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HEALING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1초

산림 치유 공간에서의 개인 감정 인지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ized Emotion Recognition in Forest Healing Space - Focus on Subjective Qualitative Analysis and Bio-signal Measurement -)

  • 이양우;서용모;이정년;황민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7-65
    • /
    • 2019
  • 본 연구는 산림 자원의 다양한 효과 중에서 정서적인 안정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산림 치유공간을 다양한 공간으로 설정하여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실험자들은 20대 대학생들로 평균 나이가 22±1.25세였다. 피실험자들은 지정된 각기 다른 산림치유공간에서 주관적 서열평가를 통해 감성 단어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인식하는 감성에 대한 생체반응을 측정하여 실제로 인지하고 있는 감성적 상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생체신호반응 실험으로는 심박이 나타내는 BMP, SDNN, VLF, LF, HF, Amplitude 및 PPI를 활용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통계적 처리를 위해여 Friedman 검증과 Wilcoxon 검증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감성어휘별에 대해서는 '좋은', '맑은' 및 '불편한' 단어가 산림치유공간의 지점별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림 치유공간 각 지점에서의 정량적 생체신호 측정결과는 SDNN, HF 및 Amplitud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공간의 다양한 지역적 공간에서 인간이 인지하는 감성적 차원을 측정하였다. 산림 공간에 있어서도 공간적 입지가 인간의 감성적 차원을 유도하는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산림치유공간 및 산림 자원의 활용 분야에 대한 적용방향과 전략적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감성 기반의 산린 치유에 대한 공간적 시설 및 물리적 요건들을 통해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인 맞춤형 감성 공간 디자인적 측면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시숲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40대 이상 성인의 신체조성, 심리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ife-Oriented Forest Healing Program in Urban Forest on Body Composition, Psychological State and Quality of Life of Adults over 40 Years of Age)

  • 강효영;임희경;채영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36-45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life-oriented forest healing program (LOFH) using urban forests i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re were 5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2 i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02 individuals). The LOFH was conducted twice a week (3 hours per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Body composition,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quality of life (QOL)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to which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appli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muscle mass, lean mass), other psychological states (anxiety, mood), or QOL. Conclusion: The LOFH was useful for improving depression i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other LOFHs to improve body composition and quality of life.

통합 의료적 관점에서 바라 본 산림치유 지도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안 (Integrated Medical Perspective View on Forest Healing Instructor Training Program and Curriculum Development)

  • 이민선;백태선;신희성;이왕림;박수진;박찬우;여상희;이성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227-234
    • /
    • 2013
  • 본 연구는 '치유의 숲'이라고 하는 공간 내에서 통합 의학적 헬스 케어,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진행과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한 치유활동을 실현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다. 이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할 가칭 '산림치유 지도사'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항목의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치유활동을 담당할 산림치유 지도사가 양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산림학 분야의 관련 깊은 교수 및 전문가들과 보건의료 및 보완대체요법 관련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검사방법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문적인 산림학 및 의학 기초지식과 치유능력을 갖춘 산림치유 지도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상, 이수범위, 자격취득과정,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및 운영안을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방법과 평가방법을 만들었다.

The Impact of Program Improvement Using Forest Healing Resources on the Therapeutic Effect: Focused on Improving Index of Greenness for Adolescents

  • Hwang, Joo-Ho;Lee, Hyo-Jung;Park, Jin-Hwa;Kim, Dong-Min;Lee, Kyoung-M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1-698
    • /
    • 2019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using forest healing resources (focused on improving index of greenness for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30 students from in the contro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2018 program, and 51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mproved program in 2019.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was comprised of items on general matters, index of greenness, restorative environment,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faci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The control group had 30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49 valid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paired sample t-test for each group,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categories except restorative environ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ll categories significantly improved to a higher level (p <.01).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tailed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improved index of greenness. As a result, the index of greenness increased by 0.73 points(t=2.555, p <.01) and restorative environment by 1.01 points (t=2.567, p <.01),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Negative emotion increased by 0.04 points (t=0.183, p >.05), which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ositive emotion decreased by 0.42 points (t=-1.918, p <.05), facial expression by 0.57 points (t=-1.775, p <.05),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by 0.29 points (t=-0.981, p >.05), showing significance in positive emotion and facial expression. However, all the decreased item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이 정서적 쉼에 미치는 효과 -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활동만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Urban Forest Healing Program Education and Activities on Emotional Rest - Focusing on Healing Recovery Environment Awareness, Attention Recovery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

  • 윤선희;신창섭;홍종숙;정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86-399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이 정서적 쉼(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산림치유프로그램교육 및 실습), 대조군(프로그램 미참여)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경우는 프로그램 사후에 정서적 쉼 요소인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활동만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사후에 정서적 쉼에 대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참여자 그룹 간 정서적 쉼 차이에 대해서는 사전과 사후에 모두 그룹 간 차이가 있었는데, 사전 차이에 비해 사후 정서적 쉼 차이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고 실제 산림치유활동을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정서적 쉼을 더 높게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산림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임의로 산책 활동하는 것보다 적절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동기부여 및 정기적인 실천이 치유회복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주의회복을 증진시키며, 여가생활에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healing focused on plant fragrance therapy for maladjusted soldiers

  • Kim, Jihye;Sin, Changseob;Park, Jong-ok;Lee, Hyunchae;Kim, Jihye;Kim, Dohyeong;Kim, Sa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29-439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verified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plant fragrance therapy to analyze whether the therapy has a forest healing effect on maladjusted soldi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4 to May 31, 2020 according to the Green Camp curriculum for 2 weeks per recruit class. Thus, plant fragrance therapy was implemented twice each for three recruit classes. Each session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4 hours from 1 p.m. to 5 p.m. The venue was the garden within the camp and the forest nearby. Forest healing activities using plant fragrances were led by 1 forest education specialist and 1 assistant. The effects of plant fragrance therapy for maladjusted soldiers were analzed analyzed by quantify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through measuring brain waves and stress level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BRQ and SQ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plant fragrance therapy, both the left and right brain showed higher BRQ and SQ after the therap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indicates that plant fragrance therapy on maladjusted soldiers helped positively stabilize their nega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spositions, and stabilization of brain waves lowered physical and mental stress and improved self-regulation and immun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O. This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ress-coping mechanism. Troubleshooting (t = -2.702, df = 61, p = .009), emotional remission (t = -2.173, df = 61, p = .034), pursuit of help (t = -3.286), df = 61, p = .002), and wishful thinking (t = -3.714, df = 61, p < .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onclusion: Applying plant fragrance therapy to maladjusted soldiers positively stabilized their nega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spositions and helped their self-regulation. Thus, plant fragrance therapy has psychological and physical forest healing effect on maladjusted soldiers.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및 산림산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 and Forest Walks on Burnout)

  • 신선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7-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fire offic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subsequent forest healing on their occupational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Thi sresult suggests that the more fire office rsare called out for fire fighting, the more they see their colleagues with severein juri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and physical an xiety, the more they areex hausted. Moreover, for es thealing help store duce the irmental and physi calfatig uecaused by traumatic events, thu spreven ting them from suffering from burn out. Second,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ccupational stress.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o relieve job stress caused by fire fighting, increased forest healing activities, including various programs such as psychotherapy,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control, and creating a positive mind-set, can reducejobstress and help fire officers recover from it. Lastly, job stress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forest healing on burnout. This implies that burnout can be prevented when fire officers gain high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stress-relief strolling over a traumatic experience, and stronger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family can keep them from being emotionally drained, thu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burnout.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 박선아;정문선;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51
    • /
    • 2015
  • 삭막한 도시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는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거나 건강을 악화시키는 반면, 자연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준다. 자연을 통한 치유프로그램은 활동공간의 특성에 따라 숲치유와 원예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연계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각 프로그램의 효과와 차이점을 밝혀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은 숲치유 5명, 원예치료 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5일간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혈압, 맥박, 코티솔 변화량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반응은 기분상태검사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분산분석(ANOVA)과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숲치유와 원예치료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 2) 숲치유는 원예치료보다 생리적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에 더 효과적이고, 3) 원예치료는 숲치유보다 우울감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각 치유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의 동향 분석 (Analysis of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Humans in Korea)

  • 송인준;이가영;송초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651-666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과 기존 연구의 한계를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종 선별된 120편의 논문을 '학술지 정보', '연구대상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실험 디자인',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농수해양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논문 수는 관련 논문이 처음 게재된 1996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남녀 모두, 중장년기, 건강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연속형으로, 산림복지시설에서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정신·식물요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자의 수는 29명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반응을 측정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연구의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Yoga and Meditation-Focused Forest Healing Programs 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tress Response of Adults)

  • 박창은;김동준;박광수;신창섭;김윤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58-666
    • /
    • 2018
  • 본 연구는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강원도 홍천군 소재의 치유의 숲에서 2017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 동안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단축형 기분상태 척도(K-POMS-B: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와 스트레스 반응 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기분상태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활기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공격성을 제외한 긴장,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