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xible work arrangement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가족친화지원사업의 시행현황과 개선방안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and Suggestions for Family Friendly Support Services)

  • 정영금;조성은;안재희;김지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83-9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lternative policies and practices which policy makers can introduce and enlarge for work-family balance of employees. Fo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gulation of work tim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of employees. And the results of major projects in family friendly support services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flexible work arrangements, papa's quota system in parental leaves, various family leaves for family care, establishment of FFSC in every metropolitan area, diversification of consulting project, and enlarging of certification project on family friendly workplace.

Diabetes Management and Hypoglycemia in Safety Sensitive Jobs

  • Lee, See-Muah;Koh, David;Chui, Winnie Kl;Sum, Chee-Fa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1호
    • /
    • pp.9-16
    • /
    • 2011
  • The majority of people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are in the working age group in developing countries. The interrelationship of diabetes and work, that is, diabetes affecting work and work affecting diabetes,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these people. Therapeutic options for the diabetic worker have been developed, and currently include various insulins, insulin sensitizers and secretagogues, incretin mimetics and enhancers,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Hypoglycemia and hypoglycaemic unawareness are important and unwanted treatment side effects. The risk they pose with respect to cognitive impairment can have safety implications. The understanding of the therapeutic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diabetic workers, blood glucose awareness training, and self-monitoring blood glucose will help to mitigate this risk. Employment decisions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e extent to which the jobs performed by the worker are safety sensitive. A risk assessment matrix, based on the extent to which a job is considered safety sensitive and based on the severity of the hypoglycaemia, may assist in determining one's fitness to work. Support at the workplace, such as a provision of healthy food options and arrangements for affected workers will be helpful for such workers. Arrangements include permission to carry and consume emergency sugar, flexible meal times, selfmonitoring blood glucose when required, storage/disposal facilities for medicine such as insulin and needles, time off for medical appointments, and structured self-help programs.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Work-Life Balance - With a Focus on Working From 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손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37-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23차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의 관계에 대해 코로나 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택근무제는 근로자의 행복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일자리 안정성과 관련한 직무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택근무자와 비재택근무자의 코로나19를 전후로 한 시간활용 변화를 수면시간, 자기계발시간, 자녀돌봄, 가사노동, 운동, 친교모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가장 큰 특징은 재택근무자가 비재택근무자에 비해 코로나19 이후 가사노동 시간과 자녀돌봄 시간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이며 이러한 경향은 여성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재택근무제의 효과가 자녀돌봄과 일을 병행해야 하는 근로자들에게는 그 효과가 반감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여성에게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녀돌봄 등으로 인해 일·생활갈등 상황에 놓인 재택근로자들이 업무생산성을 유지하고 일·생활균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유연근무제도가 전통적 성역할을 강화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탐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실시된 일본 내각부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work arrangements and new lifestyl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based on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abinet Office)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87-10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두 시기(코로나19 팬데믹 직후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의 일하는 방식, 지방 이주에 대한 관심, 생활만족도 등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일본 내각부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직후(2020년 5월)부터 4차례에 걸쳐 실시한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생활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관한 조사』 데이터이다. 제1회 조사 및 제4회 조사에 모두 응답한 응답자 중에서 20세 이상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권 거주자가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텔레워크 중심'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비율은 36.1%로 전국의 응답과 비교해서 높다. 둘째, 이들은 텔레워크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사람과 유연근무를 경험한 사람이 지방 이주에 대해 매우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출근 중심으로 일한 사람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텔레워크 경험자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감소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에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지방 이주를 촉진하면서 지역 활성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모색하는 돌파구로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모듈(Module) 가구디자인에 대한 연구 -반복(Reiteration)과 확장(Expansion)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ule Furniture Design -Focus on Reiteration and Expansion-)

  • 이현정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5
    • /
    • 2008
  • The forms made by repeated arrangements of basic units defined as Simulakre are recomposed into organic, geometric or multi-functional forms by diverse combinations and arrangements and the space expanded by reiterated compositions will have the meaning of active space expansions representing speeds, rhythms or time by reiterations instead of a limited and fixed place shown by a work. The module design that can create new roles and functions of spaces that are variability and fluidity and that can be assembled and transformed into the shapes, sizes and functions desired by users will be analyzed applying the concepts of reiteration and expansion. The module designs emerging in 21th century are in diverse organic forms and geometric forms and their methods for expansion are also diversified. And instead of having a function, they have diverse functions such as storages, partitions, walls, curtains and soundproofing. The development of module designs are first to satisfy the diversified needs, individualities and desires to posses of modem people and second the development, finding and application of new materials. In the future spaces that will continuously develop and will be nomadic, the flexible and individualized module designs will become more diversified and will have their significances.

  • PDF

메타버스 텔레워크 도입과 효과의 향상에 관한 연구: 인지된 업무생산성, 직무성과,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Effectiveness of Metaverse Telework: Focusing on Perceived Work Productivit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 유해초;이상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47
    • /
    • 2024
  • With the spread of COVID-19, non-face-to-face social exchanges around the world have increased, leading to a rise in the demand for telework. The recent advancement in technology has facilitated the emergence of metaverse platforms, with telework utilizing the metaverse gaining significant popularity. Such metaverse telework is signaling innovativ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yet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work productivit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metaverse telework user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individual factors (self-management tactics, sense of belonging, social presence, IT complexity) and situational factors (perceived workload, organizational support, metaverse telework environmen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Out of the total responses, 358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any insincere responses. The SPSS 27.0 software was employ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proposed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lework within the metaverse.

Short- and long-term analyses of composite beams with partial interaction stiffened by a longitudinal plate

  • Ranzi, Gianluca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6권3호
    • /
    • pp.237-255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nalytical formulation for the analysis of composite beams with partial shear interaction stiffened by a bolted longitudinal plate accounting for time effects, such as creep and shrinkage. The model is derived by means of the principle of virtual work using a displacement-based formulation. The particularity of this approach is that the partial interaction behaviour is assumed to exist between the top slab and the joist as well as between the joist and the bolted longitudinal stiffening plate, therefore leading to a three-layered structural representation. For this purpose, a novel finite element is derived and presented. Its accuracy is validated based on short-and long-term analyses for the particular cases of full shear interaction and partial shear interaction of two layers for which solutions in closed form are available in the literature. A parametric study is carried out considering different stiffening arrangemen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short-and long-term behaviour of the composite beam of the shear connection stiffness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steel joist, the stiffness of the plate-to-beam connection, the properties of the longitudinal plate and the concrete properties. The values of the deflection obtained from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s are compared against those calculated using the effective flexural rigidity in accordance with EC5 guidelines for the behaviour of elastic multi-layered beams with flexible connection and it is shown how the latter well predicts the structural response. The proposed numerical examples highlight the ease of use of the proposed approach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retrofitting solutions at service conditions.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과 근로자의 직무몰입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와 성별 및 자녀수의 조절효과 - 몽골 중소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involve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Focused on Mongolia SMEs -)

  • 김동철;우랑토야;김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37-58
    • /
    • 2017
  • 본 연구는 몽골 중소기업 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일-가정 갈등이 직무몰입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인구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일-가정 갈등(직장${\rightarrow}$가정 갈등, 가정${\rightarrow}$직장 갈등), 직무몰입, 삶의 만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직장${\rightarrow}$가정 갈등은 삶의 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가정${\rightarrow}$직장 갈등은 직무몰입과 삶의 만족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특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일-가정 갈등에 대한 리더의 인식변화와 적극적 대응, 유연근무제도의 도입, 선별적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지원, 관련 평가체계 수립 등이 있다.

  • PDF

취업 1인가구의 일-생활 균형: 20-30대 미혼을 중심으로 (Work and Life Balance of Working Single-person Households : Focused on Unmarried 20-30 Generation)

  • 송혜림;강은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55-70
    • /
    • 2021
  • 이 연구는 1인가구가 계속 증가하는 현상과 함께 1인가구를 주제로 한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는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으로 워라밸(일-생활 균형)에 대한 관심에 주목하여 취업 1인가구의 일-생활 균형 실태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1인가구 중에서 미혼 20-30대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1인가구로서의 일상생활, 일-생활의 실태 그리고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인가구로 살게 될 때의 자발성, 1인가구 삶에 대한 준비와 계획 등은 1인가구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이나 여가활동에 있어서 돈과 시간이라는 자원의 영향이 크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가족과의 소통과 교류에서, 직접적인 대면은 충분치 않지만 메신저 사용을 많이 하고 있으며, 떨어져 사는 가족 특히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경제적, 정서적, 가사노동의 상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직장생활을 경험하면서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고, 일과 대비되는 생활의 영역에서 자기계발, 여가활동의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일-생활 균형의 장애요인으로 업무부담 외에 돈과 시간이라는 자원의 제약을 발견할 수 있다. 일-생활 균형을 위해서 경제적 지원 그리고 유연근무제와 같은 제도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1인가구로서의 삶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가정경영 및 가족자원관리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집단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맞춤형의 사업과 제도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스마트워크 추진체계가 개인과 조직의 스마트워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도적, 관리적, 그리고 인프라적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Working Promotional Systems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 Working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South Korea: A Focus on Institutional, Managerial, and Infrastructural Factors)

  • 구주영;이인호;이효진;김성현;박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66-5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추진체계가 스마트워크 시행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개인효과와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스마트워크 추친체계는 스마트워크가 효율적,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추진체계를 제도적, 관리적, 그리고 인프라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스마트워크의 추진체계가 개인 및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제도적, 관리적, 그리고 인프라적 요인은 스마트워크 활용에 대한 개인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직 효과성의 경우 제도적, 인프라적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고려할 때, 스마트워크의 성공적인 시행과 조직구성원의 스마트워크 참여도 향상 그리고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워크가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제도적 조건, 스마트워크의 운영을 위한 관리적 조건, 그리고 스마트워크가 정보기술 측면에서 접근성과 신속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적인 조건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