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ource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31초

연기입자의 광학적 특성과 신경망을 이용한 화원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ources Analysis Us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Smoke Particles and Neural Networks)

  • 지승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64-70
    • /
    • 2014
  • 신경망은 연기입자의 광학적 특징으로부터 화원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UL268에서 연기감지기 시험에 사용되는 세 가지 화원(종이화원, 목재화원, 인화성 액체화원)들의 광학적 특징으로 신경망을 훈련시켰다. 또한, 소광과 산란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연기챔버를 제작하여 연기의 광학적 특징을 얻고 그 결과를 신경망에 입력하였다. 종이화원, 목재화원, 인화성 액체화원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신경망은 화원을 정확하게 구별하였다. 또한, 종이-목재화원, 종이-인화성 액체화원, 목재-인화성 액체화원과 같은 복합화원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화원을 모두 구별하였다.

SIMPLE Algorithm을 이용한 화재실의 열 유체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Heat Flow in Fire Compartment using SIMPLE Algorithm)

  • 김광선;손봉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7-22
    • /
    • 1992
  • We have derived the general transfer equation for governing the continuity, energy transfer, mass and momentum transfer, and turbulent energy dissipation rate within the fire compartment which has the 800t fire source at the center of the floor. The governing transfer equations have been descretized using the finite volume approach and numerically experimented under the SIMPLE algorithm. In order for the SIMPLE algorithm approach to be physically reliable,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Morita's SOR Method using Conjugate Residual Method and found to be close to physical values though the computational convergence time still remains to be upgraded. The treatment of source terms in the system of finite difference equations has been critical in order to converge the governing equations within the appropriate time steps. The criteria of convergence allowance for the whole domain have been checked and the sudden change of the non-linear effects from the source term have been avoided. The criteria has been allowed to be for 5$\times$10$^{-5}$ .

  • PDF

Experimental Study on Fire Hazard of Residential Fires Before and After Sprinkler Activation

  • Sekizawa, Ai;Yanai, Eiji;Takemoto, Akio;Kozeki, Daisuke;Suzuki, Keiko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376-383
    • /
    • 1997
  • Fi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real scale room which is assumed to be a residential living room under the various opening conditions and locations of wood crib fire source to study on fire hazard before and after sprinkler activation. Concentrations of oxygen and carbon monoxide, smoke density, and temperature were measured to look in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room of fire origin. The response time of residential sprinklers was also examined in relation to distance between sprinkler heads and a fire source.

  • PDF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Pool Fire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ool Fire by Height of Fire Source)

  • 박형주;차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71-4676
    • /
    • 2010
  • 화점높이 변화에 따른 풀 화재의 연소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화성액체인 메탄올과 노르말 헵탄을 $100mm{\times}100mm{\times}50mm$ 크기의 사각형 용기에 내에 넣고 연소실험을 하였다. 용기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를 사용하였다. 연소시간, 질량감소속도, 화염온도, 화염높이 및 외부에서 화염으로의 공기유입속도 등을 측정하였으며 연소시 화염의 거동은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화점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외부에서 화염으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하여 풀 화재의 연소특성이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업무·판매시설의 화재통계조사 및 초기화원분류를 통한 화재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cenarios according to Initial Fire Source Classification and Fire Statistics Investigation of Business & Sales Faciliteis)

  • 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2-43
    • /
    • 2017
  • In Korea, The buildings are getting higher and bigger, and also the fire risk is getting increased. The PBD was introduced in 2009 for the fire safety of these buildings, but the study on making scenario based on actual case of fire is insufficient. Therefore on this study, it will conduct an experiment about initial fire classification and making fire scenario based on that actual fire statistic investigation classification of PBD buildings as offic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 PDF

축소터널 철도차량 화원 설계 및 임계속도 측정연구 (Design of Fire Source for Railway Vehicles and Measurement of Critical Velocity in Reduced-Scale Tunnels)

  • 박원희;황선우;김창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59-6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형을 이용한 철도터널의 화재안전성 평가 실험시 필요한 축소모형 철도차량의 화재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철도터널 축소모형 실험시 활용된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화재부력을 위하여서는 메탄올 화원을 이용하였으며, 연기 가시화를 위하여서는 스모크카트리지를 활용하여 철도차량 화재를 모사하였다. 지하철 철도차량의 열방출률의 모사를 위하여 다양한 메탄올 연료 팬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 및 저울을 이용하여 열방출률을 측정하였다. 설계된 축소모형 철도차량 화원을 이용하여 축소모형 철도터널에서의 임계속도를 측정하였다. 화재 임계속도는 축소모형 터널 상부에서의 온도 및 레이져를 이용한 가시화 측정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CHARACTERISTICS OF SMOKE CONCENTRATION PROFILES WITH UNDERGROUND UTILITY TUNNEL FIRE

  • Kim Hong Sik;Hwang In Ju;Kim Youn-Jea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4-98
    • /
    • 2005
  • Accurate prediction of the fire-induced air velocity, temperature and smoke flow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 becomes more important for the optimization of design and placement of heat and smoke dete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 systems, the behaviors of fire-induced smoke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are investigated. Especially, two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of tunnel, such as rectangular and circular types are modeled. Also, fire source is modeled as a volumetric heat source. Three-dimensional thermal-flow characteristics in an underground tunnel are solved by means of FVM using SIMPLE algorithm. The effects of shape geometry on the fire-induced flow characteristics are graphically depicted. It is desirable that heat and smoke detectors are installed on the cables and the top of the wall.

도로터널용 방수노즐 위치제어형 자동소화설비의 화재감지성능실험 (Fire Detection Performance Experiment of the Water Jet Nozzle Position Control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for Road Tunnels)

  • 김창용;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85-91
    • /
    • 2019
  • 이 연구는 불꽃파장 감지기술과 불꽃영상 감지기술을 융합한 도로터널용 자동소화설비의 화재감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이다. 화재감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 융합기술은 화재 시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노즐을 화원으로 향하여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만 가압수를 방사함으로서 화재진압에 따른 수손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로터널의 화재 중 불꽃 및 연기가 선행되는 상황에서 각각 15 m, 20 m, 25 m, 30 m, 35 m 거리에 $70cm{\times}70cm$의 목표물을 두었을 때 화원의 위치를 파악하는지를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농연의 간섭으로 인해 자외선 및 삼파장적외선센서의 감지능력이 감쇠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농연으로 인해 불꽃이 가려진 경우 이미지센서가 농연을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함을 확인하였다.

실내화재에서의 열감지기 동작특성 분석 (Analysis on Activation Characteristic of Heat Detectors in a Compartment Fire)

  • Ryu, Hocheol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98-608
    • /
    • 2014
  • 소방대상물에서의 경보설비는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를 최초로 알려주는 설비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자동화재탐지설비와 같은 경보설비의 최초동작을 빠르게 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감지기의 동작은 설치위치와 화원의 위치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감지기 설치 기준은 설치 위치와 화원의 위치는 중시하지 않고 면적과 높이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에 대한 사항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열감지기와 보를 설치하고, 일반적인 화재를 가정하여 5 개소의 화원을 발생시켜 설치된 감지기의 동작시간을 측정하였고, 감지기의 설치위치와 화원의 위치를 고려한 화재실험을 통하여 열감지기의 동작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열감지기는 벽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감지기에서 작동지연현상이 보였으며, 벽면에서 적어도 22cm 이상 이격해서 설치하여야 한다. 화원이 보 외측에 존재할 때 감지기는 보에서 55cm 이격한 거리에서 동작이 가장 빨랐다. 또한 화원에 근접한 감지기와 가장 늦게 동작한 감지기의 동작시간의 차이는 피난거리로 환산하였을 때 최대 115 m 의 피난거리가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적합한 위치와 적응성을 고려한 감지기의 선택은 피난개시 시간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터널 내 차량 화재에 따른 연기 확산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of Smoke Spread Caused by Vehicle Fire in a Road Tunnel)

  • 윤용균;주은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5호
    • /
    • pp.365-37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환기구의 존재, 환기구 설치 대수, 환기구 용량, 복수 화원의 존재가 도로터널에서 발생한 차량 화재에 의한 연기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6개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FDS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 환기구의 설치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기의 온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기구의 설치 대수가 2대인 경우와 3대인 경우에 온도 감소 효과는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기구의 설치 용량은 환기구의 설치 대수 보다 연기 온도 감소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환기구가 없는 시나리오 No. 1과 복수 화원을 갖는 시나리오 No. 6를 제외한 나머지 시나리오에 대해서 해석한 결과 화원 상부에서의 연기 온도는 모두 $400^{\circ}C$ 이하로 나타났는데, 이는 화원 상부 연기층에서 발생하는 복사에 의해 화원 주변 가연물의 착화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