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f a cenury of the rural geography in Korea(1945-1995):review and prospect

촌락지리학 50년(1945-1995)의 회고와 전망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was founded in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the Japanese rule.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y activated academic studies of geography by publishing research papers in it. Professor Kang, Dae-Hyun wrote the first two specialized papers of rural geography in 1966: " Flood Plain Settlements on the Han River" and "The Location and Form of the Dispersed Villages around Dae-Cwan-Ryung". The early studies of rural geography were not based on serious academic foundations,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oretical notions and a good grasp of subjects. After choosing subjects that came to hand without academic consideration. they simply enumerated generalized items of the results of the field work investigation such as the location the landscape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settlements. In the 1970s and 1980s, however, rural settlement studies progressed remarkably in Korea. More than 80% of 318 dissertations, theses, or papers collected for this review were written in the late 1980s, and the subjects and methodology became diversified. As may be expected, recent studies are found very systematic and problem-solving in the various fields - contexual understanding spatial structure, the development of clan villages according to the socialization process, the effects of rural-out migration on the change of villages etc. Such a trend can be understood as a reaction to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as the Western society already experienced, rural villages become washed out by the waves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hardly continue to exist. In this paper, geographical studies of rural settlement which have been carried out in Korea last fifty years will be reviewed under the four headings on the studies related to a) farming villages; b) fishing villages; c) mountain villages: and d) special function villages. Studies of farming villages and related ones are very diverse. The results of the studies carried out last fifty years can be classified into sixteen subjects. Just as, in the West, studies of rural settlement have been mainly concerned with farming villages since rural geography came into being, so, in Korea, they have been centred on farming villages. It is a natural result considering the history of human life. Even in Korea, however the rural settlement is no more an isolated life space which keeps unique traditions of old life style, but it begins to form a dynamic life space connected to big cities by heavy traffic. Because the modern farming villages of Korea have an undetachable connection with the cities, special methodology to solve new problems has been posed in the studies of rural settlement. Many scholars have produced a lot of studies of farming villages, and three of them are prominent: Oh. Hong-Seok, Choi, Ki-Yeop, and Lee, Moon-Jong. Oh, Hong-Seok is a versatile and hard-working scholar who has published more papers than anyone else in the various fields of rural geography such as farming villages, fishing villages, mountain villages, and reclamation villages. And he has expanded his concerns to environment issues in recent years. Choi, Ki-Yeop has maintained that the prototype of Korean rural villages is clan villages continuing to write a series of good papers in which he pursues their regionalizion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Lee, Moon-Jong divides the spatial organization of side settlement, sahachon (settlement near the temple), religion settlement, orchard settlement, settlement near the foreign military camp, displaced people's settlement. Chung Gam Lok settlement, etc. Though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half a century's history, academic activties in the field of rural settlement have been performed no more than thirty years. We cannot help saying that it is admirable that in such a rather short time we have five academical schools of the rural geography in Korea. geography in Korea.

우리나라 촌락지리학의 전문적 연구는 196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초창기의 촌락연구는 주제에 대한 개념정리나 이론의 정립, 문제의식의 파악과 같은 학문적 바탕위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즉물적.선호적으로 선정하고 실 지답사를 통해 교과서적 항목에 따라 촌락의 입지, 형성과정, 경관형태 등을 나열적으로 다 루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그러나 국내 지리학계의 촌락연구는 70년대를 지나 80년대 로 접어든 이후부터 괄목할 만한 연구업적을 쌓아 오고 있다. 현재까지 이룩된 연구업적의 약 80%이상이 80년대 후반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며 그 내용과 추구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들을 주제별로 볼때 농촌경관에 대한 학리적 연구, 공간구조의 파악, 동족촌의 형성 과 그들의 사회화 과정에 의한 지역적 전계, 그리고 농촌인구의 도시지향이동이 촌락의 변 형에 미친 영향 및 그에 대한 대책등 농촌문제.농촌계발 등에 이르기까지 보다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이미 서구사회가 경험하였듯이 공 업화.도시화 물결에 가리워져 촌락은 그 존재기반조차 존속하기 어려웠던 그간의 상황에 대한 반작용에서는 당연한 문제의식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대한지리학회 창립의 역사가 반세기의 역사라고는 하지만, 촌락지리분야의 전문적 학술활동은 불과 30년의 역사에 지나 지 않는 실정속에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분야에서 5개의 $\ulcorner$ 학맥$\lrcorner$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최근 우리나라 경제발전 못지 않는 학문상의 성과라고 간주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그 동안의 연구내용을 \circled1 농촌및 그와 관련한 연구, \circled2 어촌및 그와 관련한 연구, \circled3 산촌및 그와 관련한 연구, \circled4 특수기능촌락으로 나누어서 그 동안의 연구성과와 동향에 대하여 회 고해 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조망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人文地理 v.35 no.4 歐美における最近の村落硏究動向 : 社會-空間構成硏究を中心としで 浜谷正人
  2.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4 no.2 New Emphases for Applied Rural Geography Cloke,P.J.
  3. Rural Geography : An Introductory Survey Clout,H.D.
  4. Rural Settlement Polices and Plans Woodruff,B.J.
  5. Social Issues in Rural Norfork Univ. of East Anglia Moseley,M.J.
  6. Rural Planning Problem Cherry,G.E.(ed.)
  7. Key Settlements on Rural Areas Cloke,P.J.
  8. Countryside Planning: The first Three Decades 1945-76 Gilg,A.W.
  9. Housing and Planning in the Countryside Clark,G.
  10. Progress in Human Geography New Emphases for Applied Rural Geography Cloke,P.J.
  11. Recherches Geographien France La Geographie Rurale en France(1976-1980) Bonnamour,J.
  12. These de 3eme Cycle Sens et Sensibilite du Paysage Luginbul,Y.
  13. Paysands de Normandie Fremont,A.;Flammarion(ed)
  14. 韓國農村의 村落構造 梁會水
  15. 韓國의 村落 文炳鏶
  16. 聚落地理 李泳澤
  17. 槪觀 韓國地理 姜錫午
  18. 新韓國地理 姜錫午
  19. 改稿 新韓國地理 姜錫午
  20. 地理學槪論 金相昊
  21. 改訂增補 地理學槪論 金相昊
  22. 人文地理學 金庚星
  23. 現代人講座 v.7 韓國의 風土와 生活樣式 李智皓
  24. 韓國現代文化史大系 v.I 韓國文化의 地理的背景 盧道陽
  25. 風土의 硏究 姜大玄(外)
  26. 新編 韓國地理 鄭璋鎬
  27. 韓國地理 權赫在
  28. 우리 國土 전체와 각 地域 Ⅰ·Ⅱ 任德淳
  29. 聚落地理學 吳洪晳
  30. 聚落地理學 吳洪晳
  31. 人文地理學 原論 吳洪晳
  32. 增補版 聚落地理學 - 農漁村의 地域性格과 再編成 - 吳洪晳
  33. 村落地理學 洪慶嬉
  34. 都市·村落 調査法 洪慶嬉
  35. 鄕土地理調査法 朴魯植;趙東奎
  36. Human Geography: An Intriduction to Man and His World Jones, E.
  37. 韓國地誌 總論編 韓國地誌 地方編Ⅰ(서울·인천·경기,1984);地方編Ⅱ(강원·충북·충남,1984);地方編Ⅲ(부산·대구·경북·경남,1985);地方編Ⅳ(광주·전북·전남·제주,1986) 建設部 國立地理院
  38. 農業地理學 邢基柱
  39. 論文集(人文社會系編) v.24 no.1 聚落立地 要因으로서 우리나라 小類域盆地內 河川特性에 관한 硏究 孫一
  40. 應用地理 no.9 韓國의 地形的環境과 聚落의 立地 張載勳
  41. 應用地理 no.13 韓國의 村落立地에 관한 地形學的 硏究 張載勳
  42. 錄友會報 no.28 풍수설에 입각한 취락입지연구 鄭晶仁
  43. 地理學論叢 no.18 聚落立地에 대한 風水地理的 解析 - 九萬里 마을의 風水的 解析을 媒介로- 權善政
  44. 地理學 no.2 漢江下流 氾濫原聚落의 特質 - 八堂에서 뚝섬까지를 中心으로 - 姜大玄
  45. 熊津地理 no.2.3(합병호) 扶餘 氾濫原聚落의 特質 丘長完
  46. 應用地理 no.5 錦江下流 氾濫原地域에 대한 景觀: 扶餘平野를 中心으로 吉基玄
  47. 地理學 no.7 漢江의 洪水와 그에 대한 適應類型에 관한 硏究 李文鐘
  48. 地理學 no.9 四大江 流域 住民의 洪水에 대한 Perception 硏究 李文鐘
  49. 論文集 v.13 錦江 氾濫原聚落 住民들의 洪水에 대한 適應形態에 관한 硏究 - 扶餘 軍守里 地域을 中心으로 - 李文鍾
  50. 熊津地理 no.1 四川 扇狀地 聚落에 관한 硏究 崔成吉
  51. 地理學硏究 v.1 no.2 生活空間의 基礎地域 硏究-面·里·洞의 地域的 基盤 金相昊
  52. 應用地理 no.9 統一新羅期 村落의 地域的 性格 崔基燁
  53. 地理學論叢 no.14 朝鮮時代 村落의 地域的 性格 崔基燁
  54. 地理學報告 no.50 朝鮮の村落-洞里の規模と空間構造について- 山田正浩
  55. 地理學論叢 no.14 韓·日村落에 대한 歷史地理的 比較硏究: 序說 山田正浩
  56. 地理學報告 no.2 自然部落의 生活空間 硏究 : 金堤郡 月村面 長菜里 後長마을을 事例로 金大坤;金鐘文
  57. 서울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士學位論文 韓國人의 環境知覺에 關한 硏究 - 村落名의 分析을 中心으로 - 鄭鎭元
  58. 地理學論叢 no.14 共同體理論과 그 地理的 解析에 關한 硏究 鄭鎭元
  59. 서울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韓國의 自然村落에 關한 硏究 - 形成과 形態를 中心으로 - 鄭鎭元
  60. 大關嶺山地 綜合開發의 方向 地形 朴魯植
  61. 大關嶺山地 綜合開發의 方向 災害 朴魯植
  62. 大關嶺山地 綜合開發의 方向 大關嶺山地 土地利用의 現況과 方向 李廷冕
  63. 大關嶺山地 綜合開發의 方向 火田 實態와 整理計劃 趙東奎
  64. 大關嶺山地 綜合開發의 方向 大關嶺 附近의 山村의 立地와 形態 姜大玄
  65. 地理學 no.2 韓國 火田의 分布 趙東奎
  66. 地理學 no.5 고랭지 토지 이용의 변모: 대관령의 농업적 土地利用을 중심으로 趙東奎
  67. 문교부 연구보고서(인문학계 5) no.23 韓國의 山地綜合開發에 관한 硏究: 太白山地域의 農業的 土地利用을 中心으로 慶熙大 國土綜合開發硏究所
  68. 地理學 no.6 韓國의 새 農村造成과 再配置 朴魯植;趙東奎;吉鎔鉉
  69. 경희대학교 논문집 v.8 대관령 화전의 토지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경영구조를 중심으로 趙東奎
  70. 경희대학교 논문집 v.9 韓國의 農業的 土地利用 展望 吉鎔鉉
  71. 農村問題 v.5 農業的 土地利用 硏究動向에 관한 考察 - 地理學的인 土地分類의 方法을 中心으로 - 趙東奎
  72. 地域開發論文集 v.9 人口增加와 土地利用의 變化에 대한 硏究 趙東奎;朴魯植;朴鍾敍;吉鎔鉉
  73. 公州敎育大學 論文集 v.7 no.1 鷄龍山地域 開發을 위한 學術調査 : 地理的 考察 羅燾承
  74. 논문집 v.5 花開山村의 地理學的 硏究: 聚落과 土地利用을 中心으로 柳旺烈
  75. 논문집 no.10 산촌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화개산촌을 중심으로 柳旺烈
  76. 논문집 v.6 한국의 농업적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蘇鎭雲
  77. 地理學硏究 v.8 農業的 土地利用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金鍾根
  78. 地理學報告 no.6 班村과 民村의 土地利用 比較 김순옥;안미영
  79.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農村 土地利用의 變貌 過程: 瑞山郡 高北面을 中心으로 裵永福
  80.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관령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취락 발달 김경순
  81. 논문집 v.1 우리나라 干拓開發의 地理學的 分析: 특히 海岸干拓 立地를 中心으로 洪始換
  82. 只山先生 華甲記念論文集 地理的 見地에서 본 우리나라 干拓開發事業 洪始換
  83. 地理學硏究 v.9 韓國 西海岸의 干拓地에 대한 地理學的 考察 吉基玄
  84. 慶熙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西海岸의 干拓地 形成過程과 土地利用 構造에 對한 硏究 吉基玄
  85.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碩士學位論文 錦江·萬頃江河口 干拓地聚落의 地理學的 生態分析 梁在龍
  86. 地理學 no.23 干拓地聚落의 特性과 새 農村의 造成方案 吳洪哲
  87. 地理學과 地理敎育 v.5 萬頃江流域 水利地域의 水利慣行과 農村 南宮熢
  88. 地理學의 課題와 接近方法, 石泉 李讚博士 華甲記念論文集 開拓村의 文化地理學的 硏究 - 全北 沃溝郡 米面 山北里 干潟地 開拓村을 中心으로- 南宮熢
  89. 地理學論叢 no.10 東津江河口 干拓村에 關한 硏究 - 全北 金堤郡 廣活面을 中心으로 - 南宮熢
  90. 敎育論叢 v.4 두 干拓地 空間構造의 比較硏究 - 米面干拓地와 廣活面干拓地를 對象으로 - 南宮熢
  91. 全羅文化論叢 v.1 界火干拓地의 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南宮熢
  92. 全羅文化論叢 v.2 界火干拓地區 營農生産 空間에 關한 硏究 南宮熢
  93. 서울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河川流域 一帶 干潟地의 干拓聚落 類型에 關한 硏究 - 萬頃江·東津江流域을 事例地域으로- 南宮熢
  94. 문화역사지리 no.2 川防과 보창베미 開墾 南宮熢
  95. 문화역사지리 no.5 萬頃江流域의 開墾과 聚落形態에 關한 硏究 南宮熢
  96. 轉換期의 韓國地理, 南溪 邢其柱敎授 華甲紀念論集 萬頃江流域의 聚落類型의 生態的인 特色 南宮熢
  97. 南山地理 no.창간호 干拓地域의 異質的인 文化景間 - 聚落 및 土地利用을 中心으로 - 임종옥;김정현;정미란
  98. 南山地理 no.2 席毛島 地域의 干拓地聚落에 關한 硏究 황정선
  99. 地域環境 no.6 南陽灣 干拓地의 聚落構造에 關한 硏究 徐日錫
  100.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 環東海圈의 時間과 空間의 交感 -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I(祝賀論文篇) -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刊行委員會
  101.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 韓國의 農漁村과 環境硏究 -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Ⅱ(自筆論文集) -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刊行委員會
  102. 地理學 no.4 濟州島의 聚落立地에 關한 硏究 - 變遷過程과 立地要因을 中心으로 - 吳洪晳`
  103. 지역개발논문집 v.5 제주도의 취락형태에 관한 연구 吳洪晳
  104. 慶熙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濟州島의 聚落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吳洪晳
  105. 地理學 no.4 地理學 30年(1945-1975)의 回顧와 展望: 都市·村落地理學 姜大玄
  106. 응용지리 no.창간호 제주도의 촌락실태와 재편성 방안 吳洪晳
  107. 청파 노도양박사 고희기념논문집 제주 감귤 산지의 취락 吳洪晳
  108. 제주도연구 v.4 제주도 취락연구의 동향과 과제 吳洪晳
  109. 地理學論叢 no.6 農村景觀의 形態的硏究: 驪州·利川地方을 中心으로 柳濟憲
  110. 서울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士學位論文 元平村의 景觀變化에 對한 硏究 李廷滿
  111. 새마을 硏究論文集 v.4 農村景觀의 形態變化에 관한 硏究 - 淸原郡 只山里를 中心으로 - 李在德
  112. 문화역사지리 no.창간호 最近 韓國村落의 景觀變化에 대한 理解 -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金德鉉
  113. 慶熙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過程發表要約文 林野開拓 過程에서의 基礎地域의 形成 崔基燁
  114. 應用地理 no.8 散村景觀의 形成過程 - 瑞山周邊의 散村地域 硏究 - 崔基燁
  115. 論文集(人文·社會科學編) no.10 林野開拓에 依한 村落形成過程 - 江陵市 南部 金光坪一帶의 事例硏究 - 李俊善
  116. 論文集 v.24 泰安半島의 散村硏究 李文鍾
  117. 地理學과 地理敎育 v.7 泰安半島의 散村形成 要因에 關한 硏究 李鳳俊
  118. 서울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泰安半島의 村落形成에 關한 硏究 李文鍾
  119. 論文集 v.27 傳統地域에 있어서 村落의 形成 - 瑞山郡 大山面 花谷里를 中心으로 - 李文鍾
  120. 高麗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士學位論文 牙山湖 周邊의 耕地開墾과 景觀 范善奎
  121. 문화역사지리 no.3 智異山地의 耕地開墾과 聚落發達(Ⅰ) - 南原郡 山內面 中黃里를 事例로 - 丁致榮;范善奎;崔永俊
  122. 慶熙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韓國村落의 地域的 展開過程에 關한 硏究 崔基燁
  123. 應用地理 no.9 統一新羅期 村落의 地域的 性格 崔基燁
  124. 地理學論叢 no.14 朝鮮時代 村落의 地域的 性格 崔基燁
  125. 地理學叢(朴魯植敎授 停年退職記念號) no.10 景觀的表現과 空間認識 崔基燁
  126. 地理學論叢 no.10 場所의 理解와 象徵的 空間의 解釋 崔基燁
  127. 轉換期의 韓國地理, 南溪 邢其柱敎授 華甲紀念論集 景觀體驗과 場所의 社會化 崔基燁
  128. 論文集(人文·社會系編) v.26 景觀槪念의 展開에 關한 考察 - 地理學에 있어 空間的 形態와 社會·經濟的 機能을 中心으로 金德鉉
  129. 論文集 v.18 農村聚落의 形態와 構造 - 公州地方 聚落改善마을에 나타난 問題點과 關聯해서 - 李文鍾
  130. 地理學의 課題와 接近方法, 石泉 李燦博士 華甲記念論文集 農村의 空間構造 把握을 위한 硏究와 課題 李文鍾
  131. 轉換期의 韓國地理, 南溪 邢其柱敎授 華甲紀念論集 韓國 同族村落 硏究의 動向과 問題點 鄭鎭元
  132. 韓國地理論文目錄 李琦錫;尹正淑
  133. 韓國地理論文目錄 李琦錫;韓周娟
  134. 韓國地理論文目錄 李琦錫;金永賢
  135. 理學論集 v.3 진도의 동족부락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 洪始煥
  136. 人文學硏究 v.17 同族村落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高城郡 竹旺面 五峰里를 中心으로 朴成鎬
  137. 地理學 no.27 全南地方 同族部落의 構造와 機能 張保雄
  138. 地域環境 no.3 同族聚落에 關한 硏究 盧炳宣
  139. 地域環境 no.4 同族村落에 關한 硏究 - 永川郡 北安面을 中心으로 - 박제동
  140. 地理學論叢 no.10 氏族村落의 形成過程과 立地 및 儒敎文化景觀- 安東地方의 士族村落을 中心으로 - 金德鉉
  141. 地理學論叢 no.13 傳統村落의 洞藪에 관한 硏究 - 安東 내앞 마을의 開湖松을 中心으로 - 金德鉉
  142.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편 유교적 촌락경관의 이해 金德鉉
  143.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同族部落의 形成過程 및 文化景觀의 特色 - 安東 全州柳氏 同族部落을 中心으로 - 朴鍾煥
  144.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同族部落의 形成過程 및 文化景觀의 硏究 - 槐山郡 甘物面 伯陽里 延安李氏 同族部落을 中心으로 - 李周勳
  145. 地理學論叢 no.7 半月面 四里 同族部落에 對한 硏究 楊普景
  146.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士學位論文 同族村의 基礎地域 構造 - 忠南 天原郡 東面 長松里를 中心으로 - 洪殷男
  147. 地理學硏究 v.10 南陽洪氏 同族社會 集團의 地域化過程 - 華城郡 弘法里 同族村의 社會地理學的 硏究 - 洪賢玉;崔基燁
  148. 地理學硏究 v.16 同族村의 地域化過程과 空間構成 - 京畿道 安城郡 陽城面 德峰里 一圓 事例硏究 - 鄭惠汀;崔基燁
  149. 서울大學校 大學院 社會敎育科 地理傳功 碩士學位論文 氏族集團間 社會的關係의 變化와 村落의 空間構造 - 忠南 靑陽郡 美洞 同族村의 事例硏究 - 李玗鏞
  150. 대한지리학회지 v.29 no.3 서울近郊 傳統農村의 變化 鄭부매;崔基燁
  151. 江原文化硏究 v.5 朝鮮後期以前 江原道 世居氏族의 分布變化에 관한 硏究 玉漢錫
  152. 地理學 no.34 嶺西太白山地에 있어서 氏族의 移動과 村落의 形成에 관한 硏究 玉漢錫
  153. 地理學論叢 no.14 高麗·朝鮮時代 氏族의 移住地域 硏究 玉漢錫
  154. 강원문화연구 v.11 춘천부근 주요 씨족에 의한 촌락형성과 통혼관계에 대한 연구 玉漢錫
  155. 인간과 사회 no.1 지역집단의 거주문화와 특성 玉漢錫
  156. 강원지리 no.11 촌락형성과 거주지 확대에 관한 연구 - 강릉부근의 주요 씨족을 중심으로 - 김혜숙
  157. 인문논총 no.창간호 구전과 족보를 통해서 본 한국의 촌락 류제헌
  158. 문화역사지리 no.6 村落의 空間的 擴大過程에 관한 硏究 - 20세기 이전의 羅州地方을 중심으로 - 全種漢
  159.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촌락공간의 확대과정에 관한 연구 김충환
  160. 문화역사지리 no.2 同族村의 文化地理的硏究 - 蔚州郡 上北面 池內里의 事例硏究 - 崔永俊;孫宗均
  161. 淸州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士學位論文 同族部落의 形成過程과 通婚圈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 忠南 扶餘郡 場岩面 場蝦里의 경우 - 印東煥
  162. 地理學論叢 no.14 農村地域 通婚圈의 構造와 變化過程 - 慶北 醴泉郡 虎鳴面 白松洞의 事例硏究 - 李翰邦
  163. 轉換期의 韓國地理, 南溪 邢其柱敎授 華甲紀念論集 韓國 同族村의 時·空間的 展開 李俊善
  164. 地理學의 課題와 接近方法, 石泉 李燦博士 華甲記念論文集 朝鮮時代 農業水利의 立地에 관하여 - 慶尙道를 중심으로 玉漢錫
  165. 地理敎育論集 no.22 韓國水田農業의 地域的 展開過程 李俊善
  166. 地理學論叢 no.8 農村人口의 都市指向移動이 農村地域에 미치는 影響 柳祐益
  167. 論文集 v.19 農村地易 住民의 移住行態에 관한 硏究 - 忠南 牙山郡 新昌面 佳內里를 社例로 李文鍾
  168. 論文集 v.21 同族村과 離村形態 : 靑陽郡 木面 新興里를 事例로 李文鍾
  169. 地理學 no.30 同族村의 人口移動과 村落의 變貌 : 靑陽郡 木面 新興里를 事例로 李文鍾
  170.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人口減少 農村에 있어서의 地域的 變化 - 淸原郡 3個 事例地域을 中心으로 鄭還泳
  171. 論文集 v.23 農村人口 移出과 農村地域의 變化 - 經驗的 硏究事例의 檢討 - 李在德
  172. 地理學論叢 no.9 農村人口 移出이 農業勞動에 미치는 影響 - 事例地域間 比較硏究 - 金基赫
  173. 地理學論叢 no.20 農村의 休耕現狀에 관한 事例調査: 全北 長水郡 한 村落을 대상으로 大學院 踏査班
  174. 地理學論叢 no.23 농촌지역 국민학교 입지변화에 관한 연구 정옥주
  175. 대한지리학회지 v.29 no.1 忠淸北道의 國民學校 廢校類型과 그 地域的 特性 蔡珣夏
  176.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동족촌 이주자의 도시적응 김종훈
  177. 應用地理 v.1 no.2 村落의 實態와 再編成方案 吳洪晳
  178. 地理學硏究 v.5 湖南地方의 人口急減 村落 吳洪晳
  179. 地理學 no.22 한국촌락의 過疎實態와 진흥방안 吳洪晳
  180. 師範 no.10 韓國 過疎村落의 內面的 性格 吳洪晳
  181. 地域環境 no.5 過疎地域의 敎育環境과 政策的 對案 吳洪晳
  182. 1991년도 교육부지원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대학부설연구소지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한 논문 僻地村落의 人口減少에 따른 廢村現象과 정책대응 吳洪晳
  183. 地理學 no.19 農村住宅改良事業에서 派生되는 問題點과 그 對策 - 全南地方의 傳統農村住宅과 改良農村住宅의 比較硏究 - 張保雄
  184. 論文集 v.18 農村聚落의 形態와 構造 - 公州地方 聚落改善마을에 나타난 問題點과 關聯해서 - 李文鍾
  185. 새마을연구 v.2 새마을 운동이 농촌주민의 의식구조 변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任昌周
  186. 새마을연구 v.3 새마을 聚落構造 改善對策에 관한 硏究 任昌周;金富植
  187.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輸送園藝農業의 地理學的 硏究 - 禮山邑 倉所里 地域을 中心으로 - 禹昌植
  188.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論山郡內 딸기農業의 空間擴散과 地域變化 宋錫浩
  189.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巨峰포도 裁培의 擴散過程과 그에 따른 地域變化 羅龍鎭
  190.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泰安半島의 生薑裁培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黃河永
  191. 地理學論叢 no.23 서울시 隣接 農業地域의 비닐하우스촌에 관한 硏究 이정훈
  192. 駱山地理 no.2 韓國의 定期市場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 中心地 階層構造를 中心으로 - 柳祐益
  193. 地理學 no.11 農村서어비스 中心地의 空間構造에 관한 硏究 - 金提郡을 事例로 - 朴英漢
  194. 韓國의 都市와 村落硏究 村落의 중심지기능 지역에 관한 연구 : 街村을 중심으로 朴成鎬
  195. 地理學論叢 no.10 韓國 地理學에서의 地域政策의 爭點 柳佑益
  196. 地理學 no.30 國土開發에 있어서 農村開發의 意義 柳佑益
  197. 農村地域 綜合開發硏究의 課題 農村地域의 空間的特性과 開發戰略 柳佑益
  198. 地理學論叢 no.15 지방도시 청년층의 지역의식 : 울산시의 사례연구 柳佑益;李正煥
  199. 地理學論叢 no.15 農村地域 開發計劃의 樹立을 위한 地域分析 - 南原地域을 事例로 - 李勇雨
  200. 地理學論叢 no.15 工業團地 周邊 農村의 住民構成과 特性에 관한 社會地理學的 硏究 任錫會
  201. 地理學論叢 no.15 農村中心都市 就業人口의 居住類型과 空間活用 - 密陽邑의 事例硏究 - 金太煥
  202. 地理學論叢 no.17 農村住民의 存在樣相과 農村開發의 리더에 관한 硏究 -燕岐郡의 한 村落을 事例로 - 文淳喆
  203. 地理學論叢 no.18 農村地域의 變化와 農業經營의 性格에 관한 硏究 - 永川郡의 두 村落을 事例로 - 曺永國
  204. 地理學論叢 no.18 觀光地化가 周邊 農村地域과 住民意識에 미친 影響 - 長興, 大成里, 龍平觀光地의 事例硏究 - 金榮亮
  205. 地理學論叢 no.20 農村地域의 住民集團과 地域意識 - 洪城郡을 事例로 - 金相彬
  206. 地理學論叢 no.24 농가경영분화의 유형과 특성 - 화순군 농주면 천덕리 사례연구 - 남기포
  207. 地理學會報 no.24 定住生活圈 計劃과 農村開發 李正煥
  208. 地理學硏究報告 v.17 韓國 農村地域의 類型區分에 관한 硏究 李正煥
  209. 地域開發硏究 no.창간호 21세기를 향한 농촌생활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李正煥
  210. 농촌경제 v.12 no.4 농촌 중심도시의 유형과 특성 李正煥;이병기
  211. 農村經濟 v.15 no.1 農漁村 構造改善과 地域綜合開發 李正煥
  212. 地理學 no.32 서울 近郊村 自然部落의 都市마을團地 開發方案에 관한 硏究 金仁
  213. 1986년도 문교부 학술연구비에 의한 연구보고서 農村地易 面級都市 機能活性化를 위한 硏究 - 地方化時代를 위한 村落定住空間 - 金仁
  214. 地理學論叢 no.16 農村小都邑의 定住體系確立과 機能活性化를 위한 理論的 硏究 金仁
  215. 地域開發硏究論叢 no.창간호 農村地域開發을 위한 基礎硏究 - 公州郡 面中心地의 機能體調査를 中心으로 - 李文鍾
  216. 淸州師範大學 論文集 v.15 淸原郡 農村中心地에 관한 硏究 - 人口와 機能分布를 中心으로 - 李在德
  217. 地理學論叢 no.11 大都市에로의 接近性變化가 農村人口에 미치는 影響 金基赫
  218.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韓國 農業地帶의 變化에 관한 硏究 金基赫
  219. 문화역사지리(石泉 李燦博士 古稀記念特別號) no.4 農村에서의 農業形態 變化過程에 관한 硏究 - 金海 大渚地域을 事例로 - 金基赫
  220. 산업개발연구소 연구보고 v.8 空間構造 變化에 따른 韓國農村의 開發 朴陽春;安正根
  221. 都市問題 v.17 no.2 農村中心都市 開發戰略 朴贊石
  222. 새마을硏究論叢 v.3 農村開發을 위한 中心聚落政策 李宰夏;洪淳完
  223. 社會科學 v.3 成長據點의 周邊農村에 대한 波及效果 朴贊石;李宰夏
  224. 慶北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地域開發에 관한 文化生態學的 硏究 康學淳
  225. 論文集 v.1 흑산도의 취락연구: 주로 어촌취락의 構成과 機能을 中心으로 柳旺烈
  226. 論文集 v.3 基礎地域에 관한 硏究: 主로 漁村의 경우에 관련하여 柳旺烈
  227. 문교부 연구조성비에 의한 연구보고서(사회과학) no.5 黑山島 漁村의 地理學的 硏究: 주로 漁村의 機能을 中心으로 柳旺烈
  228. 地理學 no.4 15世紀 朝鮮의 水産業 盧道陽
  229. 地理學硏究 no.3 韓末 延坪島近海의 조기漁業 小考 韓仁洙
  230. 靑波 盧道陽敎授 古稀記念論集 우리나라 製鹽業의 展開過程 小考 韓仁洙
  231. 農村問題 v.2 工海岸 漁村의 水産地理學的 硏究: 丑山港을 中心으로 金蓮玉;李淑任
  232. 地理學叢 no.10 法聖浦口의 漁村硏究 吳洪晳
  233. 敎育硏究誌 v.26 장기반도 沿岸漁村의 地理學的 硏究 徐贊基;朴泰和
  234. 地理學 v.27 no.2 養殖漁家와 非養殖漁家의 비교연구 - 迎日郡 只杏面 牟浦里의 경우 - 朴泰和
  235. 地理學 no.38 全南 島嶼地方 漁村의 構造와 機能 - 漁村共同體를 中心으로 - 張保雄
  236. 論文集 v.8 沿岸漁村의 觀光地化에 대한 硏究 韓大玄
  237. 강릉초대논문집 前津里의 民泊地域 形成에 관한 硏究 韓大玄
  238. 論文集 v.1 嶺東地方에 있어서 民泊地域 形成에 관한 硏究: 觀光地 周邊 漁村을 中心으로 - 韓大玄
  239. 강릉대학 論文集 v.4 嶺東地方에 있어서 海濱型 民泊地域의 形成에 관한 硏究 韓大玄
  240. 熊津地理 no.13 東海岸 漁村의 地理的 硏究 - 襄陽郡 縣南面 南涯里를 中心으로 - 尹應範
  241. 全羅文化論叢 v.1 곰소灣 漁村聚落의 盛衰에 관한 硏究 - 沙浦, 後浦, 茁浦를 中心으로 - 金日基
  242. 敎育論叢 v.5 곰소漁村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金日基
  243. 서울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곰소灣의 漁業과 漁村硏究 金日基
  244. 한국의 전통지리사상(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編) 조선시대 곰소만의 수산업과 어촌 金日基
  245. 문화역사지리(石泉 李燦博士 古稀記念特輯號) no.4 東海岸의 漁業과 漁村發達史 硏究 金日基
  246. 地理學 no.2 한국 火田의 分布 趙東奎
  247. 只山先生 華甲記念論文集 大關嶺 附近의 山村의 立地와 形態 姜大玄
  248. 論文集 v.5 花開山村의 地理學的 硏究: 聚落과 土地利用을 中心으로 柳旺烈
  249. 論文集 v.10 山村의 土地利用에 관한 硏究 : 화개산촌을 中心으로 柳旺烈
  250. 論文集 v.12 花開山村의 聚落硏究 柳旺烈
  251. 지리학연구 v.9 태백산지의 산촌에 관한 연구 吳洪晳
  252. 地理學 no.32 山村硏究의 方向과 方法論 玉漢錫
  253. 地理學硏究 v.10 韓國의 火田農業에 관한 硏究 玉漢錫
  254. 서울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田作物 選擇을 통해서 본 산지주민의 環境適應行態 硏究 - 嶺西地方의 五臺山 일대를 중심으로 - 玉漢錫
  255. 地理學論叢 no.14 山村地域 開發을 위한 硏究試論 金仁
  256. 地理學 no.3 舊邑聚落에 관한 硏究 - 京畿地方을 中心으로 - 李琦錫
  257. 師大論文集 v.8 朝鮮期 邑聚落의 立地類型과 立地要因에 관한 硏究 崔昌祚
  258. 地理學硏究 v.5 古代 南陽地域의 中心聚落에 關한 硏究 李俊善
  259. 地理敎育論集 v.19 百濟 夢村土城의 立地特性에 대한 小考 李琦錫
  260. 地理敎育論集 v.26 京畿道內 鄕·部曲·所 村落의 歷史地理的 硏究 - 歷史的變遷과 地理的 立地特性 및 機能을 중심으로 - 金德子
  261. 문화역사지리(石泉 李燦博士 古稀記念特輯號) no.4 韓國의 前産業都市景觀에 關한 形態的 硏究 - 朝鮮時代의 牧을 中心으로 - 柳濟憲;吳錦錫
  262. 論文集 v.5 地形變化와 交通路變遷에 따른 芙江里 河港聚落의 盛衰過程에 關한 硏究 羅燾承
  263. 論文集 v.15 開港期 錦江 內陸水路 河岸聚落의 地理的 硏究(1899-1910) 羅燾承
  264. 論文集 v.16 錦江水運의 變遷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羅燾承
  265. 論文集 v.17 錦江水運 河港市場圈의 變遷에 關한 硏究: 河港聚落 盛衰를 中心으로 羅燾承
  266. 論文集 v.19 錦江水運 中繼港의 變遷에 關한 硏究 - 江景을 中心으로 - 羅燾承
  267. 論文集 v.20 開港 前後期 錦江 含土港 群山과 그 背後地 形成에 關한 硏究 羅燾承
  268. 공주·금강권의 역사지리, 나도승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금강유역 개발을 위한 수운문화권에 관한 연구 - 수운문화권 변천을 중심으로 - 羅燾承
  269.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江景의 盛衰와 勢力圈에 대한 地理學的 硏究 尹汝珦
  270. 公州師範大學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江景의 盛衰過程과 都市構造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金善文
  271. 地理學 no.35 南漢江 水雲硏究 崔永俊
  272. 地理學叢 no.12 朝鮮時代 漢江邊의 商業聚落 崔永俊;文希英
  273. 韓國의 農漁村과 環境硏究,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Ⅱ(自筆論文編) 한강변의 취락 吳洪晳
  274. 韓國의 農漁村과 環境硏究, 牧志 吳洪晳博士 華甲記念論文集Ⅱ(自筆論文編) 帆船 航海時代의 제주~서울 海路와 周邊의 聚落 吳洪晳
  275. 地理學論叢 no.11 路邊聚落 崔永俊
  276. 嶺南大路-韓國古道路의 歷史地理學的 硏究- 崔永俊
  277.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朝鮮後期 槐山-延豊路의 成立과 交通聚落의 景觀變化 林承奎
  278. 地理學叢 no.9 華嚴寺 寺下村의 變貌 朴鍾敍
  279. 論文集 v.20 實相寺 土地의 塊悖過程과 그 周邊 村落의 硏究 朴鍾敍
  280. 地理學叢 no.10 觀光地化에 따른 法住寺 寺下村의 變貌 朴鍾敍
  281. 地理學硏究 v.8 寺刹耕地의 變遷過程에 따른 寺下村의 變貌: 實相寺를 중심으로 朴鍾敍
  282. 論文集 v.21 觀光地化에 따른 法住寺 寺下村의 變貌 朴鍾敍
  283. 地理學叢 no.13 寺下村 硏究 - 鷄龍山 甲寺·新元寺를 中心으로 朴鍾敍
  284. 論文集 v.24 寺下聚落의 硏究 - 麻谷寺 寺下聚落을 中心으로 朴鍾敍
  285. 慶熙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論文 韓國 寺院村의 構造와 變貌 朴鍾敍
  286. 地理學叢 no.16 韓國 寺院村의 構造와 變貌 朴鍾敍
  287. 地理學論叢,陶熏 金在珖敎授華甲記念特輯號 v.17 no.1 通度寺 寺下村 硏究 朴鍾敍
  288. 地域環境 no.2 寺下聚落에 關한 硏究: 通度寺 周邊을 中心으로 李永白
  289. 地域環境 no.6 속리산 觀光地域의 性格과 聚落에 關한 硏究 李厚錫
  290. 地域環境 no.7 修德寺 門前의 觀光聚落에 關한 硏究 李厚錫
  291. 轉換期의 韓國地理, 南溪 邢其柱敎授 華甲紀念論集 內藏山 山寺觀光聚落에 關한 硏究 李厚錫
  292. 地理學 no.16 禮山地方의 果園村落 硏究 吳洪晳
  293. 靑波 盧道陽敎授 高稀記念論集 濟州 柑橘産地의 聚落 吳洪晳
  294. 東國地理 no.2 濟州柑協의 組織, 機能 및 經營에 關한 硏究 吳洪晳
  295. 地理學과 地理敎育 v.9 서울郊外線 周邊의 遊園地聚落 - 松湫·日迎을 中心으로 - 吳洪晳
  296. 只山先生 華甲記念論文集 宗敎聚落의 成笠과 機能: 信仰村의 例 李泳澤
  297. 地理學硏究 v.9 德沼 信仰村의 形成과 家屋構造 申重盛
  298. 應用地理 no.8 東部 善隣村의 形成과 特性 申重盛
  299.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진안고원 천주교 교우촌에 관한 문화지리학적 연구 윤경숙
  300.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내포지방의 천주교 교우촌 연구 채기병
  301. 地理學과 地理敎育 v.9 豊基邑의 鄭鑑錄村 形成과 移殖産業에 關한 硏究 吳世昌
  302. 地理學과 地理敎育 v.8 基地村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 京畿道地方을 中心으로 - 김조영
  303. 地理學硏究 v.5 基地村에 대한 社會地理學的 硏究: 東豆川을 事例로 金在洙
  304. 地理學과 地理敎育 v.12 全北 金提地方의 北韓難民 開拓에 關한 硏究 南相駿
  305. 地理敎育論集 v.20 束草市의 越南難民 聚落의 形成過程과 構造的特色에 關한 硏究 金炯在
  306.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地理敎育專攻 碩士學位論文 陰性癩患者 定着聚落의 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 全北 一帶의 陰性癩患者 定着村을 對象으로 - 金吉鎬
  307. 문화역사지리 no.창간호 日帝下 京城府의 土幕村 形成 南榮佑
  308. 韓國의 人口와 聚落硏究, 八域 李智皓敎授 停年退任記念論集 우리나라 石炭産業의 斜陽化와 炭鑛聚落의 變貌 尹星夏
  309. 地域環境 no.7 舍北地域의 鑛山聚落에 關한 硏究 鄭巖
  310. 韓國의 人口와 聚落硏究, 八域 李智皓敎授 停年退任記念論集 鐵道 驛前聚落에 關한 硏究 尹煥永
  311. 熊津地理 no.16 水安堡와 釜谷의 溫泉聚落 硏究 朱京植
  312.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속문화 경관의 분포에 관한 연구 : 옥천군의 동족취락을 중심으로 양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