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ming Village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유기농 셀프수확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for Organic Farming with the Concept of Self-harvest)

  • 유덕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53
    • /
    • 2009
  • The theme-type self-harvest concept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as a relevant reference in planning and realizing urban-rural exchange facilities at the village leve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concept, to characterize the self-harvesters and organic farmers involved, to illustrate the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interaction and the possible constraints of the concept. What is more important, however, is to develop programs for consultants, organic farmers and green-minded consumers, to vitalize direct transaction. The proponents of self-harvest are convinced that this concept leads to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which will help to design a sustainable food supply system for small, medium and large cities.

  • PDF

태양광 전동수문 시범사업 (Pilot Project of Solar Energy Flood Gate)

  • 이종남;정광근;이광야;김해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93-198
    • /
    • 2005
  • The solar energy floodgate which discusses will minimize a quotient bringing up for discussion friction resistance and it will do to write a disturbance power, with the base which will reach it will be able to use the solar power unit in order. It is a plan which to magnification supply the practicality and will give proof will the effort with the irrigation facility of the farming village. Magnification supply of the solar energy floodgate which it sees hazard the stack supervisor and the possibility the use against the farmer and the easy frost does the monitoring against and the work which it complements is necessary.

  • PDF

일제하 예산군 시량리 청년들의 농촌개발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outh's Rural Rehabilitation Movement in Shiryang-ri, Yesan under Japanese Rule)

  • 김명희;최병익;윤준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2호
    • /
    • pp.385-404
    • /
    • 2009
  • The youth's rural rehabilitation movement started the crusade against illiteracy and poverty with all young educated elites including Whang Jongjin(a student of Yesan Public Agricultural High School) of the village, Shiryang-ri. Deoksan-myon. Yesan-gun. Among others, Patriot Youn(1908-1932) initiated the movement. The main projects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were the Evening School(1926), Reading Club, the Woljin.Hoe(1929), Puheung.Won(1928), a Mutual Financing Association for Swine Farming, Sweet Potato Cultivation, Cooperative Planting, the Shuam.Sports Club and Consumer's Cooperative Society. The idea in Nongmindokbon (Famer's Text, 1927) is based on liberalism, equality, independence, a pioneer and cooperative spirit or realization of a physiocratical Utopia. Most references about Patriot Youn are concerned with his heroic deed in Shanghai, however the youth in Shinyang-Ri are typical agricultural extension workers or in other words, a forerunner of Saemaul Undong.

  • PDF

빅데이터기반 귀농·귀촌 통합플랫폼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Integrated Farming and Returning Village Platform Based on Big Data)

  • 이원석;장상현;하승재;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9-252
    • /
    • 2021
  • 한국 농업·농촌의 고령화 현상과 농업인구의 감소가 점차 심화됨에 따라 귀농·귀촌을 통한 인구 유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귀농·귀촌 희망자가 의사결정 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귀농·귀촌 통합플랫폼을 구축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빅데이터기반 귀농·귀촌 통합플랫폼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실제 플랫폼 구축 시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rrigation Farming System of Uiseong-gun)

  • 이유직;이승혜;이다영;정재현;박진욱;구진혁
    • 농촌계획
    • /
    • 제29권1호
    • /
    • pp.69-79
    • /
    • 2023
  • Uiseong-gun, Gyeongsangbuk-do, one of the representative small rain regions, has developed a traditional irrigation farming system while overcoming and adapting to unfavorable agricultural environments from the days of the ancient nation of Jomunguk to the present. In 2018, its value was recognized and designated as 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No. 10.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irrigation farming system in Uiseong from the viewpoints of irrigation facilities, irrigation communities, and agricultural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Uiseong-gun has been expanding irrigation facilities for agriculture since long ago, and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a total of 6,227 irrigation facilities are currently distributed along the Wicheon water system that crosses Uiseong-gun from east to west. Irrigation facilitie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opography. The irrigation facility has a 'su-tong' as an irrigation passage and a corkscrew structure 'mot-tchong' as a water quantity control device, so the amount of water was adjusted as needed. Through this facility, surface water with warmer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farmland to prevent cold damage to crops. Uiseong has developed activities to organize irrigation communities in one village or several villages to secure agricultural water from an early age. Currently, this tradition continues, and a total of 213 irrigation communities manage 375 irrigation facilities (6.0% of all irrigation facilities). Through this organization, called Mong-ri-gye, water for agriculture is obtained, managed, and distributed equitably. In order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Uiseong implemented double cropping by converting rice fields and fields. In the case of Mt. Geumseong, double cropping of rice and barley was mainly carried out until the 1970s, but since the 1980s, double cropping of rice and garlic has been implemented with higher income. One of the unique features of the agricultural system of this region is the spectacular landscape that changes simultaneously from field to rice field in spring and from rice field to field in autumn.

촌락지리학 50년(1945-1995)의 회고와 전망 (Half a cenury of the rural geography in Korea(1945-1995):review and prospect)

  • 이문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3-254
    • /
    • 1996
  • 우리나라 촌락지리학의 전문적 연구는 196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초창기의 촌락연구는 주제에 대한 개념정리나 이론의 정립, 문제의식의 파악과 같은 학문적 바탕위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즉물적.선호적으로 선정하고 실 지답사를 통해 교과서적 항목에 따라 촌락의 입지, 형성과정, 경관형태 등을 나열적으로 다 루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그러나 국내 지리학계의 촌락연구는 70년대를 지나 80년대 로 접어든 이후부터 괄목할 만한 연구업적을 쌓아 오고 있다. 현재까지 이룩된 연구업적의 약 80%이상이 80년대 후반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며 그 내용과 추구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들을 주제별로 볼때 농촌경관에 대한 학리적 연구, 공간구조의 파악, 동족촌의 형성 과 그들의 사회화 과정에 의한 지역적 전계, 그리고 농촌인구의 도시지향이동이 촌락의 변 형에 미친 영향 및 그에 대한 대책등 농촌문제.농촌계발 등에 이르기까지 보다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이미 서구사회가 경험하였듯이 공 업화.도시화 물결에 가리워져 촌락은 그 존재기반조차 존속하기 어려웠던 그간의 상황에 대한 반작용에서는 당연한 문제의식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대한지리학회 창립의 역사가 반세기의 역사라고는 하지만, 촌락지리분야의 전문적 학술활동은 불과 30년의 역사에 지나 지 않는 실정속에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분야에서 5개의 $\ulcorner$ 학맥$\lrcorner$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최근 우리나라 경제발전 못지 않는 학문상의 성과라고 간주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그 동안의 연구내용을 \circled1 농촌및 그와 관련한 연구, \circled2 어촌및 그와 관련한 연구, \circled3 산촌및 그와 관련한 연구, \circled4 특수기능촌락으로 나누어서 그 동안의 연구성과와 동향에 대하여 회 고해 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조망해 보고자 한다.

  • PDF

일부 농촌 노인의 신체활동기능과 운동행위 변화단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Function and the Stages of Self-Change for Exercise in a Rural Aged People)

  • 심영빈;나백주;이무식;노영수;김건엽;김대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23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function and stages of self-change for exercise in the aged of a farming villag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to make with the basic data for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aged of rural area. Methods: This study was a volunteer sample of 612 persons, 60 years and above, who were living at the 2 farming villages, in 2005 July. This instrumen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stages of self-change of the research object person showed that the pre-contemplation stage was most with 57.2%, and the contemplation stage : 8.1%, the preparation stage : 2.2%, the action stage : 22.5%, the maintenance stage : 10.0%. The person who having good physical function state and advanced stages of self-change of exercise were higher in the ratio of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income level. Factors for physical function were effected by the aging and the woman negatively. Conclusion: Physical function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tages of self-change for exercise. So it will be helpful that the program which designed by one's physical function and stage of self-change for exercise would applied the one.

중국 전통마을의 반월당(半月塘)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Banwoldang(Half-moon shaped Pond) at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 왕교;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1-129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전통마을에만 반원형의 독특한 형태로 나타난 반월당(半月塘)의 위치와 종합적 기능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에서 밝힌 결과는 반월당이 중국 전통 마을에 나타난 시기는 원(元)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고, 현재 반월당은 기후가 온난하고 농업과 상업이 발달되어 부유층들이 모여 사는 중국 양자강(揚子江)이남 지역의 전통마을에서 주로 찾아 볼 수 있었다. 반월당은 대부분 풍수적 목적으로 가족 사당 앞에 조성되었다. 이는 사당을 보호하는 것이 전체 가족을 수호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의 주요한 풍수적 기능으로는 과거급제, 재물을 모으는 것, 불길을 억누르는 것 그리고 배산임수(背山臨水)형 풍수구조를 보완할 목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 밖의 기능은 마을 공동체적 행사와 휴식, 양어, 방어 기능 등으로 활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전통마을에서 반월당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가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 중국의 현대식의 마을에서는 이를 등한시 여겨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반월당은 중국의 독특한 전통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보전해야 될 중요한 유산인바 그 의미와 가치는 중국의 전통 문화로서 계승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광』의 시조 연구 (A study on SiJo in Dongkwang magazine)

  • 안영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4권
    • /
    • pp.57-74
    • /
    • 2016
  • 일제 강점기 간행된 "동광" 잡지에 게재된 시조를 분석하여 당대 시조의 특징과 문화현상을 파악하려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순서로 진행하였다. "동광"에 게재된 시조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1)임에 대한 정한의 표출 (2)역사 회고 (3)농촌의 정취 (4)사향(思鄕) (5)삶에 대한 성찰과 각오 (6)신의에 대한 성토 (7)이별의 정한 (8)계절 예찬 (9)귀전원과 정감 등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중에서도 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 주제로 선별하면 대체로 세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그 근거는 통계적 기준(작품 수)과 당대 시대상(일제 강점기)을 고려해서 나눈 것이다. 즉 농촌의 정취, 귀전원과 정감, 역사 회고 등이다. 먼저 농촌의 정취를 살펴보면 표면적으로는 평화롭고 정감서린 농촌의 정경을 읊조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세금을 내고나면 남는 것이 없는 소작농의 궁핍한 생활을 토로하고 있다. 또 감각적인 표현을 활용하여 농촌 특유의 정감을 유감없이 그려냈다. 다음으로 귀전원과 생활의 정감에 관한 것을 담고 있는데, 전원에서의 정취와 낭만을 노래했다. 즉 1930년대는 전원으로 돌아가는 사회 현상을 시조문학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특히 선경후정(先景後情)의 작법을 활용하여 쉽고 평탄하게 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이따금 탈속적 정취를 노래했다. 또 도연명의 '채국동리하(採菊東籬下)'의 배경을 활용하고 농촌 정착의 의지를 표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사 회고 시조인데, 현실에 움추린 조선인들을 일깨우기 위해 위국충절과 호연지기를 노래했다. 그리고 여전히 국권회복의 가능성을 갈망하고 있다. 특히 종장에서 밑줄 처리를 통해 고조된 감정을 표출하고 종래에 없던 새로운 시조의 작법을 보여 주기도 했다. 역사 회고 시조는 부당한 현실에 대한 반감을 전제한 것이며, '애달프다'라는 시어는 당대를 바라보는 지식인들의 심정을 압축적으로 대변한 것이다. 1930년 이후는 시조는 이전의 감성적 낭만적인 시조와 달리 논리적이고 사회문제를 전달하려는 스토리를 갖고 있는 것도 있다. 즉 기존의 음악적 요소나 감정에 호소하는 성향보다는 이치적이고 산문적 성향을 갖고 있다. "동광(東光)"의 시조를 통해 당대의 시의성을 반영하고 동시에 우리 문학의 전통성과 정감을 여전히 발산하고 있는 시조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비전공유, 의사결정과정, 실무경영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ision-sharing, Communication, Management Competences and Performance of Agricultural Product Unit in Rural Village Level)

  • 박운선;박주섭;조형래;이상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105-1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경영개선방안 기초 연구로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개념정리 농업경영체의 구축과 지속적 운영을 위해 경영성과요소를 조사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로 행정구역상의 마을단위로 한정짓기보다는 마을이라는 개념을 넓게 보기위한 상징적인 개념으로 영농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농업인이 면 군 단위로 또는 수평적으로 활동하는 확장된 범위에서의 농업경영체를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실제 마을을 움직이고 있는 핵심농이 벤치마킹할 수 있으며 현재 운영하고 있는 예비사회적 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색깔있는 마을 중에서 표본을 추출하고 140개소에 현장방문 및 우편,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설문에 참여한 경영체 51개소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인프라, 문화유산관리, 공동체유대감, 공동체커뮤니케이션, 의사결정과정 및 갈등관리역량보다는 경영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경쟁역량이 경영성과(매출액)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참고하여 마을 단위 농업경영체들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실무적인 차원에서 농업경영체를 운영하는 주체들에게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