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inist desig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의 특징: 1970~2018 (Features of Korean Feminist Design Studies: 1970~2018)

  • 김린;박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91-97
    • /
    • 2019
  • 최근 페미니즘이 주요 가치로 부상함에 따라 관련 디자인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계보를 제공하고자, 국내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의 특징을 분석한다. 먼저 '페미니스트 디자인'을 정의하고, 용어의 기원이자 국내 연구의 특수성 분석을 위한 비교군으로서 영미권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 역사를 살펴본다. 국내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 수는 1999년 급증한 후 2000년대 들어 지금까지 연평균 5.1건의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었다. 전체 연구 중 패션, 시각, 건축, 디자인학, 제품 순으로 연구 수가 많았다. 연구 주제의 경우 2000년대 이전 연구가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의 고정된 역할 탈피를 다루던 것에서 2000년대 이후 다양성과 탈 중심성의 포용으로 이행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이후 장애인, 생태, 퀴어 등 더욱 세분화, 다양화된 주체들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연구의 분야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이 예상된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Art and Fashion in Modern Chinese Art Era

  • Xing, Zhang;Kan, Hosup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6호
    • /
    • pp.18-45
    • /
    • 2020
  • Feminist artists are special in Chinese modern art. Sticking to their own artistic ideas, they constantly emphasize wom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in their works under the background of modern society. Since femin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from western arts in the 1970s, it has greatly inspired Chinese female artists. This study used comparativ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tween the works of local Chinese female artists and modern women's wear design, this connection is the common language form of Chinese female artists and modern fashion designers when expressing female psychology and aesthetics. This is a way for Chinese female artists to seek dialogue with Western and global female art, an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zation of feminism in Chinese art and design.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artistic atmosphere of Chinese feminist art and instill a new understanding of Chinese feminist art in the world.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사진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시각 문법 분석 (Analysis on Visual Grammar of Female Images in Cover of Feminist Magazine Covers)

  • 주혜린;박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사진의 여성 이미지 특성을 분석한다.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속 여성 이미지의 기초적 분석과 함께 사회기호학 연구의 방법론인 크레스와 리우웬(Kress & Leeuwen)의 시각 문법을 활용하여 여성 이미지를 조직한 기호의 구조와 구동 원리를 탐색한다. 분석 대상은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발행된 잡지 중, 200권의 표지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의 여성 이미지는 다양한 인종, 연령, 외모, 직업의 여성을 보여주며, 신체의 강조 정도가 낮고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연출되었다. 둘째, 재현적(Representational) 메타기능과 상호작용적(Interactive) 메타기능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감과 힘, 용기의 메시지가 주요하게 전달되었다. 셋째, 조직된 기호는 수신자가 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여성 이미지에 대한 표현 방법을 숙고하게 하고, 입체적이며 다양한 여성의 군상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코르셋의 양면성에 관한 고찰 - 포스트페미니즘 시각을 중심으로 - (The ambivalence of corset: Post-feminism perspectives)

  • 임은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30
    • /
    • 2018
  • This study discusses the ambivalence and ambigu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men's body and fashion drawings in respect to post-feminism perspectives. Deconstructivist post-feminists, perceiving the body as a passive subject, asserted that women internalize the male gaze by becoming the object of male desire, then manipulate the body to conform to that ideal. In this perspective, corsets assumed the role of the tool for forcing women's body to be obedient, restraining and suppressing the body. On the other hand, in the essentialist post-feminist perspective, which regards the women's body as an active object, insists that fashion, in its essence, is not necessarily about sex, nor is it devised to attract the male gaze. In such a viewpoint, the women's body functions as a vehicle for empowerment; by wearing corset women gain power and embraces the cultural norms of dominant beauty. 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corset is both a tool for oppressing the women's body, as well as a vehicle for the voluntary expression of femininity. This ambival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orset in the post-feminist theory represents the double-sided perspective in fashion as being both a subordinate construction and a powerful tool for self-expression.

자하 하디드의 탈구조주의적 페미니즘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ist feminist architecture of Zaha Hadid)

  • 이란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3-140
    • /
    • 2005
  • Jacques Derrida, a leading theorist of the post-structuralism, has explicated how the material reality is subordinated to the ideality of form, by noticing the platonic concept, 'chora', which implicates the spatiality as the matrix and also by actualizing its essential meaning as the femininity. On the basis of the idea of the platonic 'chora', the Derridian deconstructive spatiality and its feminist oriented enlargement of Grosz this study is purposed to elucidate the architectural idea of Zaha Hadid that is located in the similar horizon with the deconstructionism. On the one hand it is focu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new concept of space, which is dealt with th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space, on the other on the inference of the feminity of the originally understood spatiality. With this inference it is finally intended to reexamine the found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must be ahead of the discussi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space. If it is fundamentally and manifoldly executed, not only the architectural paradigm will enter into an renewed phase, but also the various ways toward the new direction of the architecture be explored.

사회구성주의와 비판적 사회구성주의 관점으로 본 다문화가정 주거의 실재 (Reality of Hous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Constructionism and Critical Social Constructionism)

  • 홍형옥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573-58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ocial constructionism and critical social constructionism in the research area of multi-cultural family homes, using a literature review. Fopp argued that social constructionism had an objectivation problem that only considered the actor side as a policy object; therefore he suggested a weaker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with moderate relativism and the application of feminist epistemology to marginal life for maximizing objectivity. This article explor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studying the reality of hous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n the light of constructionist ideas and presents a review of empirical positivist data to support the framework. Based on results, using the social constructionist framework, five contexts (structural,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operational, and intersubjective) were reviewed and ideas were suggested to develop an appropriate future situ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homes. For a weaker social constructionist framework, thre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y Homes data set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re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homes. Further,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empirical data of marginalized multi-cultural family home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gender inequality of decision making, cultural adaptation, and differentiation in housing related areas. In conclusion, two perspectives were useful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family housing in Korea but must be compensated with substantial empirical data for a holistic approach.

다문화가정 주거의 연구를 위한 접근방법과 쟁점 (Approaches to and Issues in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y Homes)

  • 홍형옥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49-663
    • /
    • 2013
  • As cultural diversity has gain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nd the social fabric of Korean society is redefined, the number of studies on multi-cultural family homes has been growing in the area of human ecology, but relevant research is rarely found on the subject of housing. While the emphasis of housing research is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empirical research is highly valued,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latform for discussing the new rising agenda of multi-cultural family homes is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pproaches to and to discuss the issues in research for multi-cultural family homes in terms of housing theories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housing related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highlights social constructionism,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feminist epistemology. These thre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were useful for generating an ontolog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family homes. Further, this study highlights two housing related theories, the microsociological and housing pathways approaches, for dealing with multi-cultural family homes. In conclusion, the five approaches were useful for exploring issues in housing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y homes with appropriate research methods like hermeneutic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field research. Insights into using perspectives and holistic approaches might be usefu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y homes in Korea.

현대 상업영화의 페미니즘 표현분석연구 (영화 "소공녀(2017)"을 중심으로) (Feminist Expression Analysis of Modern Commercial Movies (Focusing on "Micro-habitat(2017)"))

  • 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39-446
    • /
    • 2019
  • 한국 문화 전반에 성 평등을 주제로 한 페미니즘이 중요한 이슈로 연구 대상적 가치가 급상승하였다. 페미니즘 영화란 단지 여성의 권익을 주장하거나 옹호하는 차원의 수준이 아닌 과거 남성들이 창조한 스토리 속에서 대상화되거나 타자화 된 인물로 왜곡, 인위적으로 묘사되던 그릇된 여성의 모습이 아닌 시선과 사고의 본질적 주체로서 사회 속 개인의 삶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탐구하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전고운 감독의 영화 '소공녀(2018)'를 분석하였으며 영화 속에는 남성 편향적 고정관념과 불평등적 사회구조에도 주인공의 꿋꿋한 자기 선택과 초월적 사고를 보여주는 페미니즘 적인 주제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중영화가 세상에 대한 넓은 식견을 키우는 교육 계몽적 성격을 견지하고 성숙한 사회문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와 같은 사회에 대한 전지적 통찰과 이상적 인간관에 대한 제고 등을 다룬 영화는 사회를 긍정적이고 이상적으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극예술연구회 <어머니>와 여성 연극의 양상 (The aspects of women's play and Eomeoni(Mother) of Geugyesuryeonguho(극예술연구회))

  • 김남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39-67
    • /
    • 2020
  • 그동안 극예술연구회의 제10회 공연작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특히 이서향의 <어머니>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으며, 기껏해야 제10회 공연작 중 하나였다는 사실 정도만 기록되곤 했다. <어머니>의 희곡이 남아 있고, 제10회 공연이 상당한 의의를 지닌 정기공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 실태는 대단히 열악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단막극 <어머니>가 드러내는 공연사적 가치와 의미를 정밀하게 고찰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공연 정황을 살펴보고, 당시 극예술연구회의 상황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선정 이유, 실제 무대 공연 현황, 연극적 요소, 무대 디자인, 관련 평가를 두루 살펴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어머니>의 공연 정황을 점검하고 그 의의를 살피는 데에 초점을 두었으며, 그 결과를 통해 극예술연구회의 한 맥락으로서 여성 연극의 흐름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