었으며,배반포 수정란의 수에 있어서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임의의 발정주기에 CIDR 삽입후 Folltropin의 1일 2회 4일간의 분할 투여법 뿐만 아니라 Folltropin을 PEG로 용해하여 1회 투여법을 이용한 과배란 처리기법도 젖소 공란우에서 수정란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토끼에서 FSH제의 Single Injection에 따른 과배란유기 효과 (Superovulation in Rabbits with a Single Injection of FSH Dissolved in Polyvinylpyrrolidone)

  • 최상용;노규진;최창용;강태영;윤희준;손우진;이효종;박충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1-216
    • /
    • 1996
  •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single dose of FSH as an effective superovulation method in rabbits. The superovulation treatments examined comparatively were as follows: 1) a single injection of 100 IU PMSG, 2) Multiple injections of 1 IU Super-OV of 2X daily for 3 days, 3) Multiple injections of 6.6 rng Folltropin-V 2X daily for 3 days, 4) Multiple injections of 13.3 rng Folltropn-V l$\times$ daily for 3 days, 5)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solved in 10% PVP, and 6)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nurnher of ovulation points in the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and multiple injections of 6.6 mg Folltropin-V 2X daily for 3 days was averaged 44.6 and 39.2,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more than in a single dose of PMSG or multiple doses of Super-OV. The number of total ova recovered in the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and multiple injections of 6.6 mg Folltropin-V 2X daily for 3 days was averaged 30.4 and 25.9,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more than in the single dose of PMSG or multiple doses of Super-OV.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for the number of fertilized ova recovered from the above six treatment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could be an effective and simple method for superovulation in rabbits.

  • PDF

Successful Superovulation and Recovery of Embryos in Repeat Breeding Crossbred Cows

  • Zawar, Shyam;Mishra, U.K.;Gaswade, P.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5-238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possibilities for superovulation and recovery of freezable/transferable embryo from repeat breeding crossbred cows. For this study a total of 10 Holstein crossbred cows having history of failure of conception even after more than 4~5inseminations were taken and superovulated using Folltropin-V at 100 to 140% dose schedu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out of 10 donors, 8 responded to superovulatory treatment and yielding a total of 94 embryos, out of which 45 were of transferable/freezable quality. The mean ovulations and mean transferable embryos were 11.5$\pm$2.91 and 4.5$\pm$1.66, respectively. These observations suggests that the repeat breeding cows having conception failure after several artificial inseminations can be used as donors for production of embryos and calves through embryo transfer technology.

Effect of Bovine Somatotropin (bST) Treatment on Progesteron Concentration and Pregnancy Rate in Hanwoo

  • S. H. Jung;Lee, J. W.;B. H. Son;I. H. Bae;S. G. Cho;I. K. Kong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14-1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bST treatment on progesteron concentration, embryo recovery and pregnancy rate following embryo transfer. Donor cows were superovulated with Folltropin-V and PGF₂ α combination method and then inseminated with frozen semen 3 times 12 hrs interval. Donor and recipient cows were assigned to control and bST group, of which was given a single injection of bST (500 ㎎, sc) at insemination or estrus detection. Embryo collection of superovulated cows were flushed nonsurgical method at 7 to 8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omitted)

  • PDF

한우에서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수정란 채란 가능성 : 사례보고 (Possibility of Embryo Collection by Repeatable Superovulation in Hanwoo : Case Report)

  • 공일근;정세환;손병훈;이정우;정수룡;오인석;정경일;황금영;배인휴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
    • /
    • 2002
  • 본 연구는 고능력 한우 공란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복 과배란처리가 수정란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공란우의 선발은 DNA marker에 의한 고급육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F_2$$\alpha$를 병용 처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고, FSH 처리 6회째 PG$F_2$$\alpha$를 처리하여 발정을 유도하였다. 발정유도된 공란우의 수정은 12시간 간격으로 3회, 1회당 2 straw식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 후 7~8일째 비외과적인 관류방법으로 채란하여 이식 가능란 또는 비정상란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식 가능한 수정란은 발정동기화된 수란우에 수정란이식을 실시 하였다. 고능력 한우 공란우로부터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체내수정란 회수는 1차부터 5차에 걸쳐 각각 14, 4, 10, 6, 9개(계 43개)의 수정란이 회수되었고 이식 가능 수정란은 각각 7, 4, 10, 3, 6개(계 30개, 평균 6.0$\pm$2.7개)가 회수되었다. 채란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은 총 24개의 수정란을 17두에 이식하여 10두가 임신됨으로써 58.8%의 수태율을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급육 한우 또는 고능력 젖소 공란우를 이용한 반복적인 과배란 처리에 의한 수정란의 태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능력 공란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면 수정란이식의 산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에서 체내수정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in Hanwoo)

  • 임석기;전기준;박수봉;우제석;최재관;연성흠;윤상보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1-19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ective embryo production system by analyzing several factors ifluencing in vivo embryo production in Hanwo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number of total, fertilized and transferble embryos by gonadotropin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MSG, FSH and FSH+PMSH. 2. The numbers of recovered and transferable embryos by type of FSH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FSH-P and FOLLTROPIN-V but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UPER-OV(p<0.01). 3. The numbers of recovered and transferable embryos by age of donor were highest in 5 years old. 4. The recovere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was highest in the cows at the 1 st and 3rd parity but significantly lower in hifers and the cows at more than 6th parities(p<0.01). 5. The numbers of trasferable embryos by postparient were more<270 days than > 270 days in significant difference(p<0.01). 6. Embryo production after treatment of repeated super ovul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7. Recovered and trasferable embryos production after treatment of repeated super ovulation interval was highest 81∼100 days and significant difference(p<0.01). 8. The numbers of recovered and transferable embryos by season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 PDF

한우의 생식세포 보존에 관한 연구 II. PEG 30% FSH 투여가 한우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eservation of Germ Cells in Hanwoo II. Effects of In Vivo Embryos Production by PEG 30% FSH in Hanwoo)

  • 이명식;박정준;전기준;정영훈;우제석;박수봉;임석기;연성흠;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1-156
    • /
    • 2003
  • 한우의 수정란을 보존하기 위하여 고급육계통과 다유계통의 공란우를 선발하여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 황체수에 대한 채란된 수정란의 수 그리고 채란 수정란수에 대한 이식가능한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유계통의 공란우는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 고급육 계통의 공란우는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의 종빈우를 선발하였다. 과배란처리 방법은 발정후 11일차에 PEG 30% FSH를 견갑부에 피하주사로 1회 투여하고 13일차에 PGF$_2$a 25mg을 투여하였으며 15일차와 16일차에 각각 2회씩 인공수정하였고 23일차에 채란하였다.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은 좌측난소가 47.1% (242/513), 우측난소가 52.8%(271/513)로써 우측의 반응이 좋게 나타났고 황체의 반응과 비교하여 채란된 수정란의 회수율은 79.9%(410/513)로 나타났다. 회수된 수정란 중에서 이식이 가능한 수정란은 86.5%(355/410)이었고 수정란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상실배는 61.6%(219/355), 배반포는 38.3%(136/355)로 나타났으며 두당 이식가능한 생산수는 6.4개였다.

유우의 과배란 처리에 있어서 산유량, 분만 후 처리시기 및 계절이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duction, Postparient Days or Season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by Superovulation in Holstein Cows)

  • 임광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3-37
    • /
    • 2009
  • 본 연구는 고능력 유우 공란우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체내 수정란 생산을 위한 다배란 처리의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다배란 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란우의 다배란 처리는 발정 주기 $10{\sim}13$일째 POLLTROPIN-V(Vetrepharm, Canada) 400mg NIH-FSH-P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감량법에 따라서 주사를 하였다. 호르몬 주사 6, 7회 째 황체 융해 및 발정 유도를 위하여 $PGF_2{\alpha}$(Estron, Czech Republic)를 근육 주사하였으며, 승가 허용 발정을 보인 공란우는 발정으로부터 12h, 24h에 2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발정으로부터 7.5일에 실시하여 전체 회수 수정란 중에서 이식가능 수정란을 구별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생 산량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 분만 후 경과 일수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분만 후 $61{\sim}90$일이나 $121{\sim}150$일 사이에 채란을 실시한 경우가 분만 후 $91{\sim}120$일 혹은 151일 이상에서 채란한 경우보다 낮았으나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 계절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다른 계절과 비교하여 여름철에 가장 낮았으나 계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능력 유우 공란우를 다배란 처리 할 때는 유생산량이나 분만 후 경과 일수 혹은 계절에 관계없이 채란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