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esponse Manual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41초

산불현장 지상진화 행동매뉴얼 구축 방안 -국유림관리소 지상진화대원 업무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Plan of Ground Fire Fighter Conduct Manual on Forest Fire Occurrence Site -Case Study on Ground Fire Fighter Team of National Forest Office-)

  • 이시영;이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14
    • /
    • 2007
  • 산불현장에서 산불진화 단계에 따라 조치하여야 할 국유림관리소의 개인별 임무 역할 수행내용에 대한 행동매뉴얼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매뉴얼의 적용범위는 (1) 헬기 도착 전에 초기산불 진화에 활용, 2) 헬기 투입 후 지상진화지원 활동에 활용, (3) 헬기 철수 후 뒷불진화에 활용, (4) 헬기진화 불가능한 야간진화에 활용에 두었다. 또한, 본 매뉴얼은 주로 현장진화 지휘자 또는 담당자의 임무를 산불대응 단계에 따라 제1단계인 산불접수단계에서 10단계 철수단계에 이르기까지 총 10단계로 구별하여 정리하였으며, 진화대원들이 평상시 이를 숙지하여 진화대원의 안전은 물론이고 체계적이고 신속한 현장 대응을 통해 산불로부터 인명, 재산피해 및 산림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자 개발하였다.

문화재 화재 대응훈련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TRAINING PROGRAM BASED ON DIGIEAL CONTENTS FOR PROTECTING CULTURAL ASSETS FROM FIRE)

  • 기재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321-323
    • /
    • 2015
  • This study will build a prompt response system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the roof structure, to improve the ability to contain and respond to the fire of wooden structure for saf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with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that are very vulnerable to fire, and develop a training simulation program based on virtual reality by applying the concept of Edutainment for systemized and interesting training of trainees with a response manual.

  • PDF

산후조리원 화재안전매뉴얼구축을 위한 안전의식 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afety Consciousness and Improvement Plan for Fire Safety Manual in Postpartum Care Center)

  • 진승현;김혜원;한지우;박성하;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6-97
    • /
    • 2018
  • Facilities used by senior citizens, infants, and disabled people have characteristics that make it difficult to escape on their own or require a lot of evacuation time. Therefore, to ensure safety in case of fire, clear measures for securing safety of facilities, fire response methods, and training are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In case of postnatal care center facilities, newborn babies and mothers reside 24 hours a day, and as they are located in high-rise and multi-use facilities, measures for fire safety are necessary, but the domestic manual lacks. Accordingly, a field survey for security of the manual reveal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wareness and facilities on temporary waiting areas and smoke control, which are easy for evacuation and fire safety, was a problem.

  • PDF

자동식소화기용 이융성금속 감지부 헝상에 따른 열감응 특성에 관한 연구 (Heat Response According to Fusible Metal Shapes in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 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4-69
    • /
    • 2003
  • 주택화재 특히 아파트 저층부나 일반주택은 자동화설비 대신 수동식소화기에 의존하고 있어서 사람이 없거나 노약자만 있을 시에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화채로 인한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자동으로 진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자동감지장치가 탑재된 경제성 있는 자동식소화기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식 소화기의 핵심 기능인 열감지부의 최적 성능을 찾기 위하여 감지부 형상과 가열속도에 따른 작동온도와 응답특성 관계를 규명하였다. 자동감지소화기의 감지부의 이융성금속과 캡의 경우 두 재질 모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미소한 두께변화는 주변 대기의 가열속도가 낮을수록 작동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융성금속 및 캡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작동시간을 최고 40초까지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로 인한 초기 대응 능력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Initial Response Wooden Cultural Asset Architecture by Fire)

  • 이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12-121
    • /
    • 2019
  • 목조로 된 문화재 건축물들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에서 관리하는 관리의 권원이 분리되어 있으며 국보급 등 많은 문화재 건축물들이 화재로 인한 소실 우려가 높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보급 등 정부와 각 시도에서 관리하는 목조 문화재의 현황을 파악해서 방재측면에서 설치되어 있는 주요 설비 효용성과 화재 시 초기 진압과 소방차의 출동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을 하였다. 또한, 관련 법령에 의한 소화설비들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현실에 맞도록 제도 개선을 위하여 관계인에게 심층 개별 면담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부속 건물들이 인접해 있어 이에 알맞은 방재 대책을 세워 시설을 유지관리 함으로써 화재 등 재난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도달하였다. 목조 문화재의 대부분은 단독 건물에 면적이 작고 단층이기 때문에 소방법상 소방시설 설치규정에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최선의 방법으로는 화재 발생전 안전관리 대책 등 화재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여 매뉴얼에 따라 자체적으로 소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향후, 국가의 중요 문화재 건물에 대하여 화재로 소실되기 전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 전문기관이 설립 또는 지정되어 보호할 수 있도록 실질적 고려를 위한 후속 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국가재난의료매뉴얼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Disaster Medical Manual in Korea)

  • 왕순주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39-45
    • /
    • 2016
  • 세월호 참사 등 각종 재난에 있어 재난의료대응체계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는데, 이 중 현장응급의료지원팀의 현장대응 불가, 현장에서의 소방, 의료진의 협업 곤란, 현장의료지원 및 부상자의 수용, 진료를 위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매뉴얼 미비가 중요한 사항이었다. 따라서 2014년 5월부터 중앙응급의료센터 내 재난응급의료상황실 설치 운용에 따른 기존의 비공식적으로 흩어져 있던 재난의료대응 매뉴얼 수집, 수정 및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으며, 재난응급의료상황실을 중심으로 한 재난 초기 의료대응체계를 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재난의료대응 개선 방안은 신속대응반 중심의 빠른 출동 체계 수립이나, 실제 적용할 체계가 미흡하여, 2014년 2월 응급의료법 개정 시행규칙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에 재난대응 매뉴얼을 개발하고 기본안을 마련하기로 하여, 본 연구진은 학술적, 실무적으로 적절한 국가재난의료 매뉴얼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훈련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적용하였고 그 과정을 정리 분석하였다.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 필수정보 연구: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Collec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Jecheon Sports Center Fire case)

  • 조정윤;송주일;장문엽;장초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20
  • 연구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통 재난안전상황실로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수집되고 전달되고 있어 신속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대응팀과 상황실 모두 최적의 재난 상황인지 및 대응이 가능토록 재난관리 필수정보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재난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재난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당시 재난발생시 작성된 화재상황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장과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상황접수 및 보고·전파, 총력대응·지역긴급구조통제단(지통단)·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지대본) 단계,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중통단)·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운영단계, 수습복구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수집되어야할 정보와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이 가능하며,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의사결에 필요로 한 핵심정보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관리 공무원의 재난대응훈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 행정직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Officer's Perception about the Disaster Response Exercise - Focused on General Officers and Firemen -)

  • 고기봉;이시영;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4-44
    • /
    • 2010
  • 본 연구논문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관리에 관한 총괄 조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반 행정직공무원과 긴급구조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난대응훈련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두 직렬공무원 모두 재난대응훈련에 동원되는 장비 및 훈련에 필요한 예산의 확보, 유관기관 사이의 네트워크 구축, 실제상황 및 지역특성의 반영, 훈련평가결과는 재난대응매뉴얼 및 다음 훈련에 반영, 훈련에 필요한 지휘통신 시스템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에 대비한 관리방안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for the Preparation of Chemical Terrorism in Multi-use Facilities)

  • 윤성용;김시국;홍성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68-78
    • /
    • 2019
  • 현대 사회는 과거의 테러성향과는 다른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 타깃의 형태로 테러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으며 화학물질을 이용한 테러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 국한하여 피난환경 및 특성, 테러대응 매뉴얼 분석, 국내 화학물질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 대비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복잡한 다중이용시설 공간에 대비하여 테러발생 시 신속한 현장대응을 할 수 있도록 다중이용시설의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등급에 따른 관리를 제안하였다. 둘째, 테러대응 매뉴얼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화학테러의 유형 및 특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화학테러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화학테러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들을 선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선별된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물질과 같은 용어제정을 통해 통합 관리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 대비를 위한 개선방안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것으로 보여 지며, 추후 국외 사례를 통한 문제점 분석과 이를 통한 맞춤형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후학교 건축물의 재난대응을 위한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ensor Monitoring System for Emergency Response of Old School Buildings)

  • 박춘욱;이경원;이지수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3-10
    • /
    • 2020
  •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large-scale disasters such as recent earthquakes, the problem of the safety of old school buildings has emerged. The need to secure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through constant monitoring is increasing in an attempt to supplement old school buildings with weak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Traditional research is approaching the development of an existing sensor-based risk precursor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However, unlike this,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 data analysis platform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a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prepared for earthquakes, collapses, and fires, based on constantly measured data.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a safety diagnostic algorithm based on the optimal sensor-attached points and sensor data reflecting the fragile characteristics of old school buildings was derived. Utilizing this, a message and action manual system for each management / use entity of school buildings after retirement was con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