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S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 Lee, S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Y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aik, Byeong-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 Cheol-Wa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G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선영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백병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전철완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재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3.11.29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utilizing the different curing lights, to assess the flowable resin, $Filtek^{TM}Flow$(3M Dental Products, USA) and composite resin, $Filtek^{TM}Z250$(3M Dental Products, USA) which need 20s curing time for halogen light could replace $Z100^{TM}$ Restorative(3M Dental Products, USA) for the microleakage,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adhesive resin on marginal microleakage. Light curing units used in this study were conventional halogen light, XL3000(3M Dental Products, USA) and plasma arc light, Flipo(Lokki, France).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and each cavity was filled with each composite resin. After being filled, the teeth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polished, thermocycled and soaked in 1% methylene blue solutio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evaluation of the sectioned surface.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leakage of $Filtek^{TM}Flow$ and $Filk^{TM}Z250$ between two kinds of curing units(p>0.05). 2. Flowable resin, $Filtek^{TM}Flow$ showed more microleakage than Z100 and $Filtek^{TM}Z250$ regardless of curing units(p<0.05). 3. Adhesive resin reduced the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in both halogen light and plasma arc light(p<0.05).

치과의 수복재로 널리 쓰이는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대한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의 영향을 비교하고, 유동성 복합레진과 할로겐광으로도 중합시간이 20초로 단축된 복합레진 $Filtek^{TM}$ Z250이 미세누출면에서 기존에 널리 쓰이던 복합레진인 Z100을 대체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며, 미세누출에 미치는 adhesive resi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레진의 충전은 각 군에 따라 시행하였다. 유동성복합레진 $Filtek^{TM}Flow$와 Z100, $Filtek^{TM}Z250$을 이용하였고,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편은 보관, 연마, 열순환을 시행하고, 1% methylene blue를 침투시킨 후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iltek^{TM}Flow$$Filtek^{TM}Z250$ 모두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2.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Flow$는 복합레진 $Filtek^{TM}Z250$과 Z10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큰 미세누출을 보여(p<0.05) 유동성 복합레진만으로 수복한다면 미세누출의 위험이 커질 것이다. 3. Adhesive resin을 도포한 것이 할로겐광을 이용한 경우와 플라즈마광을 이용한 경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세누출을 감소시켰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