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wall

검색결과 1,609건 처리시간 0.025초

패턴된 이중박막의 자구벽 특성조사 (Magnetic Domain Walls at the Edges of Patterned NiO/NiFe Bilayers)

  • 황도근;이상서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6-181
    • /
    • 2003
  • 금속마스크에 의해 패턴된 교환결합 이중박막 NiO(10∼60 nm)/NiFe(10 nm)의 모서리에서 발생한 여러 종류의 자구벽(magnetic domain wall)을 MFM(magnetic_ force microscopy)로 측정하였다. 박막의 모서리 경계선이 교환결합이방성 방향과 같은 방향일 때는 직선모양의 Neel 자구벽이 측정되었으며, 경계면이 이방성방향과 수직인 경우에는 zigzag Bloch 자구벽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자구벽은 NiO(60 nm)인 경우에는 교환결합세기(H$_{ex}$ = 75 Oe)가 박막경계면에서 발생한 반자장(demagnetization field) 세기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았고, 교환결합세기가 약한 NiO(30 nm, H$_{ex}$ = 21 Oe)를 갖는 이중박막에서는 발견되었다. 이들 자구벽이 외부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자화반전과정을 측정하기위해 $\pm$300 Oe까지 자기장을 가하면서 MFM을 측정하였다.

흙막이벽에 발생하는 수평변위의 현장계측과 수치해석적 접근 (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Approach for Lateral Deformation of Retaining Wall)

  • 도종남;류웅렬;안이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1-68
    • /
    • 2010
  • 최근의 우리나라 지하굴착공사는 공법의 발전과 더불어 경제적인 부지활용을 위하여 대규모, 대심도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굴착공사 대상은 자연상태의 지반으로 그 성상이 매우 복잡하며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지하굴착공사로 인하여 인접구조물에 변형을 주거나 과도한 토압으로 인한 벽체의 변형으로 흙막이벽 자체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흙막이 공사가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대상토질의 공학적 특성 및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굴토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공법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 시공된 현장 사례를 통해 굴착이 진행되면서 부터 완료되기까지의 계측자료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 시공된 6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였고, 탄소성보법 해석 프로그램인 SUNEX를 이용하여 변위특성을 파악하였다. 계측 및 해석결과 얕은 심도에서의 일부 변위가 제안값을 미소하게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최대수평변위가 제안값 범위 내에 있으므로 흙막이 벽체가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장모형실험과 3D 수치해석을 통한 AER 조립식 지주옹벽의 형태에 따른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Shape of Assembled Earth Retaining Wall by the Field Model Tests and 3D-Numerical Analysis)

  • 서민수;임종철;손수원;김홍선;최중현;김창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7-30
    • /
    • 2017
  • 옹벽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L형 옹벽은 배면에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중력식 옹벽은 단면이 크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역학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AER옹벽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모형실험과 3D 수치해석을 통해 AER옹벽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옹벽에 비해서 수평변위가 최대 67.84%가 감소하였고, 토압이 최대 73.19% 감소하여 AER옹벽의 높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뒷채움 지반에 비정착식 띠보강재를 설치한 역T형 옹벽의 현장 계측 (Field Measurements of Cantilever Wall with Unattached Strips in the Backfill)

  • 이종구;이만수;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94
    • /
    • 2000
  • This paper concerns the distribution of earth pressures on a cantilever wall with unattached reinforcements in the backfill. This type of wall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inforced earth walls in that unattached reinforcements are placed in the backfill of rigid retaining wall such as gravity wall and cantilever wall, instead of connecting reinforcements to the wall segments. Two large-scale prototype tests have been carried out with a 4m high cantilever wall; one with unreinforced backfill, the other with unattached strips in the backfill. The reinforcing effect of unattached strips are discussed based on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d in two large-scale prototype tests. Also, the comparison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earth pressure on a wall with unattached strips are discussed herein to confirm the validity of analytical prediction.

  • PDF

원지반 부착식 판넬옹벽의 현장 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tion of a Precast Concrete-panel Retaining Wall Adhered to In-situ Ground)

  • 민경남;이재원;이중관;강인규;안태봉
    • 지질공학
    • /
    • 제26권1호
    • /
    • pp.51-61
    • /
    • 2016
  • 최근 들어 도심지 재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깎기 비탈면의 효율적 활용과 민원방지 그리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법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판넬식 옹벽은 지보재 보강을 통해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고 전면판인 프리캐스트 판넬과 지보재를 체결하여 개별적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수평토압에 저항하는 공법이다. 프리캐스트 판넬의 적용으로 기존 옹벽에서 발생하던 콘크리트 현장타설에 의한 공기지연과 콘크리트 품질저하 등의 문제는 다소 해결되었지만 비탈면 과다절취에 의한 사토처리 및 토취장 확보, 및 옹벽 전면 콘크리트 노출로 인한 경관성 저하문제는 여전히 미결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판넬식옹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판넬 전면을 자연암반형으로 연출하고 수직의 원지반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공정을 개선하였으며 실내 및 현장시험을 통하여 개발된 옹벽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판넬에 대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자연암반형 판넬의 자체강도 및 거동특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수직절취 및 원지반 부착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시공 시 보강재 및 비탈면에 대한 계측 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3차원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사보강에 의한 판넬의 펀칭강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현장 시험시공을 통하여 원지반 부착식 옹벽의 시공성 및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계측 및 수치해석적 검증을 통하여 원지반 부착식 옹벽 시스템이 시공중 및 장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남부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상록벽면녹화 공법 개발 -경남 통영시를 사례로- (Development of Green Retaining-wall System with Native Evergreen Plants Corresponding to the Southern Region - A Case Study of Tongyeong City in Gyeongsangnam-do -)

  • 강호철;김광호;허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2-4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propose a green-wall system with evergreen plants for urban greening of Tongyeong City. To achieve these goals, the requirements and possibilities for wall greening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considering the location, topography, and climate of Tongyeong City. Existing walls were analyzed and then a suitable green wall system is proposed. Tongyeong City and its 151 islands covers the central and the southern parts of the Goseong peninsula. Most of the land is covered with hills and mountains; $43.9\%$ of the land area has a slope greater than $15\%$ and most hills and mountains near the urban area have a slope of more than $30\%$. As a result of the topographical properties, concrete retaining walls can often be seen along the streets in urbanized areas. These retaining walls are not only unattractive, but they also creat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us should be replaced with native evergreen plants. Options for replacing the retaining walls include evergreen vine-plants such as Hedaa spp. and Euonymus radicans, but native evergreen shrubs such as Pittosporum tobira, Nandina domestica, Raphiolepis umbellata, Ilex cornuta, flex crenata, Fatsia japonic, and Aucuba japonica may be a more attractive option. Current wall conditions are unsuitable for planting vines, therefore, a reservoir-drainage-type plant box filled with a light artificial substrate is required for greening these concrete retaining walls. These might be irrigated in the dry season and fertilized annually by an appropriate system. These plant boxes could be attached along the entire walls. An experiment investigating effects of substrates and bark-chip mulching on the growth of Hedera spp. showed that the mixture of cerasoil and field soil(v/v, 4:6) was superior to field soil alone and to the mixture of perlite small grain, large grain, and field soil(v/v/v, 2:2:6). Bark-chip mulching tended to increase the growth of Hedera spp..

The Efficient Production on single- and Multi- Wall Carbon Nanotubes

  • Shinohara, H.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0년도 제18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207-207
    • /
    • 2000
  • Multi- and single-wall carbon nanotubes are promising new carbon materials in nano-electronics, field-emitters, CRT-displays, hydrogen storage materials, biomedical tracers and so forth. The present talk will deal with a high-yield synthesis on quasi-aligned multi-wall carbon nanotubes via a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I will also talk about a possible growth mechanism on single-wall carbon nanotubes based on newly obtained experimental results.

  • PDF

프리캐스트 조인트 방법을 사용한 부벽식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recast joint buttress wall)

  • Kim, Joonse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66-372
    • /
    • 2016
  • 최근에 콘크리트옹벽의 경우 현장제작 방식에서 프리캐스트 생산에 의한 현장 조립방식으로 기술적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옹벽을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각각 생산한 후에 현장에서 조립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부벽식옹벽에 토압이 작용하면 조립부분이 파손될 수 있으며,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리캐스트 조인트방법(PC joint method)을 사용한 부벽식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3가지 높이의 옹벽(7.6m, 8.5m, 10m)에 대하여 배면 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옹벽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최대 주응력은 23.3~43.2 MPa로서 앵커의 정착주변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구 자석 바퀴를 이용한 벽면 이동 로봇의 설계시의 설계지침 (Guideline for the Design of Wall-Climbing Mobile Robot Using Permanent Magnetic Wheels)

  • 이화조;김은찬;한승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8-553
    • /
    • 2002
  • Most tasks of the large vertical or ceiling structures have been carried out by human power. Those tasks require us much operation costs and times, safety devices, etc. So the need of automation for those tasks have been rising. That automation needs a wall-climbing mobile vehicle. Most former researches are things about attachment devices and moving mechanisms. A wall-climbing mobile vehicle must be designed by a method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vehicle of the horizontal environment. That is because gravity acts as a negative role on the stability of a wall-climbing vehicle. In this thesis, the particular shape characteristics of a wall-climbing mobile vehicle are derived by the wall-environment modeling. In addition, some design constraints of the permanent magnetic wheel as an attachment device was studied. According to those requirements and constraints, one specific wall-climbing mobile vehicle was designed and some experiments were made on the attachment ability of that vehi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