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toxicity index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9초

FT-IR과 FED를 이용한 건축 재료의 연소독성평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for Assessment Fire Toxic Gas of Construction Material Using FT-IR and FED)

  • 김성수;조남욱;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7-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장 재료에 대한 연소독성평가와 독성지수연구로써 FT-IR을 이용한 연소가스 분석실험을 하였다. 독성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의 화재모델로 콘 칼로리미터 화재모델(KS F ISO/TR 9122-4)을 사용하였으며 ISO 19702의 절차에 따라 FT-IR을 이용하여 건축 재료의 연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제규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몇 가지 독성지수 산정법 중 ISO 13344에서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FED 값을 산정하였으며, 30분간 시험동물에 노출 시 대상의 50 %가 사망하는 농도인 $LC_{50}$을 기준으로 하여 3가지 재료의 독성지수화를 통해 상대적인 독성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0.025~0.285의 FED가 산출되었으며 우레탄에서는 HCN이 검출되었다.

난연도료를 도장한 바탕재의 화재 위험성평가 (A Fire Risk Assessment of Substrate for Fire Resistant Painted)

  • 박영근;이두형;윤명오;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1-58
    • /
    • 2005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난연도료를 바탕재(FRP PVC, AL, 스테인레스 스틸)에 도장한 실험체에 대하여 난연성. 화염전파. 산소지수. 가연성, 연기밀도, 독성지수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체(AL, 스테인레스 스틸)의 난연1급실험은 적합하였으며, 실험체(FRP, AL, 스테인레스 스틸)의 화염전파실험에서 착화되지 않았고, 실험체 모두의 산소지수는 약 $50\%$, 가연성실험은 V-0급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기밀도 챔버를 이용한 Flaming mode에서 최대연기밀도는 43-338 및 덕성지수는 0.57-1.12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검지관법에 의한 플라스틱재료의 연소가스 독성평가 (The Combustion Gases Toxicity Evaluation of Plastics Material by Colorimetric Gas Detector Tubes)

  • 박영근;김동일;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7-84
    • /
    • 2002
  • 본 연구는 플라스틱재료 중 비드발포폴리스티렌폼, 압출발포폴리스티렌폼, 연질폴리우레탄폼, 경질폴리우레탄폼, 경질PVC파이프, 비닐장판, 폴리에틸렌폰(비난연), 폴리에틸렌폼(난연)를 대상으로 연소가스 독성평가를 위하여 NES 713 방법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가스텍(GASTEC) 가스검지관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플라스틱재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인간이 30분 동안 노출될 경우 사망에 이르는 독성지수 1 이상을 갖고 있었으며, 각 실험체의 독성지수 결과는 4.3∼179.2로 나타났으며 경질 PVC파이프가 179.2로 가장 높았다.

방염처리된 단청목재의 방염성능 및 유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nd Toxicity of the Painting Wood Painted with Flame Retardant Solution)

  • 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6-7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방염처리 단청목재에 대한 방염성능 및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그 독성지수에 근거한 유독성을 평가하였다. 시료에 대한 방염처리방법과 시료처리의 환경조건은 방염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소가스의 발생량은 방염액을 분무도포한 시료들에서 거의 비슷한 발생량을 보였고 독성지수는 위험등급 III에 해당하는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었고, 방염액을 가압함침시킨 시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도인 위험등급 II를 나타내었다.

연소 독성 기반 우레탄 화재의 위험성 평가 연구 (A Research of Risk Assessment for Urethane Fire Based on Fire Toxicity)

  • 김성수;조남욱;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73-78
    • /
    • 2015
  • 리스크 관리 대상 중 화재는 대형재해임과 동시에 물적 인적 손실을 동반하는 고위험군 항목에 속한다. 따라서 재난안전관리에서는 실천적 측면에서의 화재예방활동과 발생 가능한 화재위험성 예측, 화재 피해 최소화를 위한 안전관리비용 투자가 요구되며 인적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스 유해성 시험(KS F 2271)기반 연소 독성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화재위험성평가 기법의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한 연구로, 두께 5~25 mm의 우레탄 시료를 대상으로 가스 유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동물에 노출되는 연소생성물은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로 분석하여 ISO 13344의 연소독성지수 Lethal Fractional Effective Dose ($L_{FED}$)를 산출하였다. 또한, $L_{FED}$에 기초하여 시료의 Lethal Concentration 50% ($LC_{50}$)을 산정한 결과, 일정치 이상의 화재하중을 가지는 우레탄 시료의 $LC_{50}$$118{\sim}129g/m^3$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당 기법이 우레탄 화재 위험성 분석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본 기법의 적용으로부터 유해가스에 의한 인적피해 예측을 기반으로한 건축물 안전 확보 차원의 전략적 투자확대의 자료로 활용 가능케 하였다.

고분자재료의 연소가스 독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Gases Toxicity Evaluation of Polymeric Material)

  • 박영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13
    • /
    • 2001
  • 본 연구는 고분자재료 중 방염미처리된 합판, 방염처리된 합판, 경질PVC, 경질우레탄폼의 연소가스 독성평가를 위하여 열분해 온도 $600^{\circ}c$, $800^{\circ}c$, $1000^{\circ}c$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가스텍(GASTEC) 가스검지관(Colorimetric gas detector tube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고분자재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인간이 30달 동안 노출될 경우 사망에 이르는 독성지수를 갖고 있었으며, 열분해 온도 $800^{\circ}c$에서 독성지수는 경질 PVC가 31.94로 가장 높았다. 또한 열분해 온도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이산화탄소($CO_2$)와 일산화탄소(CO)로. 나타났으며, 동일재료라도 열분해 온도에 따라 독성지수(T.I)는 차이가 있었다.

  • PDF

건축용 외장재와 접착제 연소가스의 독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xicity Analysis of Combustion Gases of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s and Architectural Adhesives)

  • 김원종;박영주;이해평;임석환;김정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5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oxicity test apparatus, to analyze toxic gases of heat insulation material and adhesives of composite panels used for the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 when a fire occu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 $CO_2$, HCOH, $CH_2CHCN$ and $NO_x$ were detected from styrofoam, reinforced styrofoam, polyurethane foam and glass fiber, but in the case of the polyurethane foam, HCl and HCN were detected as well. All the architectural adhesives released CO, $CO_2$ and $NO_x$, but HCHO was only detected from the adhesives for styrofoam, wood, tile, windows and doors; $CH_2CHCN$ was only from those for wood and stone; $C_6H_5OH$ was only from those for wood. The toxicity index was also measured for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 and adhesives. Polyurethane foam showed the highest index, 11.7, and glass fiber was followed as 6.8. Reinforced styrofoam showed 5.7 and styrofoam revealed the least 4.9.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adhesives, the highest ranking was those for stone 7.4, windows and doors 6.1, wood 5.3, tile 3.8, and styrofoam 3.7 were followed, respectively.

연소독성지수와 마우스 행동정시시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oxic Gas Index and Stop Time of Mouse Activity)

  • 조남욱;이종천;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5-41
    • /
    • 2011
  • 연기독성생성물로 인한 인명피해가 주요한 화재피해로 보고되고 있다. 화재로 인한 연기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시험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KS F 2271의 가스유해성시험으로 건축마감재료의 유해성을 평가하고 있다. 현행 가스유해성시험은 발연가스를 설치류(실험용 흰 쥐)에 노출시켜 행동시간을 측정하여 연소가스 독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고분자소재(우레탄 및 고무바닥재)를 대상으로 가스유해성시험을 수행하고 이때 발생되는 가스를 FT-IR로 정량분석하였다. 정량분석결과는 BS6853에서 규정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독성지수(R)를 산정하였다. 동물시험과 독성지수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두 시험법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독성평가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Efficiency Estimation of Toxicity Free Eire Resistance Cable

  • Yoon, Hun-Ju;Hon, Jin-Woo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3권3호
    • /
    • pp.34-38
    • /
    • 2002
  • In this paper, efficiency estimation of toxicity fee fire resistance cable experiments was measured smoke density of toxicity free fire resistance polyolefin insulation material and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tree shape in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One of the most serious causes of failure in high-voltage cables, can be an electrical discharge across an internal gab or void in the insulating material. Treeing due to partial discharg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breakdown in the insulating materials and reduction of the insulation life. Therefore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method to diagnose the aging of insulation materials and to predict the breakdown of insulation and research of the fire resistance character has become important. First, we have studied on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tree shape in LDPE about treeing phenomena occurring on the high electrical field. Second, the measurement method is the attenuation quantity of irradiation by smoke accumulating with in a closed chamber due to non-flaming heat decomposition and flaming combustion. A main cause of fire-growth and generating toxic gas when, it bums, should be dealt with great care in life. safety design. The fire gases were occurred carbon monoxide and decomposition than in polyolefin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of PVC, which has high content of carbon in chemical compound.

철도차량용 전선의 화재안전기준 조사 (Study on the cable fire test for Train)

  • 이덕희;이관섭;정우성;이철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9-1124
    • /
    • 2008
  • Defect of the Cable is one of the most frequent cause of fire accident for years. It also take a big part of the fire load for train.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standard code of other countries for cable fire test. Oxygen index, flame propagation test, smoke test and toxicity test codes were investigated. We also suggest the our national code for train c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