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in-ciocalteu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다양한 페놀성 물질과 Folin-Ciocalteu 시약과의 반응성에 미치는 단백질의 영향 (Effects of Proteins on the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 박경아;최유미;강스미;김미리;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9-305
    • /
    • 2015
  •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 등의 페놀성 성분 함량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Folin-Denis 정량반응에서 단백질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SA와 SMP는 Folin-Denis 페놀정량반응에서 농도의존적인 발색반응을 나타내었고 BSA가 SMP보다 더 민감한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SA는 각종 페놀성 물질과 같이 존재할 경우 페놀성 물질 자체에 의한 발색도 이하로 반응성을 감소시켰으며, 0.25보다 0.5 mg/mL의 BSA 농도에서 더 저하된 발색도를 유도하였다. BSA에 의한 서로 다른 페놀성 물질 간의 반응성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SiA, Ctc, 및 EGCG 등에서 물질 당량 당 흡광도 증가의 기울기가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다. 이들은 BSA가 없을 때에 비해 0.25와 0.5 mg/mL BSA 존재 시 각각 80%대 및 70%대의 기울기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페놀성 화합물들의 산화를 유도하여 F-C시약과 반응시킨 결과, TA, GA 및 EGCG에서 반응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BSA 존재 시 이들 산화물의 상대적 발색도는 산화시간의 증가 및 BSA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SA의 형광강도가 TA, EGCG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BSA에 의한 페놀성 물질의 F-C시약과의 반응성 감소는 페놀성 물질과 BSA의 결합특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는 단백질이 페놀성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들의 정량에 간섭할 뿐만 아니라 페놀성 물질의 다양한 생리활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시사하며, 보다 정확한 기작검토를 위하여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페놀성 물질과 Folin-Ciocalteu 시약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평가 (Factors Affecting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 홍정일;김현정;김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5-2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F-C시약을 이용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에서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성분들의 반응특성 및 반응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정량방법 중 $Na_2CO_3$를 선처리는 F-C시약을 먼저 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대부분 페놀성 물질들의 발색반응도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OH 밀도가 높은 galloyl group을 가진 gallic acid 및 EGCG 등의 성분이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F-C시약과 $Na_2CO_3$를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F-C시약을 선처리 하는 경우에 비해 각 페놀성 물질의 반응성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원인은 페놀성 물질들이 산성인 F-C시약에서보다 $Na_2CO_3$ 용액의 알칼리 환경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며, pH 7.4 및 9의 환경에서 페놀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산화물들은 F-C시약과의 반응성이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중에 같이 형성된 $H_2O_2$는 F-C와의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eA와 SiA와 같은 monophenol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큰 반응성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발색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kinetics 패턴을 보였다. 실제 시료에의 적용을 위해 연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정량방법에 대한 반응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역시 $Na_2CO_3$ 처리환경에서 현저한 발색반응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보다 정확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을 위해 적절한 표준물질의 선택 및 정량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리포좀 제제 중 렉틴-엘라지탄닌 포합체의 분석법 확립 (Assay Method for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Encapsulated in Liposomal Formulations)

  • 전현주;최영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3호
    • /
    • pp.197-200
    • /
    • 2001
  • Lectin-conjugated ellagitannin (LET), a newly introduced melanoma-specific antitumor agent which has been synthesized by conjugation of wheat germ agglutinin as a lectin with praecoxin A as an ellagitannin, was encapsulated into sterically stabilized liposomes (SSL). Modified Folin phenol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on of LET contents in liposomal formulations protein employing the standard calibration curve with bovine serum albumin. After removal of phospholipid by organic solvent extraction, which interferes the specific selectivity of the Folin-Ciocalteu reagent with the protein, recovery of LET was $94.5{\pm}2.3%$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was revealed as $37.8{\pm}5.9%$ for 2.5 mg/ml LET solution.

  • PD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ves and Bark Extract of Adenanthera pavonina L.

  • Agustin Yumita;Endang Hanani;Anis Agustina;Feni Damayanti;Kadek Niti Priani;Sya'idah Nur Fadil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24-30
    • /
    • 2023
  • Adenanthera pavonina L.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for Indonesian traditional medicine ("Jamu").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phenolic content and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yl acetate and ethanolic extracts of leaves and bark of A. pavonina. The total phenolic content was determined using the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performed by phosphomolybdate assay, through EC50 values.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81.379 mg GAE/g) was found in the hydro-ethanolic extract of the leaves and (80.630 mg GAE/g) in the bark.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two samples was 42.270 ㎍/mL (leaves) and 45.261 ㎍/mL (bark). Plants have the potential as drugs with good antioxidant potential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 Further scientific studies of this plant are suppor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other methods to validate these preliminary experiments properly.

Phytochemical constituent, percentage yield and phenolic content estimation of different solvent system of Carica papaya leaves

  • Sheneni, Victor Duniya;Usman, Oman Salifu;Musa, Quasim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17-23
    • /
    • 2018
  • Carica papaya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used in the management of different disease conditions. Phytochemical screening was carried out using different chemical test, Percentage yield and total phenolic content was evaluated using Folin Ciocalteu method in different solvent system;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n-butanol and n-hexane respectively. The phytochemical screening of the studies showed the presence of flavonoids, saponins, tannins, terpenoids, glycosides, steroids, carbonhydrate, anthraquinone and alkaloids. The percentage yield of crude extrac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 in methanol, ethanol and ethyl acetate when compared with n-butanol and n-hexane. The studies show that Carica papaya leave extracts is a potent source of secondary metabolites. The use of the plant in the management of diseases is justified.

TLC에 의한 한국산 인삼과 서양상 페놀성 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Phenolic Compone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ginsengs by Thin-Layer Chromatography)

  • 위재준;신지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91-95
    • /
    • 1998
  • The distribution of phenolic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KG) and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AG) were compar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Silica gel TLC gave 3~4 spots, while $NH_2$ HPTLC 5~6 spots, which were colored by both $FeCl_3$/$K_3Fe(CN)_6$ and Folin-Ciocalteu. The distribution of phenolic components was quite different between KG and AG. Especially, a polyphenol (m.w. 578), which had been isolated from KG by the author, was not found in AG.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olyphenol could be used as an index compound for the differentiation of KG from AG.

  • PDF

Poly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Underutilized Grape (Vitis vinifera L.) Pomace Extracts

  • Kabir, Faisal;Sultana, Mosammad Shahin;Kurnianta, Her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210-214
    • /
    • 2015
  • Grape pomace is an abundant source of underutilized winery by-products. Polyphenols were extracted from grape pomace using cellulase and gluco-amylase enzym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Folin-Ciocalteu's assays were used to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Both cellulase, and gluco-amylase digested grape pomace showed effici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ddition,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cellulase digested grape pomace showed lower concentrations were effective compared to higher concentrations, whereas glucoamylase enzyme did not show remarkable variation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ellulase digested grape pomace compared to the gluco-amylase digested and the not digested grape pomace. It is notable that enzymatic digestions were efficient for extracting polyphenols from grape pomace. The underutilized grape pomace polyphenols can be further used for food safety as a natural antioxidant.

채소류의 항산화 효과 비교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Various Vegetables)

  • 서정혁;백옥진;강영운;안지은;윤지숙;오금순;안영순;박선희;이상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7-341
    • /
    • 2013
  • 항산화 기능은 암이나 심혈관질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다양한 식물들에 대해서 항산화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채소류에 대해서는 항산화 효과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아 단지 몇몇 천연 항산화제만이 식품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산업에서 다양한 천연 항산화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채소류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여 채소류 중 항산화 효과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4 품목의 채소류를 대상으로 총 275개의 시료를 구입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TPCs)은 gallic acid를 대조 표준용액으로 Folin-Ciocalteu 시약을 사용하여 비색법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은 $IC_{50}$(DPPH 라디칼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추출물의 농도) 농도로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여러가지 채소류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0.32{\sim}49.26{\mu}g/kg$였으며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은 0.0~2.43 mg/mL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채소류 중 항산화 효과가 가장 좋은 채소는 2가지 항산화 측정 방법에서 모두 마늘이였다.

니파팜, 몰로키아, 핑거루트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분석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Nipa Palm, Molokhia, and Finger Root for Cosmetic Ingredients)

  • 전유진;이소현;허소정;진병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21-829
    • /
    • 2019
  • 본 연구는 니파팜(nipa palm), 몰로키아(molokhia) 및 핑거루트(finger root) 추출물들이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활성원료로 적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물들은 에탄올로 가열 환류,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해 얻어졌다. 적분구가 장착된 UV-vis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 및 차단 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실험을 통해, 추출물 간의 항산화 활성 및 그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Ciocalteu시약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황색포도상구균(그람양성)과 대장균(그람음성)에 대한 디스크 확산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 분석시험을 통해 추출물의 주름방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에서 니파팜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주름 방지제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선 스크린제 및 항균제로 화장품에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Effective Extraction of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 from Wild Grape Seeds

  • Huh Yun Suk;Hong Tae Hee;Hong Won H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6호
    • /
    • pp.471-475
    • /
    • 2004
  • The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 in green and black tea, grape seeds, grapes and wine has raised much attention but that OPC in wild grape seed remains to be intens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tal OPC content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grape seeds and developed an efficient extraction process with various temperatures, solvent compositions and times. Also, a chromatography column packed with the Dia-ion HP-20 resin was used for further purification of the ope. The total OPC contents were determined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total antioxidant potential (TAP) and 1,1-dipheny|-2picrylhydrazy| (DPPH). The yield of final purified OPC was 1.78 (+)-catechin equivalent (CE) g/100 g, with $IC_{50}$ activities of TAP and DPPH of 31.60 and $15.70\;{\mu}\;g/mL$. These activi­ties of the final purified OPC were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HA used as a refer­ence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