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aggregate particle siz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초

금강유역의 봉황천에 부존하는 잔골재 물성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of Bonghwang-cheon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

  • 오근창;김주용;양동윤;이진영;홍세선;김정찬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4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금강 지류하천에 발달한 구하상에 부존하는 잔골재의 물성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KS 품질기준과 비교하여 잔골재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봉황천의 상류에 발달한 구하상에는 하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입도가 큰 잔골재가 선별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봉황천 구하상에 부존하는 잔골재 물성은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결과를 보여 준다. 즉, 기반암종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규모 수계일 경우 잔골재 물성은 퇴적물 입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봉황천 구하상 잔골재는 밀도와 잔입자량 이외에는 전반적으로 KS 규격기준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재료의 품질변동이 고유동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인천 LNG 인수기지 #213,214-TK를 중심으로- (An Effect on the Properties of High Flowing Concrete by Materials Variations-Focused on Inchon LNG Receiving Terminal #213,214 Tanks-)

  • 권영호;김무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99-107
    • /
    • 200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experimentally an effect on the properties of the high flowing concrete to be poured in the under-ground slurry wall of Inchon LNG receiving terminal(#213,214-TK) according to variations of concrete materials. Variables for sensitivity test were selected items as followings. 1) Concrete temperature (3cases), 2) Unit water (5cases), 3) Fineness modulus of fine aggregate (5cases), 4) Particle size of lime stone powder (3cases), 5) Replacement ratio of blast-furnace slag (4cases) and 6) Addition ratio of high range water reducing agent (5cases). And fresh conditions of the super flowing concrete should be satisfied with required range including slump flow(65$\pm$5cm), 50cm reaching time of flow(4~10sec), V-lot flowing time(10~ 20sec), U-box height(min. 300mm) and air content(4$\pm$1%). As results for sensitivity test, considered flow-ability, self-compaction and segregation resistance of the high flowing concrete, material variations and conditions of fresh concrete should be satisfied with the range as follwings. 1) Concrete temperature are 10~2$0^{\circ}C$(below 3$0^{\circ}C$), 2) Surface moisture of fine aggregate is within $\pm$ 0.6%, 3) Fineness modulus of fine aggregate is 2.6$\pm$0.2, 4)Replacement ratio of blast-furnace slag is 45~50% and 5) Addition ratio of high range water reducing agent is within 1%. Based on the specification for quality control, we successfully finished concrete pouring on the under-ground slurry wall having 75,000㎥(#213,214-TK) and accumulated real date in site.

입도분포를 고려한 석분 사용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 성질의 변화 이해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Employment of Stone Dust consid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 강수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15-72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의 잔골재 일부를 석분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재료의 성질 변화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실험결과와 입도분포 특성과의 연관성을 여러 가지 모델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잔골재 중량 대비 0~30% 범위에서 석분을 치환한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해 유동성, 레올로지 특성, 강도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석분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향상되고, 레올로지 정수(항복응력 및 소성점도)값이 감소하며,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모르타르를 구성하는 고체 입자들의 충전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최대 충전밀도를 얻기 위한 최적 입도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석분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들의 입도분포가 최대 충전밀도를 얻기 위한 최적 입도분포에 더 가까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균제곱근 오차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최적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석분 사용을 통한 입도분포 개선이 유동성의 향상과 소성점도의 감소, 그리고 강도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관련한 여러 모델들을 이용하여 제시하였으며, 항복응력의 감소는 석분 사용에 따른 평균입경 크기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숏크리트용 혼합골재로서 스크리닝스의 활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screenings for shotcrete's combined aggregates)

  • 한승환;유태석;김낙영;김홍종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49-160
    • /
    • 2013
  • 숏크리트의 배합에 스크리닝스를 활용하는 기술이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필요할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스크리닝스의 재활용은 단순히 폐자재의 활용에 의미가 있는 것뿐만 아니라, 최근의 양질 모래 부족으로 인한 품질저하를 극복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숏크리트용 혼합골재로서 스크리닝스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5개 지역별 스크리닝스에 대한 물리적인 특성과 스크리닝스를 혼합한 잔골재의 물리적인 특성, 그리고 숏크리트용 혼합골재의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스크리닝스의 종류에 따른 최대 혼입량을 산정하였다.

난각으로부터 합성된 초미립 CaO 분말을 이용한 C3S, C2S, C3A 분말 합성 및 혼합 경화체에 미치는 C3A 함량의 영향 (Synthesis of C3S, C2S, C3A Powders using Ultra-fine Calcium Oxide Powder Synthesized from Eggshell and Effect of C3A Content on Hardened Mixed Aggregates)

  • 공헌;권기범;박상진;노효섭;이상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93-501
    • /
    • 2019
  • In this work, ultra-fine calcium oxide (CaO) powder derived from eggshells is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to synthesize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The prepared CaO powder is confirmed to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500 nm. MTAs are synthesized with three types of fine CaO-based powders, namely, tricalcium silicate (C3S), dicalcium silicate (C2S), and tricalcium aluminate (C3A). The synthesis behavior of C3S, C2S and C3A with ultra-fine CaO powder and the effects of C3A content and curing time on the properties of MTA a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MTA powders are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XRD),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and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The microstruc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MTA powder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C3A wt.% and curing time. Furthermore, MTA with 5 wt.% C3A is found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horten the curing time.

제주 해안지역 모래의 광물성분에 기인한 공학적 특성 및 잔골재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ty for Fine Aggregates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by Mineralogical Composition of Sands on the Coast of Jeju Island)

  • 김승현;이동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화산섬 제주의 해안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모래들을 성인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규산염모래, 탄산염모래, 혼재된 모래)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기본물성은 일반적인 모래의 비중에 비해 규산염모래는 다소 높고 탄산염모래는 낮은 값들을 포함하여 넓게 분포하며 전체적으로 비교적 입경이 큰 탄산염광물이 혼재되어 있어 분급이 불량하고 균등계수가 낮다. 구성성분에 따른 압축강도와의 관계는 규산염성분은 압축강도와 양의 상관을 보이고 탄산염성분은 음의 상관을 보여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보인다. 두성분의 비가 1:1을 기준으로 탄산염성분비가 작아지는 지역의 모래는 건설용 잔골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탄성계수 산정 시 압축강도의 2제곱근(ACI 308)과 3제곱근(KCI 2012)을 비교하기 위해 탄성계수를 무차원하여 검토하였다.

잔골재 입자 크기에 따른 모르타르의 레올로지 거동 특성 (Fine Aggregates Size Effect on Rheological Behavior of Mortar)

  • 이진현;김재홍;김명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36-5645
    • /
    • 2015
  •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 건설재료의 강도와 작업성은 구성하는 잔골재의 조립률, 입자 크기, 흡수율 등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잔골재의 입자 크기와 그에 따른 입도 분포는 시공 품질을 좌우하는 건설재료의 작업성을 결정한다. 최근 들어 건설현장에서는 천연모래의 수급 불안정으로 다양한 종류의 잔골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잔골재의 입자 크기에 대한 검증 없이 사용하는 경우 건설재료의 품질 저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잔골재의 입자 크기가 모르타르의 레올로지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설재료의 작업성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모르타르의 작업성 평가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미니 슬럼프 플로 시험과 건설재료용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레올로지 특성, 즉 항복응력과 소성점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샘플은 일반 모래에 대한 체가름 시험을 통해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한 11가지 종류의 모래를 동일한 배합비로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입자 크기가 0.7 mm 이하로 작아질수록 모르타르의 항복응력과 소성점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입자 크기가 0.34 mm 이하로 작아지면 모래 입자의 흡수율에 따른 영향이 커짐을 확인하였고, 흡수율만큼 배합수를 증가시키면 이에 대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었다. 따라서 0.34 mm 잔분에 대한 흡수율 보정은 건설재료의 작업성 관리에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the type of sand on the fra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and concrete

  • Belhadj, Belkacem;Bederina, Madani;Benguettache, Khadra;Queneudec, Michele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2권1호
    • /
    • pp.13-27
    • /
    • 2014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epen the characterization studies already led on sand concretes in previous works. Indeed, it consists in studying the effect of the sand type on the main properties of sand concrete: fra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e particularly insis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his material which apparently have not been studied. To carry out this study, four different types of sand have been used: dune sand (DS), river sand (RS), crushed sand (CS) and river-dune sand (RDS). These sands differ in mineralogical nature, grain shape, angularity, particle size, proportion of fine elements, etc.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and has marked its influence in all the studied properties of sand concrete since the sand having the highest diameter and the best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s given the best fra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grain shape, the angularity and the nature of sand have also marked their influence: thanks to its angularity and its limestone nature, crushed sand yielded good results compared to river and dune sands which are characterized by rounded shape and siliceous nature. Finally, it should further be noted that the sand concrete presents values of fra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ordinary concrete. Compared to mortar, although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er, the fracture parameters are almost comparable. In all cases, the sand grains are debonded from the paste cement during the fracture which means that the crack goes through the paste-aggregate interface.

잔골재의 입도분포가 SSPM의 침투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ne Aggregate Size on Penetration Performances of SSPM)

  • 윤현광;윤다애;이찬우;박완신;윤현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5-31
    • /
    • 2019
  • 본 연구는 콘크리트 내부 공극 및 계면 사이에 깊게 침투가 가능한 실란복합화합물을 기반으로한 표면보호재 (Silane Surface Protection Material, SSPM)를 사용한 기존 콘크리트 내구성 향상 방안 도출을 위해 실시되었다. SSPM을 적용한 모르타르의 미세구조 평가, 잔골재의 입도 분포에 따른 침투깊이 및 공극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르타르 내부에 액상 및 크림형질의 SSPM이 침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극량 평가결과 잔골재의 입도분포에 관계없이 SSPM을 적용하였을 때 공극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투깊이 평가결과 잔골재의 입도분포에 관계없이 SSPM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투깊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극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일반잔골재(Type 2)로 제작한 모르타르의 침투깊이가 적게 나타났다.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 침투깊이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나, 콘크리트 표면에 침투하여 내구성을 향상 시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잔골재로서의 바텀애시를 사용한 플라이애시 시멘트 압출경화체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erformance of Extruded Fly Ash Cement Panel with Bottom Ash)

  • 이명진;김진만;한동엽;최덕진;이근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52-26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석탄회 중 바텀애시를 이용하여 시멘트압출성형 패널에 잔골재대체재(보형성 유지)의 용도로 적용을 함으로써 산업 부산물을 처리함과 동시에 새로운 용도를 창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건식벽체로 사용되는 시멘트 압출성형 패널에 비정제 플라이애시를 시멘트계 재료로 대체하여, 최대 80%까지 대체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압출성형체는 압출 직후 자중에 의해 약간의 침하가 발생을 하게 되는데, 이는 반응성이 느린 플라이애시를 대량 사용한 경우에 늦은 경화로 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중에 의한 침하에 저항하기 위한 용도로 바텀애시를 잔골재대체재로의 사용가능성과 최적사용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바텀애시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출경화체의 압출성은 저하 되었지만 관입저항성은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기존의 자중에 의한 패널의 침하현상은 잔골재 대체재를 사용함으로써 보완이 가능하였다. 또한 바텀애시 대체율 20%, 최대 입자 크기 0.6mm, 오토클레이브 양생에서 적절한 강도특성을 발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차후 바텀애시의 활용방법이 확대되고, 바텀애시를 잔골재로 활용함으로서 부가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