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 Retardant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31초

난연도료용 인과 염소 함유 변성폴리에스터의 합성 및 분석 (Synthesis and Analysis of Modified Polyesters Containing Phosphorus and Chlorine for Flame-Retardant Coatings)

  • 박홍수;안성환;조혜진;심일우;함현식;김승진;김성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6-36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ynthesis basic resins for the preparation of PU flame-retardant coatings that contain phosphorus and chlorine. After synthesizing intermediates of tetramethylene bis(orthophophate) (TMBO) and neohexanediol trichlorobenzoate (TBA-adduct),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with the intermediates, 1,4-butanediol, and adipic acid to obtain four-component copolymers. In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the content of phosphorus was fixed to be 2%, and the content of trichlorobenzoic acid (TBA) that provides chlorine component was varied to be 10, 20, and 30wt%, and we designated the prepared modified polyesters containing chlorine and phosphorus as TTBA-10C, TTBA-20C and TTBA-30C.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polydispersity index of the prepared TTB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BA content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that retards reaction. We found that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repared TTBAs increased with chlorine content at high temperatures.

국내 목조건축물 단청의 방염제 처리에 따른 영향 및 탐지방법 연구 (Flame Retardant Treatment's Effects and Detection Method on Wooden Buildings' Pigment Layer (Dan-cheong))

  • 김대운;김철웅;한성희;정용재;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3-406
    • /
    • 2014
  • 방염제 도포 후 나타나는 목조건축물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자료 분석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방염제 도포 후 백화현상과 단청 박락현상이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빈번히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둥, 연목, 가구부재 등 방염제의 도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상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방염제를 도포한 건물과 도포하지 않은 건물을 파악하기 위해 P-XRF를 이용하여 총 20개 종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이 중 현장의 모든 방염제 처리구에서 황 원소(S)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방염제 도포의 탐지자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방염제의 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비파괴분석을 방법을 정립할 수 있었다. 실제 송광사(전남 순천)의 목조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잔류성분분석을 통해 실제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Polyeth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의 난연성 평가 (Assessment on the Flame Retardancy for Polyeth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 송영호;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2-76
    • /
    • 2006
  • 고분자/점토의 nanocomposite는 고분자에 소량의 점토를 첨가해도 물리적, 기계적, 열적 특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근 이에 관련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montmorillonite(MMT)와 같은 smectite 계열의 점토는 높은 종횡비, 판형의 층상구조, 경제성 때문에 산업적으로 이용가치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MMT nanocomposite는 고분자를 용융시킨 후 점토를 삽입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나노입자의 구조는 XRD 및 T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난연성은 LOI, 탄화층 생성량, 연기중량농도의 측정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PE/MMT nanocomposite의 열적 안정성은 DTG-DTA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화합물보다 그 특성이 보강되었다. 난연성은 연소시 탄화층 형성에 의하여 증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브롬화난연제 함유 폐기물의 함량 특성 연구 (Study 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Waste Containing Brominated Flame Retardant)

  • 연진모;김우일;황동건;조나현;김기헌;이영기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692-700
    • /
    • 2018
  •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BDEs and HBCDs of the products and waste that contain BFRs such as domestic electronic products, automobiles and textile products wer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management standards, and their excess rates were calculated. Deca-BDE was detected among the PBDEs in TV rear cover plastics, car seats, automotive interior plastics, and automobile shredding residues of products and waste containing BFRs. The comparison with Basel Convention management standards (1,000 mg/kg) for PBDE-containing wastes (4 types in total) shows that the excess rate of all samples was less than 1.5%. The estimated excess rate compared to the EU and Basel convention management standards (1,000 mg/kg) for PBDEs (4 species + deca-BDE) and TV rear cover plastics was 37.5% (30 of 80 samples exceeded the standards). The estimated excess rate compared to the Basel convention management standards (1,000 mg/kg) for HBCD, building materials products and waste was 15.7% (17 of 108 samples exceeded the standards). In the case of PBDEs, it is necessary to remove only the rear cover of CRT TV amo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and treat it in the flame retardant treatment facility to improve the recycling collection system. In the case of HBC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dispose of the recycled materials, heat insulation materials, TV plastics, and styrofoam in marine fishery amo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restrict the use as recycled raw materials.

편백나무 목분을 첨가한 합성목재 패널의 제조 및 특성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Wood Plastic Composite Panel Fabricated with Chamaecyparis obtusa Wood Flour)

  • 김수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26-132
    • /
    • 2022
  • 데크재, 산책로 등 옥외용도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und;WPC)를 실내 용도의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항균성,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TVOC), 난연성 등이 개선된 WPC 패널을 제조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편백나무 목분(Chamacyparis obtusa wood flour), 항균제 및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 컴파운드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 WPC 컴파운드 펠렛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목재 패널(303mm×606mm×10mm)은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패널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TVOC)은 0.062mg/m2·h 였으며, KS F 2271의 난연성 2등급 표준을 달성하였다.

목재합판의 방염처리방법에 따른 방염성능평가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blem of performance of fire retardant flame retardant treatment of plywood)

  • 차정민;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88-392
    • /
    • 2011
  • 화재 발생 시 연소확대 방지 및 이를 지연시켜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고자 실시하는 방염처리의 성능평가는 연소시험방법을 통해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면적, 탄화길이가 일정기준에 적합하여야만 방염성능을 부여받게 되며 목재나 MDF와 같은 합판은 방염도료나 방염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현장방염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방염 접착필름, 방염 필름, 방염 도료 등을 MDF 합판에 적용하여 방염처리 하였을 때의 연소특성 및 방염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니들 플레임에 의한 바닥재의 수직 연소 및 탄화 패턴의 해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Vertical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Patterns of Floor Materials When Using a Needle Flame)

  • 박민수;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01-106
    • /
    • 2020
  • 자체 제작된 니들 플레임을 이용하여 바닥재를 수직 연소시켰을 때의 화염의 성장 특성 및 탄화 패턴을 해석하였다. PVC 장판은 난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직사 화염을 받은 곳은 안쪽으로 수축되는 패턴을 나타냈다. 수직 연소가 진행되면 하부에 망울 형태의 고형화가 발생하며, 그을음은 상부로 성장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강화마루는 난연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부 표면인 라미네이트층의 소실과 불규칙적인 박리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좌측면과 우측면의 탄화의 범위는 대칭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강화마루와 마찬가지로 카펫은 수직 연소 실험에서 난연성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카펫에 축열이 형성되면 화염은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주변에 가연성 물질이 있을 때 화염의 확산은 더욱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사화염을 받은 카펫 표면의 탄화 패턴은 표면이 용융되어 흘러내렸을 뿐만 아니라 작은 구멍이 다수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베니어의 난연성 (Flame Retardancy of Veneers Treated by Ammonium Salts)

  • 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51-254
    • /
    • 2007
  • 실온에서 베니어에 ammonium chloride,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와 같은 암모늄염으로 도포하고, 도포된 베니어의 난연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판은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판에 비하여 $CO/CO_2$비를 증가시켰다. 이것은 정도에 따라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암모늄염이 베니어의 난연제로 사용되었을 때, 도포된 암모늄염은 베니어의 난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ammonium sulfate와 ammonium chloride로 도포된 베니어는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에 비해 양쪽 모두 낮은 총연기방출율과 낮은 총연기량을 나타내었다.

불포화 이소프탈산 폴리에스터 수지의 난연제 첨가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lame Retardants in Unsaturated Isophthalic Acid Polyester Resin)

  • 최원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4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FRP용 모재수지로 사용되는 이소프탈산계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난 연제 첨가에 따른 연소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난연제로 수산화 알루미늄 ( (AHOHh), 삼산화 안티몬(Sb203), 알루미나 분말을 사용하였다. 난연제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수지의 경도값이 감소하였다. 수산화 알루미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연소속도가 감소되었다. 삼산화 안티몬을 추가로 소량(2.5 phr) 첨가할 때 잔유물의 생성량(char yield : : 31%)이 증가되고, 연소특성이 더욱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난연처리를 하지 않은 수지 의 경우 다량의 화염과 연기를 발생하며 격렬히 연소하였지만 난연처리하였을 경우 자기 소화성을 가지며 화염과 연기의 양이 상당히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혼합 난연제를 함유하는 UV 경화형 Epoxy Acrylate Resin의 난연 특성 (Flame Retardancy of UV-Cured Epoxy Acrylate Resin Containing Combined Flame Retardants)

  • 김호겸;이동호;민경은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53-57
    • /
    • 2007
  • 대표적인 UV 경화형 수지로 알려진 epoxy acrylate에 인계, 브롬계 난연제 및 금속 수산화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고 함량에 따른 난연 효과를 조사하였다. 난연성은 UL-94 V(ASTM D3801-87) 테스트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난연제 도입에 따른 물성의 저하를 막기 위해 montmorillonite(MMT)를 난연 보조제로 첨가하여 최종 경화체의 인장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단일 난연제의 경우 브롬계 난연제인 decabromo-diphenyl oxide (DECA)가 함 할로겐 인계 난연제인 2,2,2-trichloroethyl dichlorophosphate (TCEDP)보다 낮은 함량에서 우수한 난연 효과를 나타냈으며 TCED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화 속도와 최종 전환율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금속 수산화물인 $Mg(OH)_2$는 40 wt%가 첨가되어도 난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DECA/TCEDP 혼합계는 MMT를 도입하지 않고도 기계적 물성의 저하 없이 탁월한 난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