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cal $NH_3$ ga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41초

자돈 및 비육돈에 있어 생균제의 첨가가 생산성 및 분내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Gas Emmission in Nursing and Finishing Pig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김지훈;민병준;이원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05-31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돈시기에 있어서는 열 안정성을 갖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C)를 첨가하여 성장 및 분중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비육돈시기에 있어서는 복합생균제 (complex probiotic : CPB, Phichia anomala ST, Galactomyces geotrichum SR59, Thiobacillus sp.)를 첨가하여 성장 및 분중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1은 3원 교잡종 자돈 72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 체중은 10.53${\pm}$0.02kg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건조유청-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대조구 (CON; 기초사료), 대조구 사료내 SC를 0.2% (SC0.2)와 0.4% 첨가한 구 (SC0.4)로 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양시험 개시 후, 7일과 14일에 채취한 분내 젖산균 균수에 있어서는 SC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분내 젖산균 균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inear effect, P$<$0.01). 또한, 대장균수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개시 후 7일령에서 SC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inear effect, P$<$0.02; quadratic effect, P$<$0.03). 시험 2는 3원 교잡종 비육돈 45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 체중은 49.71${\pm}$0.45kg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대조구 (CON; 기초사료), 대조구 사료내 CPB를 0.2% (CPB0.2)와 0.3% 첨가한 구 (CPB0.3)로 3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기간동안 CPB0.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일당증체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CPB0.3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건물 및 질소 소화율이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있어서는 CPB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감소하였으며 (P$<$0.05), 휘발성 지방산중 propionic acid에 있어서는 CPB0.3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P$<$0.05). 결론적으로, 생균제 (SC)의 첨가는 자돈시기에 있어서는 분내 젖산균수의 증가와 대장균수의 감소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CPB는 비육돈 시기에 있어서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분내 가스 발생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효모 Pichia farinosa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 장내미생물 변화 및 분의 암모니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ast Pichia farinosa 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_{3}$ Emission in Laying Hens)

  • 김상호;박수영;유동조;이상진;최철환;성창근;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5-211
    • /
    • 2002
  •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생효모 첨가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1주령 ISA Brown 160수를 공시하여 9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계란 품질 및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첨가된 생효모는 Pichia farinosa SKM-1였으며, g당 $10^{6}$ cfu를 함유한 건조 생효모를 사료에 4수준 (0, 0.1, 0.3 및 0.5%)으로 첨가하였다. 각 처리는 반복당 10수씩 4반복으로 하였다. 산란율은 생효모 0.1 및 0.3%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평균난중은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일 산란량은 0.3% 첨가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은 생효모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약간 적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난생산 사료효율은 0.3% 생효모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생효모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계란 품질은 25주령에는 0.3% 첨가구에서 산란율이 높았던 관계로 난각질이 유의하게 떨어졌으나, 29주령에서는 다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회장 내 유산균은 생효모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모와 혐기성 미생물은 차이가 없었다. 맹장내 미생물은 처리간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배분 후 3일차부터 6일차까지 최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시기에 생효모 첨가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발생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효모Pichia의 첨가는 산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첨가수준은 0.1%수준으로 나타났다.

혼합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분의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Multiple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 Chicks)

  • 윤창;나종삼;박재홍;한승관;남영민;권정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9-235
    • /
    • 2004
  • 본 시험은 육계에서 생균제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사료와 음수에 혼합 생균제를 수준별로 첨가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시행하였다. 처리구는 Bacillus sp., Lactobacillus sp., Saccharomyces sp., Rhdobacter sp., Aspergillus sp. 균으로 이루어진 혼합 생균제를 사료에 0, $0.2\%$ 수준으로 첨가하였고, 음수에는 0, 0.1, $1.0\%$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는 조단백질 함량을 전, 후기 각각 $21.5\%$$19.0\%$로 하였고, 에너지는 전, 후기 3,100 kcal/kg 수준으로 배합하였다. 조사항목은 생산능력을 주간별로 측정하였고, 시험 종료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회장과 맹장의 내용물에서 E. coli, Salmonella, Lactobacillus 균수, 분에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 가스 발생 량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생균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D $0.2\%$ 급여구는 D $0\%$ 급여구와 비교하여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이 모든 조사기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급여구간에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 LDL-cholesterol 및 중성지방의 함량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음수 급여구에서 DW $1.0\%$ 처리구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DW $0\%$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또한 중성지방 함량은 DW $0.1\%$ 처리구에서 DW $0\%$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지만(p<0.05), HDL과 LDL-cholesterol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장내 미생물인 E. coli, Salmonella, Lacfobacillu 균수는 회장과 맹장에서 사료와 음수 급여시 차이가 없었다. 계분의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사료 급여시 D $0\%$와D $0.2\%$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음수 급여시 DW $0.1\%$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한편,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DW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 생균제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음수로 급여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을 감소시켰고, 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Anio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Meat Quality and Fecal Noxious Gas Content in Growing-finishing Pigs

  • Yan, L.;Han, D.L.;Meng, Q.W.;Lee, J.H.;Park, C.J.;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8호
    • /
    • pp.1073-1079
    • /
    • 2010
  • Forty-eight ((Duroc${\times}$Yorkshire)${\times}$Landrace) pigs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48.47{\pm}1.13\;kg$ were used in a 12-week growth trial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nion (silicat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meat quality and fecal noxious gas content in growing-finishing pigs. Pigs were allotted into three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according to sex and initial BW. Each dietary treatment consisted of four replications with four pigs per pe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i) CON (basal diet), ii) HCI (basal diet+3 g/kg Anion), iii) HCII (basal diet+6 g/kg An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detected for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gain/feed ratio (G/F) throughout the experiment, although dietary supplementation of Anion numerically increased thes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CON. The dietary HCI group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coefficient of total tract apparent digestibility (CTTAD) of dry matter (DM), nitrogen (N) and energy compared with the CON group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t quality except that meat firmness was linearly (p<0.05) increased by the Anion supplementation, while an increased tendency in meat color and a decreased tendency in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as also observed (p<0.10). Anion supplementation linearly (p<0.05) decreased the fecal $NH_3$ compared with the CON group. However, dietary Anion supplementation at 3 g/kg decreased the $H_2S$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N,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HCII group, although the $H_2S$ emission was numerical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diet with 3 g/kg Anion was found to exert a beneficial effect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and concomitantly decreased the noxious gas emission without nega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항생제 대체 생균제가 자돈의 생산성,영양소 이용률, 유해가스 발생량 및 분내 미생물 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oxious Gas Emission and Fecal Microbial Population in Growing Piglets)

  • 김종덕;정흥우;심금섭;박승용;주종철;송재준;이경호;박중국;박도연;김창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7-539
    • /
    • 2010
  • 본 시험은 생균제를 자돈 사료에 첨가하여 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이용률, 유해가스 및 분내 미생물 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항생제 대체효과를 규명하여 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삼원교잡종(Landrace${\times}$Large White${\times}$Duroc) 자돈(22.5kg) 96두를 선발하여 28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3처리 4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 항생제, T2 처리구는 무항생제에 복합생균제 0.2% 첨가, T3 처리구는 무항생제에 단일생균제 0.3%를 첨가하였다. 자돈의 일당 증체량, 일일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의 소화율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있었으며, 특히 복합생균제와 Bacillus subtillis natto 생균제가 대조구인 항생제 처리구보다 소화율이 높았다. 돈 분뇨의 유해가스 발생량에서는 암모니아($NH_3$), 아민(R-$NH_2$), 황화수소($H_2S$) 및 멜캅탄($CH_2$-SH)의 발생량은 항생제 처리구보다 생균제 첨가구가 적어 돈사내 가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분의 수분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돈분내 총균, 대장균 및 내열성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총균과 대장균의 수는 생균제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내열성 포자의 수는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다. 따라서 생균제를 항생제 대체물질로 급여한 결과 자돈의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돈사 내 유해가스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자돈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료 내 복합생균제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내 유해가스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tabolites, Noxious Gas and Fecal Microflora in Weaning Pigs)

  • 김동우;최요한;김조은;조은석;정현정;오승민;김정대;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66-273
    • /
    • 2020
  • 본 연구는 생균제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 내 유해가스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총 234두의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 Duroc, 6.14±0.78kg)을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에 기반하여 3처리 6반복, 반복당 13두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은 Phase I(0~14일), PhaseII(15~28일) 총 4주간 조사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T1(basal diet), T2(basal diet+0.13% complex probiotics) 및 T3(basal diet+0.25% complex probiotics)로 구성되었으며, 복합생균제는 Bacillus subtilis 1.0×106 CFU/g, Enterococcus faecium 1.0×106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0×106 CFU/g, Bacillus licheniformis 3.0×108 CFU/g 및 Bacillus polyfermenticus 3.0×108 CFU/g를 함유하였다. 사양성적은 PhaseII에서 T3 첨가구에서 일당증체량 및 일일사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기간에서는 PhaseII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은 PhaseI에서 단백질 소화율이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PhaseII에서 건물 소화율 및 에너지 소화율이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액성상에서는 PhaseI과 PhaseII에서 모든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내 유해가스에서는 PhaseII에서 NH3가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분 중 미생물에서는 PhaseI과 PhaseII에서 Clostridium spp.이 T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이유자돈 사료 내 복합생균제 첨가는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분 내 유해가스 및 분 중 미생물을 개선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및 혼합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장내미생물 변화 및 분의 암모니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_{3}$ Gas Emission in Laying Hens)

  • 김상호;유동조;박수영;이상진;치철환;성창근;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5-231
    • /
    • 2002
  •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및 혼합 첨가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1주령된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여 10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품질 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아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첨가구와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1(LCH), Lactobacillus vaginalis avibro2(LVH), 효모 Pichia ferinosa SKM-1(PF)을 단일 급여한 처리와 혼합 급여한 처리구(PF+LCH, PF+LVH)모두 6처리구로 하였다. 사료 g 당 유산균 첨가수준은 $10^{7}$ cfu 였으며, 생효모는 3$\times$$10^{6}$ cfu 이었다.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공시하여 10주간 시험을 실시한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율은 생균제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으며 P<0.05),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다. 평균난중도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산란량은 생균제 첨가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처리구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생산 사료효율은 생균제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이용성은 생균제 급여구가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회장내 유산균 수는 LVH, PF)LClt PF+LVH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효모는 맹장에서 PF구가 높았으나 PF+LVH는 가장 났았고 회장내 혐기성 미생물은 LVEt PF+LCH, PF+LVH가 가장 많았다. 난각질은 PF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P<0.05), Haugh unit는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다. 계분내 암모니아 발생량은 배분후3일부터 6일까지 최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시기에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본 연구에서 산란계에 생효모 및 유산균의 단독 혹은 혼합 첨가는 산란율을 향상시키고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켰으며, 혼합첨가가 단독 첨가보다 향상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추씨(Zizyphus jujuba Seed)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Zizyphus jujuba Seed Meal on Broiler Performance)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9-285
    • /
    • 2014
  • 본 연구는 대추씨 분말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소장, 맹장의 길이, 근위의 무게 및 배설물 중 악취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1일령의 육계 Ross 무감별추 180수를 4개 처리구에 3반복으로 공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사료에 대추씨 분말 0.3%(T1), 0.6%(T2) 및 0.9%(T3)를 첨가한 4처리 배치하였다. 시험 전기(3주령)에서는 증체중과 사료 효율 모두 대추씨 분말 0.6%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전 시험 기간 동안, 시험 기간 동안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대추씨 분말 첨가구 모두에서 증체량이 대조구보다 개선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사료 효율(feed/gain)도 증체량과 같은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세 개의 대추씨 분말 급여구 모두는 근위의 무게를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그러나 첨가량의 다소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소장 및 맹장의 길이는 대추씨 분말 첨가의 유무 및 다소에 따른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배설물 중 $NH_3$의 발생량은 배설 직후, 배설 후 5일 및 10일 모두에서 대추씨 분말 급여에 의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육계 사료에 0.3~0.6 %의 대추씨 분말의 첨가는 근위 등의 위장관 발달 촉진으로 인한 사료 중 소화율을 개선 및 배설물 중 $NH_3$ 발생량의 감소에 기인한 육계의 증체량 개선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생각되어진다.

사료내 생균제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혈액성상 및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 Blood Composition, and Fecal Noxious Gas of Broiler Chickens)

  • 권오석;김인호;홍종욱;한영근;이상환;이제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생균제를 육계사료에 첨가하였을 경우 육계의 성장, 혈액 성상 및 분 중 암모니아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은 2일령의 Arbor Acre Broiler(♂) 병아리 288수를 공시하여 처리구는 육계전기사료를 대조구(Con ; basal diet)로 하여 생균제를 0.5% (PBO.5)첨가한 처리구 및 처음 1주간 생균제를 1.0%(PBI.0), 0.5%를 2주간, 0.25%를 2주간 첨가 수준을 줄여 급여한 3처리구로 하였다. 증체량에서는 전 사육기간동안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전체 사료 섭취량에서는 대조구와 PBI.0 처리구가 각각 2550(g)과 2361 (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건물의 소화율은 PB0.5 처리구가 80.84(%)로 대조구의 79.34(%) 혹은 PBI.0 처리구의 79.71(%)에 비해 더 높은 (p<0.05)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의 소화율에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PB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내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과 LDL-cholesterol 함량은 서로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육계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PB 0.5, 및 PB 1.0 처리구가 각각 260.71 (ppm) , 159.18 (ppm) , 126.17 (ppm)으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P<0.75)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내 생균제의 첨가는 암모니아태 질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쑥분말 급여가 이유자돈의 생산성과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Powder Supplementation on Growing Performance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

  • 김영민;김재황;김삼철;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51-558
    • /
    • 2003
  • 본 시험은 쑥(Artemisia montana Pampan) 분말을 이유자돈 사료에 0%, 0.5%, 1.0% 및 2.0% 수준으로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과 적정 첨가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7두로서 총 112두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0${\sim}$14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15${\sim}$28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가 증가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2.0% 첨가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만 나타냈다. 한편, 전 기간 동안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사료섭취량은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조단백질 소화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에서 증가(P<0.05), 인 소화율은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증가(P<0.05)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와 인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1.0% 첨가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만을 나타냈다.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있어서 $NH_3$ 발생량은 48시간 발효시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고(P<0.05) $H_2S$ 발생량은 전반적으로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유자돈 사료에 쑥분말을 1.0${\sim}$2.0%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과 유해가스 발생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