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ight activities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5초

The Effect of Studying Flight Training Materials utilizing Encoding Techniques on Situational Awareness Capabilities of Students in PPL Training

  • Moon, Jeong Yoon;Lee, Jang Ryong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4-163
    • /
    • 2020
  • The pilot's aeronautical decision-making during the flying greatly affects flight safety, and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awareness has been greatly emphasized as a prerequisite for making the right decision. This is the reason why more research and interests are needed to help students entering the pilot training program develop excellent situational awareness from the initial stage of training. Situational awareness is closely related to long-term memory activities i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pedagogy and cognitive psychology have emphasized the encoding techniques as an effective long-term memory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pilot students' using the encoding techniques to learn flight education materials in the early stage of their training at domestic univers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situational awareness.

위성비행소프트웨어 통합검증환경의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Verification Facility for Satellite Flight Software)

  • 신현규;이재승;최종욱;천이진
    • 항공우주기술
    • /
    • 제11권1호
    • /
    • pp.49-56
    • /
    • 2012
  • 위성의 기본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자세 제어 및 위성 고유의 임무를 수행하는 위성비행소프트웨어는 운용 환경 및 그 특수성으로 인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모사하는 시뮬레이터를 통해 위성비행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지상 명령의 전송, Telemetry의 수신을 통한 검증의 경우, 매우 다양한 지원환경이 요구된다. 위성비행소프트웨어팀에서는 이러한 검증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다양한 위성 개발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위성 비행 소프트웨어 통합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비행소프트웨어의 효과적인 검증을 위한 통합 검증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방안에 대하여 소개한다.

DJI 드론 모델별 삭제 비행기록 복구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Deleted Flight Records by DJI Drone Model)

  • 윤여훈;윤주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609-619
    • /
    • 2023
  • 최근 IoT 산업 중 하나인 드론을 사용한 범죄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손쉽게 접근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어 폭발물 운반, 마약 운반, 불법 촬영 등 다양한 범죄에 사용된다. 이러한 범죄행위를 분석하고 수사하기 위해 드론 포렌식 연구가 매우 강조되는 상황이다. 드론에서 획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디지털 포렌식 아티팩트로는 미디어 데이터, PII, 비행기록 등이 있으며 특히 비행기록은 드론의 행적을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아티팩트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JI 드론의 삭제된 비행기록 파일이 갖는 특징을 제시하고 특징의 차이점이 발생하는 세 가지 드론인 Phantom3, Phantom4, Mini2 드론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비행기록 파일이 갖는 특징을 이용하여 파일 카빙 기법을 통해 복구 정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드론 모델별로 비행기록의 복구가능성이 존재하는 드론과 그렇지 않은 드론 모델들을 분류한다.

DUML 패킷 분석을 통한 드론 비행기록 포렌식 시스템 (Drone Flight Record Forensic System through DUML Packet Analysis)

  • 윤여훈;윤주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103-114
    • /
    • 2024
  • 드론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드론에 대한 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한 드론 포렌식 연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불법적인 범죄 행위를 수사하기 위해서는 드론 내부 저장소에 생성되는 비행기록 파일에 대한 포렌식 분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독점 DUML 프로토콜로 생성되는 비행기록 파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개념이 반드시 필요하며 암호화되는 Payload에 대응하고 다양한 드론 모델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포렌식 분석 도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먼저 드론에서 생성되는 비행기록 파일의 획득 방법과 특징을 제시하고 비행기록 파일을 이루고 있는 구조와 DUML 패킷의 특징을 설명한다. 최종적으로 제시한 DUML 패킷의 구조에 따른 포렌식 분석을 수행하고 기존 도구보다 범용적으로 동작하며 확장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확장 포렌식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UH-1H 조종사의 전신진동 노출에 따른 임무별 비행시간 한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ight-time Limitation at each Mission in Whole-Body Vibration Exposure of UH-1 Pilot)

  • 송근식;정완섭;이달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53-358
    • /
    • 1998
  • Vibrations exposured to human whole-body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act area of a human body, such as feet, hip and back directly in contact with vibrating surface. they apparently leads to the decrease of human comfort, the reduction of working efficiency or normal activities, and, furthermore, causes the loss of health and safety. In this study, UH-1 vibration has been measured to produce the flight-time limitation at each mis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st significant peaks appear at a main rotor blade-passage frequency and that the vibration level in ground is higher than that in airborne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most affective aspect for the flight-time limitation is ground vibration level

  • PDF

국내 항공운항에서 기상현상이 결항 및 지연에 미치는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Critical Meteor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Flight Cancelation and Delay: Focusing on Domestic Airports)

  • 이중우;고광근;권태순;이기광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37
    • /
    • 2011
  • Last April, Europe was severly damaged as all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came to a halt prompted by the cancellation of all flights resulting from volcanic ash. This exemplifies that the meteorology condi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ights of airplanes. Hence, in this research the influence that the meteorology has on the domestic flights and its characteristics will be examined, and the core meteor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flights in each airport will be drawn. In order to do thi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that the meteorology has on flight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bout flight cancelation and delay and also its cause, primarily based on the Gimpo, Gimhae, and the Jeju airports. As a result, first, the meteorological factors which impact flight cancellation and delay were different among the domestic airports, an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fog was the main meteorological factor in the Gimpo airport, strong wind in the Jeju airport, and fog in the Gimhae airport. Third, between the day the flights were cancelled and delayed occurred, and the day that weren't, the fact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among the actual meteorological factors was statistically drawn. With the result of such analysis, meteorological factors pertaining to the cancellation and delay of flights must be considered seperately by each airport and specializ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accordingly. Further, when selecting the position of an airport that i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implications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the meteorology effect evaluation based on past meteorology data can be drawn.

AIP의 항공레포츠 정보자료 분석 (The Analysis of Aeronautical Information with the aerial sport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in AIP)

  • 신대원;이기명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45
    • /
    • 2012
  • The LSA system in Korea was introduc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erial sport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erial sport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multi-faceted effort is needed. We discussed only for the Aeronautical Information of the aerial sport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tatus of aerial sport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in Korea, and international AIP(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s). We introduced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information service of aerial sporting and recreational activities in Korea.

Self-Drop을 이용한 드론의 비행 금지구역 진입 제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trictions on Entry of Drones into No-Flight Zones using Self-Drop)

  • 김장원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57-462
    • /
    • 2022
  • 최근 드론을 엔터테인먼트 도구로 이용하는 문화생활이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비행 금지 구역을 침범할 정도로 성능이 좋은 드론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만족도가 높은 엔터테인먼트 활동을 위한 드론은 체공 시간도 길어야 하고 장거리 비행도 가능해야 하는데, 이것이 종종 비행 금지구역을 침범하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 비행 충돌 문제가 발생하여 큰 피해가 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GCS(Ground Control System)로 비행 금지구역을 설정하고, 임계속도 10km/h 이하로 비행할 경우 비행 금지구역으로부터 10m 떨어진 임계거리 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드론을 조종하게 하고, 임계속도 이상으로 비행해서 임계거리 안으로 진입할 경우 드론이 GCS 제어에 의해 self-drop 하도록 하여 비행 금지구역 안으로 들가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으로 특정 실험 지역에서 총 44번의 반복실험을 한 결과 한두번 제한구역을 넘어간 경우를 제외하고는 드론이 안전하게 self-drop한 결과를 얻었으며 제안한 방법으로 드론을 제어할 경우 비행 금지구역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적절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로우주센터 상공의 대기 안정도지수 및 뇌운관련 대류활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vective Activities related to Atmospheric Stability Index and Thunderstorms over the Naro Space Center)

  • 김홍일;최은호;서성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33-1145
    • /
    • 2019
  • Successful launch requires state-of-the-art launch vehicle technology and constant test operations, However, the meteorological threat to the launch vehicle flight trajectory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launch success. Atmospheric stability above the Naro Space Center at the this time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because the initial flight operation can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launch. Moreover, during the flight of launch vehicle with rapid pressure and thrust into the atmosphere, convection activity in the atmosphere may creat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cause severe weather threats such as thunderstorms. Hence, studies of atmospheric instability characteristics over the Naro Space Center are a necessary part of successful launch missions. Therefore, the main aims of this study were to (1) verify the atmospheric stability index and convection activity characteristics over the Naro Space Center using radiosonde data observed from 2007 to 2018 by the Naro Space Center, (2) analyze changes in the atmospheric stability index according to monthly and seasonal changes, and (3) assess how the calculated atmospheric stability index is related to actual thunderstorm occurrence using statistical analysis. Additionall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tmospheric characteristics above the Naro Space Center through the distribution chart of the atmospheric stability index during summer, when convection activity is highest. Finally,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ning occurrence an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through predictability analysis performed using the lightning observation data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헬기 운항안전 향상을 위한 북미지역의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s of North America to Enhance the Flight Safety of Helicopter)

  • 오경륜;최석;박중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98-80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헬기운항안전 향상을 위한 북미대륙의 활동들을 소개하였다. 북미지역에서는 2009년 기준으로 전세계 민간헬기의 49%가 운용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의 헬기 운항안전을 위한 개발동향은 여타 헬기 운용지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헬기가 운용되는 멕시코만의 헬기 운항안전을 위한 개발 사례와 미국 연방항공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의 NextGen 프로그램 및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항공시스템블록업그레이드(ASBU, Aviation System Block Upgrades) 계획 실행을 위한 캐나다 계획 분석을 통해 헬기 관련 인프라 구축 동향 및 향후 헬기 운항안전 증진을 위해 나아갈 바와 기대효과에 대해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