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t Response According to Fusible Metal Shapes in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자동식소화기용 이융성금속 감지부 헝상에 따른 열감응 특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Low story apartments and housings with manual fire extinguishers are very susceptible to fro damages, when people are absent or there are old and weak peoples. To reduce such fire damages, automatic fire suppression at the early stage is very important, and thus automatic and cost-effec-tiye fire extinguisher was develop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response time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mall thickness variation of the detective parts and heating rates.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of the detective parts was shown significant when the heating rate was low, The reduction in the thickness could lower the response time to 40seconds.

주택화재 특히 아파트 저층부나 일반주택은 자동화설비 대신 수동식소화기에 의존하고 있어서 사람이 없거나 노약자만 있을 시에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화채로 인한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자동으로 진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자동감지장치가 탑재된 경제성 있는 자동식소화기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식 소화기의 핵심 기능인 열감지부의 최적 성능을 찾기 위하여 감지부 형상과 가열속도에 따른 작동온도와 응답특성 관계를 규명하였다. 자동감지소화기의 감지부의 이융성금속과 캡의 경우 두 재질 모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미소한 두께변화는 주변 대기의 가열속도가 낮을수록 작동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융성금속 및 캡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작동시간을 최고 40초까지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행정자치부, '화재방호정책자료집', pp.25-28(2000. 2)
  2. 소방검정공사, '주거용 스프링클러 설비도입에 대하여', 소방검정, Vol. 11, No. 2, pp.22-34(1992. 10)
  3. 일본화재학회, '주거용 스프링클러 설비', 일본화재학회지, Vol. 42, p.39(1992. 5)
  4. 진중신, '주택에서의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제성에 대한연구 (III)', 소방2000년, No. 9, pp.90-97(1990. 8)
  5. 이춘하 외, '주거용 스프링클러 설비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pp.252-258(2001)
  6. 박용환, '이융성금속 응용 자동감지형소화기의 소화특성에 관한 연구', 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Vol. 17, No. 1, pp.1-7(2003)
  7. NASA, 'Selec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Computers', NASA Report(1990)
  8. C. W. Wilson, T. M. Trujjillo, and D. Zallen, 'Selec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Class A with Notification', NASA Report(1983)
  9. KOFEIS, '수동식 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 시험세칙', 한국소방검정공사(1999)
  10. KOFEIS, '자동식 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 시험세칙', 한국소방검정공사(1999)
  11. KOFEIS, '자동확산소화용구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 시험세칙', 한국소방검정공사(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