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community

검색결과 652건 처리시간 0.022초

소득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수준 비교 - 2001 국민건강$\cdot$영양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by Income Level -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김복희;이정원;이윤나;이행신;장영애;김초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52-962
    • /
    • 2005
  •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patterns,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sult was analyzed. Dietary intake data of 6,978 Korean adults of 20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used along with their demographic data. Economic status of the subjects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based on the self-reported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 with reference to the minimum monthly living expenses (MLE) in 2001 : low < $100\%$ MLE $\leq$ middle < $200\%$ MLE $\leq$ high < $300\%$ MLE $\leq$ higher, Individuals in the higher income clas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intake for most of the nutrients including energy, protein, carbohydrate, fat, calcium,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and a higher percentage of energy intake from fat. In addition, they consumed more animal foods including meats, eggs, fish/shellfish, milk/dairy products and fats. On the other hand, the mean intakes of individuals in the lower economic class for calcium, vitamin A, and riboflavin were lower than $75\%$ of RDAs. And, there was a predominant difference in contribution of fat to total energy intake among the groups of different economic status. These results showed that household incom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patterns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Although individuals at different age classes may respond differently to a change in economic statu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utrition policy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ose nutritionally vulnerable groups should consider the economic status as an important factor to customize and differentiate the content of the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 $952\∼962$, 2005)

가평천 상류역 어류군집의 장기변동 (Long-Term Variation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Upper Region of the Gapyeong Stream, Korea)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32-441
    • /
    • 2014
  • 2005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가평천 상류역 어류군집의 장기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종은 총 6과 17종 이었으며, 우점종은 Zacco koreanus(상대풍부도 59.9%), 아우점종은 Pungtungia herzi(8.5%)이었다. 한국고유종은 Coreoleuciscus splendidus외 12종으로 확인되었다. 법적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Pseudopungtungia tenuicorpa와 Gobiobotia brevibarba 등 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천연기념물은 Hemibarbus mylodon 1종이었다. 가평천의 수질등급은 최근 9년간 환경부 기준고시에 의거할 때 '매우좋음' 등급을 유지하고 있었다. 육식어종인 Coreoperca herzi의 개체수는 감소하고, 잡식어종인 Zacco platypus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58~0.86, 다양도지수는 0.94~1.77, 풍부도지수는 0.99~2.39의 범위로 나타났다. Rarefaction curve를 이용하여 연도별 기대 출현종수를 분석한 결과 151개체의 표본에서 예상되는 종은 최대 12종(2005), 최소 5종(2007)으로 나타났다. 가평천 상류역의 Z. koreanus 개체군을 대상으로 전장-체중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회귀계수 b값은 연평균 $3.29{\pm}1.11$, 비만도는 $0.0034{\pm}0.0021$로 안정적인 개체군과 양호한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식생활 비교 연구 (h Study on Dietary Practices of Juvenile Delinquents in Korea)

  • 박선주;최혜미;모수미;박명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12-525
    • /
    • 2003
  •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ractices and juvenile delinquency was studied using a dietary surve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Seoul Proba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2 male and 52 female delinquents. As a control group, 104 exemplary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lifestyle, eating behavior, food frequency, and nutrient intake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Compared to the exemplary students, the juvenile delinqu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ducation level, family status, monthly allowance, residence status, breast fed, parents' education level, parents' concern. In dietary habits, fifty-eight percent of the juvenile delinquents ate 2 or fewer meals per day, preferred to eat with friends, and liked hot tasting foods. The juvenile delinquents consumed more ion drinks (OR = 9.26 CI: 3.83 -22.37), rameon (OR = 7.67 CI: 3.21 - 18.33), cola (OR = 6.75 CI: 2.91 - 15.69), soft drinks (OR = 6.12 CI: 2.53- 14.81), steamed korean sausage (OR = 5.34 CI:2.31 - 12.32), hamburger (OR = 5.15 CI: 1.91 - 13.87), kimbab (OR = 3.63 CI: 1.76-7.46), ddokbokgi (OR = 3.17 CI: 1.58-6.38), candy (OR = 3.08 CI: 1.41-6.73), white rice (OR = 2.59 CI: 1.19-5.64), hotdog (OR = 2.52 CI: 1.31-4.86), and less rice mixed with grains (OR = 0.02 CI: 0.01-0.05), tangerine (OR = 0.06 CI: 0.02 - 0.20), milk (OR = 0.29 CI: 0.14 - 0.60), roasted fish (OR = 0.32 CI: 0.28-0.99, anchovy (OR = 0.35 CI: 0.17 - 0.72), seaweed (OR = 0.37 CI: 0.16 - 0.83), and tofu (OR = 0.48 CI: 0.23-0.99) than the exemplary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juvenile delinquents, the nutrient intakes lower than 75% of the Korean RDA were for riboflavin (75.0%) and calcium (47.9%) among the boys, and calcium (46.9%) and iron (60.4%) among the girl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nutritional education and well-balanced school food service meals should be emphasized so a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dietary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4) : 512∼525, 2003)

가정방문 영양교육에 의한 공복 혈당 이상 노인의 영양상태 및 혈당 변화 (Effect of Home-visi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High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 윤희정;이성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6-360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ome-visiting nutri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high fasting glucose level in an urban community. The study subjects were 40 elderly people, whose information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 biochemical indices,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 dietary habit, food intake and nutrient intake were obtained at baseline. The education group received 6 weekly visits of home-visiting nutrition education from 15 March to 25 April 2004. In the baseline-survey, the education group and non-education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iochemical indices,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levels. The difference of mean change of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 and dietary habit after home-visiting nutrition education had been studied.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increased by 1.4 in the education group; however, those in the non-education group which increased by 0.4, thus, the differences of mean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nutrition attitude score increased by 1.2 in the education group; however, those in the non-education group decreased by 0.4, thus, the differences of mean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The dietary habit score increased by 1.7 in the education group; however, those in the non-education group decreased by 2.8, thus, the differences of mean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The difference of mean change of anthropometric indices and biochemical indices in education group and the non-education group was not significant. Looking over the zcereals and their products, vegetables, seaweeds, meats and their products, and fish than the non-education group. The MAR increased by 0.06 in the education group; however, that in the non-education group increased by 0.01, thus, the differences of mean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differences of mean change of fasting blood glucose and biochemical indices after home-visiting nutrition education were studied. Fasting blood glucose decreased by 7.6 mg/dL in the education group; however, in the non-education group which increased by 0.4 mg/dL, the difference of mean change was not significant (p = 0.051).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home visiting nutrition education increases th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as well as, it is effective to change dietary habits. If the education period is extended, not fasting blood glucose improvement was insignificant, but fasting blood glucose improvement ability could be found by changing dietary habits.

광주지역 대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 및 편의식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 김경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1-1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618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Gwangju area, from November twentieth to November thirtieth, 2002. The subjects included 301 males (48.7%) and 317 females (51.3%).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er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was 3.7, 88.0 and 8.3 far the males, and 29, 71 and 0 for the females, respectively. Most students (73.8%) skipped breakfast. This was because of lack of time (65.1%) of the cases. Self-reported eating habit problems were eating irregular meal (52.4%), overeating (21%), prejudiced meal (12.4%) and skipping meal (7.4%). The type of favorite snack was biscuit (31.9%) and cup Ramyon (31.9%). The rates of alcohol drink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88.0% and 85.8% respectively, and the rates of smoking were 35.9% and 28% respectively. Males ate fiequently cup Ramyon (2.08 $\pm$ 2.95), fries (pork cutlet, fried potato) (1.91 $\pm$ 2.58), Ramyon (1.81 $\pm$ 3.00) and kimbab (1.70 $\pm$ 3.17) more frequently, while females ate kimbab (2.25 $\pm$ 3.26), cup Ramyon (1.89 $\pm$ 2.09), fries (pork cutlet, fried potato) (1.77 $\pm$ 2.67), Ramyon (1.46 $\pm$ 1.1.95) and fish paste (1.45 $\pm$ 2.22) more frequently.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e mean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students living in home were lower than that of students living in dormitory and boarding w/cooking. When the amount of pocket money available and the body mass index increased and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was low, the mea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increased. The mea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correlated negatively with nutritional knowledge (p < 0.01).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eded so a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s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2) : 181~191, 2003)

영남지역 21개 호소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from 21 Lakes in the Yeungnam Area including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Korea)

  • 김상기;강영훈;홍기붕;유동욱;석호영;채병수;김한순;황의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8-299
    • /
    • 2011
  • 2008년 4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영남지역 21개 호소를 중심으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15과 44속 61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잉어과가 32종 (52.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 어류가 6종 (9.8%)이었다. 호소별 출현종수는 진양호에서 3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다. 전체 호소에서 확인된 61종의 어종 중 개체수에 근거할 때, 우점종은 빙어 (26.6%), 아우점종은 긴몰개(14.8%)로 나타났으며, 생체량에 근거할 때, 우점종은 블루길 (19.8%), 아우점종은 잉어 (14.8%)로 나타났다. 확인된 61종 중 한국 고유종은 6과 20종으로 나타났으며, 긴몰개가 전체 개체수의 14.8%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인 꼬치동자개는 용연지와 영천호, 잔가시고기는 용연지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용연지의 꼬치동자개는 낙동강수계에서 최근 이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래도입종으로는 배스, 블루길,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백련어로 총 5종이 확인되었다. 블루길은 풍락지, 합천호, 번개늪, 장척호, 주남저수지와 같은 5개 호소에서 우점종 또는 아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타 수계로부터 낙동강으로 이입된 종으로 끄리, 강준치, 치리, 살치, 동자개, 빙어, 얼록동사리의 7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끄리는 임하호와 영천호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어목 동사리과에 속하는 좀구굴치가 낙동강 유역의 질날벌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21개 호소의 어류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호소의 종다양도, 균등도, 우점도 지수는 각각 1.079, 0.604, 0.134로 나타났으며, 호소별 어류상의 유사도는 저수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일시기에 영남 지역에 위치하는 21개의 호소를 대상으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이후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집단(地域集團)의 식품태도(食品態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Food Attitudes at the Community Level)

  • 김인순;채범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1호
    • /
    • pp.76-83
    • /
    • 1976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지역집단(地域集團)의 각(各) 식품군(食品群)에 대한 태도(態度)를 밝혀내고 나아가서는 영양개선사업(營養改善事業)의 평가(評價)와 아울러 특정(特定) 식품(食品)의 섭취량(攝取量의) 차이(差異)에서 기인(起因)하는 영양문제(營養問題)의 적절(適切)한 해결방안(解決方案)을 모색(摸索)키 위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제공(提供)키 위(爲)함이다. 이는 1973년 8월 보건사회부(保健社會部)가 서울특별시외(特別市外) 3개도(個道)에서 층별다단추출법(層別多段抽出法)에 의(依)하여 추출한 30지역(地域), 600가구(家口)을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한 국민영양조사중(國民營養調査中) 8개지역(個地域)을 선정(選定)하여 그 중(中), 식품섭취실태조사자료(食品攝取實態調査資料)에 그 근거(根據)를 두고 있다. 각(各) 식품군(食品群)에 대(對)한 전대상지역(全對象地域)의 태도(態度)는 다음과 같다(괄호안은 친지성(親知性) 지수(指數)). 1. 장유류(醬油類) (-1.20) 2. 유지류(油脂類) (-1.12) 3. 두류(豆類) (-0.06) 4. 저장야채(貯藏野菜) (-0.45) 5. 해조류(海藻類) (-0.32) 6. 사당류(砂糖類) (-0.19) 7. 신선야채(新鮮野菜) (-0.15) 8. 미류(米類) (-0.13) 9. 맥류(麥類) (-0.07) 10. 저류(藷類) (-0.06) 11. 선어개류(鮮魚介類) (0.44) 12. 저장어개류(貯藏魚介類) (0.56) 13. 난류(卵類) (1.06) 14. 과실류(果實類) (1.26) 15. 수조육류(獸鳥肉類) (1.33) 16. 유(乳) 및 유제품(乳製品) (2.87) 또한, 지역집단(地域集團)의 식품(食品) 친화도(親和度)는 식품군(食品群)에 따라 매우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있으나, 지역간(地域間)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으며, 미류(米類), 맥류(麥類), 두류(豆類), 저류(藷類), 저장야채(貯藏野菜), 과실류(果實類), 해조류(海藻類), 수조육류(獸鳥肉類), 난류(卵類), 선어계류(鮮魚介類) 및 유지류(油脂類)의 섭취량(攝取量)은 지역집단간(地域集團間)에 매우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신선야채(新鮮野菜), 저장어개류(貯藏魚介類), 유(乳) 및 유제품(乳製品)의 경우(境遇)에는 지역집단(地域集團)에 따른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자연형 도시하천의 식생 및 어류 다양성과 특성 평가 (An Assessment on Vegetation and Fish Diversity in Natural Urban Stream)

  • 김홍배;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4
    • /
    • 2006
  •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생태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시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시키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B시의 상동천을 대상으로 하여 인공하천으로 조성 한 후 식생 및 어류생태계의 모니터링과 어류의 습식에 의한 조류의 제거 특성을 평가하고 하천생태계의 복원과정과 조류의 제거로 인한 수질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초적인 하천생태계는 조성된 후 4년이 지난 시점에서 건전하게 재생 복원되고 있었으며, 식물상 및 식생군락은 모두 관속식물 문으로 44과 73속 79종 14변종으로 총 9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어류는 총 3과 8종 354개체로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에 내성이 강한 참붕어, 잉어, 붕어 등이 우점 하여 출현하였으며 상대풍부도를 비교할 시 참붕어가 50.5%, 잉어 21.2%, 붕어 20.9%, 버들매치 7.1%, 미구라지 0.3%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하천 특성상 조류의 이상 증식에 따른 어류의 식이물에 대한 분석 결과 조류를 잉어(Cyprinus Carpic)는 90%이상, 붕어(Carassius Auratus)는 30%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표본에 대한 개략적 분석에서 체장 약 34cm 개체의 잉어가 습중량 43.2g의 조류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대형개체의 잉어가 조류의 제거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실험하천의 수목과 수생식물은 조성 당시에 임의로 식재되어 하천생태계의 식생 특성과 수질정화 효과를 크게 기대 할 수 없었으며 앞으로 자연형 하천은 조성 당시부터 생태하천공학적인 수질 및 수리 모델링에 의하여 설계한 후 조성이 이루어져야 수질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류생태계는 잉어를 비롯한 대형개체의 도입으로 인하여 고차 소비자의 생체량이 증가함으로서 먹이사슬의 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어류에 의한 조류제거는 일부 식이특성에 따라 습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큰 효과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 PDF

하구 순환 유지 여부에 따른 하구 주요 생물 군집별 다양성 특성 연구: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에서의 γ-, α- 및 β-다양성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Diversity Characteristics (γ-, α-, and β-diversity) of Biological Commun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Estuaries)

  • 오혜지;장민호;김정희;김용재;임성호;원두희;문정숙;권순현;장광현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84-98
    • /
    • 2022
  • 하구 생태계는 담수와 해수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전이수역(transitional waters)이라는 특이성을 가지며, 염분 및 영양염 농도와 같은 수질 환경이 서로 다른 다양한 서식처를 구성하고 있어 생물 다양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하구 순환은 수질은 물론 하상과 같은 물리학적 환경의 구배(gradient)를 유발하여 최종적으로 생물 군집 조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작으로, 순환이 단절될 경우 기수역 형성을 저해하고 생물의 이동을 차단하게 되어 생물상의 공간 분포, 즉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대상 지점 중 상류부터 하류까지 공간 구배에 따른 생물 다양성 평가가 가능한 복수 지점들로 구성된 하구를 선별하여 부착돌말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 군집을 대상으로 α-, γ- 및 β-다양성을 산출, 그 경향을 파악하여 열린하구와 닫힌하구 간 비교를 통해 하구 순환 유지·단절에 따른 하구 구간 내 종 다양성 변동 경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모든 분류군에서 하구를 포함한 하천 구간 전체의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γ-다양성이 닫힌하구와 비교했을 때 열린하구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구간 내 지점 간 종 다양성 변동을 의미하는 β-다양성의 경우, 저서생물에서만 열린·닫힌하구 간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 하구 순환 단절이 하구 구간 내 지점들 간 저서생물 종 조성 및 풍부도의 공간적 이질성(heterogeneity)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질 환경 구배에 따른 각 생물 군집의 하구 구간 내 지점별 α-다양성 및 β-다양성에 기여하는 정도(LCBD, LCBDt, LCBDn)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린하구 대비 닫힌하구에서 대체로 보다 높은 상관계수(r)가 분석되었으며 두 하구 유형에서 보여지는 상관관계가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 r 값이 ±0.4 이하로 지점별 다양성 지수와 환경 요인 간에는 뚜렷한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생물 기능군(functional group), 생활사와 같은 군집별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서식처 환경요인(예: 유속, 하상)들과의 추가적인 관계 분석을 통해 하구 순환 유지 여부에 따른 생물 군집의 반응을 이해한다면 생물 다양성 관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하구의 생물 다양성 현황을 바탕으로 형산강 및 교성천 하구에서 부착돌말류, 발안천 하구에서 저서생물, 교청선, 불갑천 및 판교천(서천) 하구에서 어류 군집의 γ- 및 β-다양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현황 파악은 지속적으로 하구 수생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있어 생물 다양성 측면에서 건강성 유지를 위한 하구 생태계 관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금강하류의 어류상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섭식길드 파악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in the Lower Geum River and Identification of Trophic Guilds using Stable Isotopes Analysis)

  • 윤주덕;박상현;장광현;최종윤;주기재;남귀숙;윤조희;장민호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34-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먹이망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금강 하류에서 출현한 어류만을 대상으로 어류상, 담수역과 해수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차이, 담수어류의 섭식길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강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하구둑 기준 상류 20 km, 하류 10 km 구간에서 채집된 어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섭식길드의 분석은 담수어류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보고된 섭식길드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하구둑 상류와 하구둑 하류의 어류상은 완전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회유성 어종 (웅어, 가숭어)들만 양측에서 모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서도 하구둑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에 서식하는 종들의 수치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다. 하구둑 하류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경우 기수 및 해양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고 담수종의 경우 담수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부 회유성 종의경우 담수에서는 해수 신호가 해수에서는 담수신호가 감지되었는데 이는 생태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판별분석 결과 섭식길드는 문헌과 약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개체 발생 단계에 의한 결과일 것으로 판단되며,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정동위원소의 경우 지역, 시기, 발생단계에 따라 동일 종이라 할지라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항상 고려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지역별로 개체를 분석하여 섭식길드를 제시하는것이 지역의 어류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