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able composite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초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N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S)

  • 이선영;양연미;백병주;전철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3-599
    • /
    • 2003
  • 치과의 수복재로 널리 쓰이는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대한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의 영향을 비교하고, 유동성 복합레진과 할로겐광으로도 중합시간이 20초로 단축된 복합레진 $Filtek^{TM}$ Z250이 미세누출면에서 기존에 널리 쓰이던 복합레진인 Z100을 대체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며, 미세누출에 미치는 adhesive resi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레진의 충전은 각 군에 따라 시행하였다. 유동성복합레진 $Filtek^{TM}Flow$와 Z100, $Filtek^{TM}Z250$을 이용하였고,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편은 보관, 연마, 열순환을 시행하고, 1% methylene blue를 침투시킨 후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iltek^{TM}Flow$$Filtek^{TM}Z250$ 모두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2.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Flow$는 복합레진 $Filtek^{TM}Z250$과 Z10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큰 미세누출을 보여(p<0.05) 유동성 복합레진만으로 수복한다면 미세누출의 위험이 커질 것이다. 3. Adhesive resin을 도포한 것이 할로겐광을 이용한 경우와 플라즈마광을 이용한 경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세누출을 감소시켰다.(p<0.05)

  • PDF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 복합 레진의 미세 경도 및 표면 조도의 비교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SEALANT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 양규호;최남기;김선미;최지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40-447
    • /
    • 2009
  • 본 연구는 예방적 레진 수복술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소와열구 전색제를 대신하여, 유동성 복합 레진이 사용될 경우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직경 10 mm, 높이 3 mm인 11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기(FM-7, FUTURE-TEC Inc., Japan)를 이용하여 압입하중 50 gf, 유지시간 15초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여 각 군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표면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칫솔마모시험기(Toothbrush abrasive machine K236, Tokyo Machine Co., Japan)로 4개의 시편 표면에 200 rpm의 속도로 4000회의 칫솔질을 시행한 뒤 표면조도형상측정기(Form Talysurf series 2, Rank Taylor Hobson Co., England)를 이용해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alpha}$=0.05의 유의 수준에서 Kruskal-Wallis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각 군의 마모 양상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 결과 Filtek Z350 flowable (3M ESPE, U.S.A), Palfique Estelite LV (Tokuyama Dental, Japan), Ultraseal XT plus (Ultradent, U.S.A)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2. 표면 조도 측정 결과, $Ultraseal^{(R)}$, $Estelite^{(R)}$, $Z350^{(R)}$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16). 3. 마모되지 않은 표면과 마모가 일어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전색제인 Ultraseal XT plus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Palfique Estelite LV, 나노필러를 함유한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 Z350 flowable이 서로 다른 마모 양상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유동성 복합 레진이 전색제에 비해 물성 적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동성 레진이 치은 상아질 변연 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lowable composite lining on microleakage at the gingival dentin margin)

  • 이정민;김영경;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394-402
    • /
    • 2002
  • 2급 복합레진 수복 와동의 치은 변연이 상아질 상에 있을 때 유동성 레진 이장의 유무와 두께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6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근, 원심면에 각각 협설측 3mm, 치은벽 깊이 1mm의 2급 와동을 형성하고 치은 변연은 법랑-백아 경계에서 약 1mm 하방에 위치 시켰다. 모든 와동을 32% 인산으로 15초 처리 및 30초 수세 후 Prime & Bond$^{\circledR}$ NT 상아질 접착제를 적용하였고, Tetric Ceram(TC), Tetric Flow(TF)를 이용하여 다음의 6가지 군으로 나누어 수복하였다. (1) TC로 수평 적층 충전, (2) TC로 수직 적층 충전, (3) 0.5-1mm두께로 TF 이장 후 TC로 수평적층 충전, (4) 0.5-1mm 두께로 TF 이장 후 TC로 수직 적층 충전, (5) 2-3mm 두께로 TF 이장 후 TC로 수평적층 충전, (6) 2-3mm두께로 TF이장 후 TC로 수직 적층 충전. 충전된 시편을 37$^{\circ}C$ 100% humidity에서 24시간 보관하고 5$^{\circ}C$와 55$^{\circ}C$에서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하여 치은 변연의 0.5mm 외부에 nail varnish를 도포 하여 2% methylene blue 용액에 12시간 침잠시켰다.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하여 수복물의 중앙에서 종절단 한 후 입체현미경하에서 색소의 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동성 레진의 이장을 시행한 군과 하지 않은 군간에 미세누출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유동성 레진의 두께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경사면 충전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유동성 레진을 이장한 군들이 이장하지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누출을 보였다(p<0.05). 수평적층 충전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유동성 레진 이장이 미세누출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구치부 복합레진 수복을 위한 와동 이장용 재료의 방사선투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opacity of Cavity Lining Materials for Posteri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문주훈;최의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0권4호
    • /
    • pp.243-248
    • /
    • 200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ve radiopacities of cavity lining material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Compomer and Plowable resin) for posteri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Material & Method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Fuji II LC, Vitrebond/sup TM/), Compomers (Dyract /sup (R)/ Compoglass, F2,000, Dyract/sup (R)/ flow Compoglass Flow) and Flowable resins (Tetric/sup (R)/ flow, Aeliteflo/sup TM/ Revolution/sup TM/) were used. Five specimens of 5 mm in diameter and 2 mm thick were fabricated with each material. Human molars were horizontally sectioned 2 mm thick to include both enamel and dentin. The radiopacities of enamel, dentin, cavity lining materials, aluminum step wedge were obtainded from conventional radiograph and NIH image program. Results: All the tested lining materials showed levels of radiopacity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at of dentin. All compomer tested (Dyract, Compoglass, F2,000, Dyract flow, Compoglass Flow) and Vitrebond/sup TM/, Tetric/sup (R)/ flow were more radiopaque than enamel. The radiopacities of Fuji II LC and Revolution/sup TM/ were between enamel and dentin and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Compomer and Tetric/sup (R)/ flow were greater than those of Revolution/sup TM/, Aeliteflo/sup TM/ or dentin. The level of radiopacity of the tested materials was variable; those with low radiopacity should be avoided in class II restorations, where a clear determination of recurrent caries by the examining clinician could be compromised. Conclusion: Clinician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these cavity lining materials radiographically from recurrent decay, voids, gaps, or other defects that lead to clinical failure. Utilization of materials ranked more radiopaque than enamel would enable clinicians to distinguish the lining material from tooth structure.

  • PDF

Translucent endodontic fiber posts luted with flowabl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 Park, Youn-Sik;Yang, In-Seok;Kim, Tae-Geon;Yang, Hyon;Kim, Nam-Suk;Kim, Hyun-Syeob;Roh, Hyun-Ki;Park, Mi-Ra;Oh, Won-Mann;Hwang, In-Nam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23-623
    • /
    • 2003
  • I. Objectives The aim of this was to evaluate the use possibility of light curing flowable composite resins as a luting agent for translucent fiber posts. II. Materials and Methods 20 single-roo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selected and crown was sectioned below the cemento-enamel junction to obtain a 13 mm ling root. Root canals were filed, cleaned, and shaped to #40 with K-file. Prepared canals were filled with gutta percha and AH26 root canal sealer by lateral condensation method. Teeth were than divided into 4 groups of 5 specimens each. In group 1 and 2, the canal space of each root was enlarged with #3 DT Light post preparation drill (Bisco, USA) to a depth of 9mm from the cervical.(omitted)

  • PDF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변연 누출에서 다른 중합시간의 영향에 대해 마이크로시티를 이용한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leakage of bulk fill flowable composite resin filling with different curing tim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technology)

  • 김은지;이규복;진명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184-193
    • /
    • 2016
  • 목적: 중합 시간이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마이크로시티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0개의 발거된 인간 대구치에 변형된 2급 와동인 vertical slot cavity를 형성하였다. SonicFill과 SureFil SDR flow을 단일 충전하였으며, 다른 중합시간(20, 40, 60초)으로 광중합 하였다. 모든 표본은 5000번의 thermal cycle을 시행하였다. 치아는 silver nitrat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전 후 8시간 동안 현상액에 침전하였다. 마이크로시티를 사용하여 시편을 촬영 후 침투된 silver nitrate solution을 3차원적으로 재건하여 그 부피를 측정하였다. 변연 누출 결과값의 통계 처리는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광중합 시간의 증가는 두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에서 변연 누출을 증가시켰다. 두 복합레진 사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중합 시간은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변연 누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었다. 또한 마이크로시티를 통해 레진-치아 계면에서 변연 누출의 양을 비파괴적 방법으로 3차원적으로 재건하여 측정할 수 있었다.

The influence of different base materials on marginal adaptation of direct class I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Cho, Yong-Sik;Park, Sung-H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19-619
    • /
    • 2003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base materials on the marginal integrity of posterior direct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Large conventional butt-joint MOD cavity preparations, with margins in enamel and dentin, were prepared in vitro in 24 extracted human mandibular molars and randomly divided into four equal groups. One of three base materials(RMGI, compomer, flowable resin) was placed on the pulpal floors, of the teeth of the groups. One group of teeth, which served as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base mterial.(중략)

  • PDF

5급 와동에서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미세누출 (The Microleakage in Class V Cavity Based on Different Kinds of Several Dentin Adhesive and Composite Resin)

  • 최유석;정순정;정문진;안용순;박선녀;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0-338
    • /
    • 2013
  • 5급 와동에서 상아질 접착제와 레진의 종류에 따른 미세누출을 알아보고자 64개의 건전한 상 하악 소구치 및 대구치에 5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4종의 상아질 접착제를 각각 적용하고 2종류의 복합레진을 수복하여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부 색소침투 정도를 실체현미경하에서 23배율로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기록한 후 각 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5급 와동 수복 시 상아질 접착제와 레진의 종류에 따른 미세누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복합레진 Filtek Z350XT Universal 적용 시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 Adaper Easy Bond에서 미세누출이 낮게 나타났고, 유동성레진 Filtek Z350XT Flowable 적용 시 3단계 전부식 접착제 Adaper Scotchbond Multi-Purpose, 2단계 전부식 접착제 Adaper Single Bond 2에서 미세누출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복합레진 및 상아질 접착제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1단계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 적용 시 조작의 편이성과 시술시간의 단축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타이어-저회가 혼합된 유동성 복합지반재료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Flowable Composite Soil with Waste Tire and Bottom Ash)

  • 김윤태;강효섭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2-58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waste tire powder-bottom ash added composite soil, which was developed to recycle dredged soil, bottom ash, and waste tire powder.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5 different percentages of waste tire powder content(0%, 25%, 50%, 75%, and 100% by weight of the dry dredged soil), three different percentages of bottom ash content (0%, 50%, and 100% by weight of the dry dredged soil), and three different particle sizes of waste tire powder (0.1~2 mm, 0.9~5 mm, and 2~10 mm). Several series of unconfined compression tests, direct shear tests, and flow tests were conducted.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ste tire powder content, particle size of waste tire powder, and bottom ash content influenced the strength and stress-strain behavior of the composite soil. The flow valu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water content, but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waste tire powder content.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incorporating silver and zinc oxide nanoparticles on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us

  • Kasraei, Shahin;Sami, Lida;Hendi, Sareh;AliKhani, Mohammad-Yousef;Rezaei-Soufi, Loghman;Khamverdi, Zahr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2호
    • /
    • pp.109-114
    • /
    • 2014
  • Objectives: Recurrent caries was partly ascribed to lack of antibacterial properties in composite resin. Silver and zinc nanoparticles are considered to be broad-spectrum antibacterial agen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containing 1% silver and zinc-oxide nanoparticles on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us. Materials and Methods: Ninety discoid tablets containing 0%, 1% nano-silver and 1% nano zinc-oxide particles were prepared from flowable composite resin (n = 30).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discs were evaluated by direct contact test. Diluted solutions of Streptococcus mutans (PTCC 1683) and Lactobacillus (PTCC 1643) were prepared. 0.01 mL of each bacterial species was separately placed on the discs. The discs were transferred to liquid culture media and were incubated at $37^{\circ}C$ for 8 hr. 0.01 mL of each solution was cultured on blood agar and the colonies were counted. Data was analyzed with Kruskal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Results: Composites containing nano zinc-oxide particles or silver nanoparticles exhibit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effect of zinc-oxide on Streptococcus mut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ilver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actobacillus between composite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and those containing zinc-oxide nanoparticles. Conclusions: Composite resins containing silver or zinc-oxide nanoparticles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