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Approach for Lateral Deformation of Retaining Wall

흙막이벽에 발생하는 수평변위의 현장계측과 수치해석적 접근

  • 도종남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류웅렬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안이환 (미화산업)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12.01
  • Accepted : 2010.01.13
  • Published : 2010.02.01

Abstract

Recently, it is a trend of the underground excavation to become larger and deeper for more effective use of available space and with the advent of new excavation technologies. The ground typically has a complex stratigraphy. The excavation can lead to large deformation in the nearby structures and large earth pressure on the wall. This can lead to serious problem in the stability of the wall. For the retaining wall to be safely constructed, it is important that the stratigraphy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ground be accurately estimated, based on the excavation plan and appropriate excavation method. This study uses the measured field data and numerical results to characte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ral deformation of the retaining wall. A touredof six field data were analysed. SUNEX, a numerical program which uses the elasto-plastic model to represent the soil, was used. It was shown that the measured deformations exceeded the proposed values for shallow excavations. Overall, the maximum lateral deformation was within the proposed value and hence, the walls were analyzed as safe.

최근의 우리나라 지하굴착공사는 공법의 발전과 더불어 경제적인 부지활용을 위하여 대규모, 대심도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굴착공사 대상은 자연상태의 지반으로 그 성상이 매우 복잡하며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지하굴착공사로 인하여 인접구조물에 변형을 주거나 과도한 토압으로 인한 벽체의 변형으로 흙막이벽 자체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흙막이 공사가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대상토질의 공학적 특성 및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굴토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공법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 시공된 현장 사례를 통해 굴착이 진행되면서 부터 완료되기까지의 계측자료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 시공된 6개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였고, 탄소성보법 해석 프로그램인 SUNEX를 이용하여 변위특성을 파악하였다. 계측 및 해석결과 얕은 심도에서의 일부 변위가 제안값을 미소하게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최대수평변위가 제안값 범위 내에 있으므로 흙막이 벽체가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양구승 (1996), 도심지 깊은 굴착시 인접지반과 거동에 대한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24-32.
  2. 오정환, 남순성 (1997), 지반굴착공에서 계측계획수립 및 관리요령, 1997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 93-118.
  3. 이종규, 전성곤 (1993), 다층지반 굴착시 토류벽에 작용하는 토압분포, 한국지반공학회지, Vol. 9, No. 1, pp. 59-68
  4. 지오그룹이엔지 (2008), Elasto-plastic Analysis of Step Underground Excavation, 지오그룹이엔지, pp. 2-24.
  5. Bowles, J. E. (1988),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McGraw- Hill Book Company, New York, pp. 471-491.
  6. Chang Yu-Ou, Pio-Hsieh, Dar-Chang Chiou (1993), Characteristics of Ground Surface Settlement during Excavation, Canadian Geotechcal Journal, Vol. 30, No. 5, pp. 758-767. https://doi.org/10.1139/t93-068
  7. Clough, G. W. and O'Rourke, T. D. (1990), Construction Induced Movements of Insitu Walls. Design and Performance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25, pp. 439-470.
  8. Coulomb, C. A. (1773), Sur une Application des Regles de Mximus et Mnimus a Qelques Poblemes de Satique Rlatits a L'architecture, Academie Royale des Sciences, Memoires de Mathermatiques et de Physique par Divers Sowans, Vol. 7, pp. 343-382.
  9. Goldberg, D. I., Jaworski, W. E. and Gordon, M. D. (1976), Lateral Support Systems and Underpinning, 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eport No. FHWA-RD-75-129.
  10. NAVFAC DESIGN MANUAL (1982)-7.2, pp. 13-19.
  11. Peck, R. B. (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ling in Soft Ground, 7th ICSMFE, State-of-Art, pp. 225-290.
  12. Rankine, W. J. M. (1857), On the Stability of Loose Earth, Phil. Trans. Roy. Soc., London, 147, No. 10, pp. 341-349.
  13. Terzaghi, K. and Peck, R. B. (1967), Soil Mechanics in Engineering Practice, 2n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394-413.
  14. Tschebotarioff, G. P. and Klein, G. K. (1973), Lateral Pressures of Clayey Soil on Structures, Specialty Session, No. 5, 8th ICSMFE, Vol. 4, pp. 227-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