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mable gas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플랜트 폭발사고 방지를 위한 가스감지기 위치 선정 방법 연구 (Development of Gas Detector Location Index Technique to Prevent Explosion Accidents of Offshore Plant)

  • 손정민;백점기;김상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1호
    • /
    • pp.63-70
    • /
    • 2017
  • Release of hazardous and flammable gas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risk. The ignition of flammable gas clouds can lead to explosion accidents in the offshore installations. A gas detector, which is one of active protect systems, brings the module into a safe state through emergency shut down processes and reduces the damage by eliminating the dangerous release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gas release, the wind field, and the complex geometry of installations to determine gas detector placement. In this paper, the Gas detector Location Index (GLI) which is a novel index for optimal detector location determination to efficiently prevent explosion accident using probabilistic approach.

물질특성 및 운전조건을 고려한 증기상 물질의 2차 누출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범위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Range of Hazardous Area Caused by the Secondary Grade of Release of Vapor Substances Considering Material Characteristic and Operating Condition)

  • 서민수;김기석;황용우;천영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26
    • /
    • 2018
  • 현재 KS Code 등 국내규정에서는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계산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범위 선정을 위해서는 확산 모델링 해석을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애서는 대표적인 물질과 운전조건을 활용하여 확산 모델링에 비하여 간편하면서도 비교적 합리적인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외 표준을 바탕으로 폭발하한계(LFL, Lower Flammable Limit)까지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다. 총 16종의 인화성물질을 대상으로 물질변수, 운전변수, 기상조건에 대하여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변수를 이용하여 폭발위험장소의 범위 선정을 위한 3단계 분류화 방법(3Step Classification Method)을 작성하였다.

제약회사 여과 공정중 스플래쉬 필링에 의한 화재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ention of Fire Accidents by Splash Filling in the Filtration Proces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 김상길;이대준;양승복;임종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9-34
    • /
    • 2021
  • 제약회사에서 제조하는 의약품의 원재료에 인화성물질이 종종 존재한다. 이런 경우 과량의 인화성 물질을 투입하여 중간체를 만들고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인화성물질을 여과 및 건조단계를 통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여과 공정에서 분리된 인화성 액체가 여액받이 통에 스플래쉬 필링 형태로 쌓이게 된다. 이런 경우 인화성 액체의 증기 및 미스트가 생성되어 폭발 하한 값, 최소점화에너지가 더욱 낮아지게 되며 복합 대전이 발생하여 화재·폭발의 위험이 증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제약회사 여과공정 중 발생한 화재 사고를 분석하여, 화재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질소 공급설비 설치, 용량 개선, 도전성 여과포 및 정전기 축적 방지대책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고 누출 화학물질의 지하수 및 토양 환경 내 거동 및 환경 독성 특성 II: 인화성 물질을 중심으로 (Fate and Toxicity of Spilled Chemicals in Groundwater and Soil Environment II: Flammable)

  • 조은혜;신도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6호
    • /
    • pp.1-8
    • /
    • 2018
  • In this study, formaldehyde and benzene were selected as the arbitrary chemicals in accidental leakage to environment,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were studied. Also, the fate of these chemicals in soil and groundwater was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y can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s gas or vapor phase, which then can be photochemically degraded. Since they have relatively high water solubility, they are likely to have high mobility in water and soil. Volatilization of these chemicals from soil is affected by the soil moisture content. Biodegradation of formaldehyde and benzene is one of the important pathways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leakage accidents of flammable chemicals such as formaldehyde and benzene. Further research on the fate of flammable chemicals in the environment is needed to take appropriate response actions to leakage accidents of flammable chemicals, and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guidelines to cope with leakage accidents.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이용한 2성분계 혼합물의 인화점 예측 (Prediction of Flash Point of Binary Systems by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 이범석;김성영;정창복;최수형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33
    • /
    • 2006
  • 화학공정 설계에서 공정의 위험성 판단은 중요한 부분이다. 실제 화학공정에 사용되는 가연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판단하는 인화점에 대한 예측은 그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2성분계 가연성 물질의 인화점에 대한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다변량 통계 분석법(partial least squares(PLS), quadratic partial least squares(QPLS))을 이용하여 2성분계 혼합물의 인화점을 예측하였고, 기존의 Raoult의 법칙과 Van Laar 식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해 보았다.

  • PDF

가연성 이성분계 용액인 2-Propanol+Propionic acid 와 n-Hexanol+Formic acid 용액의 밀폐식 인화점의 실험적 결정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Closed Cup Flash Point of Binary Flammable Solutions, 2-Propanol+Propionic acid and n-Hexanol+Formic Acid Solutions)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24
    • /
    • 2015
  • 인화점은 액체 용액의 가장 중요한 인화성 지표 중 하나이다. 인화점은, 가연성 증기의 공기 속 농도가 점화가 발생하기에 충분할 때의 온도 중 가장 낮은 온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이성분계 액체 용액인, 2-propanol+propionic acid 와 n-hexanol+formic acid 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n-hexanol+formic acid 계는 최소 인화점 현상을 보였다. 측정값은 라울의 법칙을 활용한 방법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계산값과 비교되었다. 그 결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계산값이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값 보다 측정값을 잘 모사하였다.

이성분계 가연성 혼합물의 인화점 측정 (The Flash Point Measurement for Binary Flammable Mixture)

  • 하동명;이성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0-65
    • /
    • 2014
  • 가연성 액체 혼합물의 화재 위험성을 특징짓는 주된 물리적 성질은 인화점이다. 본 연구는 이성분계 가연성 혼합물의 인화점을 측정하고 예측하고자 한다.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이용하여 n-propanol+propionic acid 계의 인화점을 측정하였다. van Laar 식과 NRTL 식을 이용한 최적화 기법을 통해 인화점을 예측하였다. 이 계산치와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 기법에 의한 계산치가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치 보다 측정값에 보다 근사하였다.

모사 SNG 연료를 적용한 모델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소 불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Instability in Model Gas Turbine Combustor using Simulated SNG Fuel)

  • 최인찬;이기만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2-42
    • /
    • 2015
  • The combustion instability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model gas turbine combustor with dual swirl burner. When such instability occurs, a strong coupling between pressure oscillation and unsteady heat release excites a self-sustained acoustic wave which results in a loud sound, and can even cause fatal damage to the combustor and entire system. In present study, to understand the combustion instability with a premixed mixture, the detailed periods of pressure and heat release data in unstable flame mode were investigated by various measurement methods at relatively rich condition and lean condition near flammable limits. Also, to prepare the utilization of synthetic natural gas (SNG) fuel in gas turbine system,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a simulated SNG including methane as a reference fuel to examine the effects of $H_2$ content on flame stability. These results provide that the instability due to flash-back behaviour like CIVB phenomenon occurred at rich condition, while the repetition of relighting and extinction caused the oscillation of lean condition near flammable limit. From the analysis of $H_2$ content effect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instability frequency is proportional to the laminar burning velocity at both rich and lean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