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2

검색결과 23,729건 처리시간 0.063초

소프라노의 성악 발성에 대한 음향학적 특징 연구 (A Study on Acoustical Properties of Soprano′s Singing)

  • 임동철;문소연;이행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6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소프라노가 성악 발성으로 한국어 단모음을 발음할 때, 그 단모음들의 포르만트가 F0(Fundamental frequency)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지는지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다른 파트의 경우와는 달리, 소프라노가 노래를 할 때에는 포르만트가 그 F0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성악발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소프라노가 발성할 수 있는 전 음역 대의 F0에서 각 모음에 대한 포르만트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악 발성의 특징들을 패턴화하여 성악발성 평가 시스템이나 성악발성 합성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5명의 전문 소프라노를 대상으로 '아, 에, 이, 오, 우' 5모음의 성악발성을 A3(220.0Hz)에서부터 A5(880.0Hz)까지의 피치에서 포르만트 분석을 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대화 시 이 5가지 모음의 포르만트를 분석하여 성악발성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아, 에, 이'의 F2/F1의 그래프가, B4(493.8Hz)이상의 F0에서는 거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B4는 Changing Voice가 시작되는 곳으로, 성악가의 음색 변화가 포르만트 형태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A5에서는 '아, 에, 이, 오, 우'의 F1, F2의 수치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고음부에서 불려지는 모음들은 서로 구별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성악발성 평가 시스템이나 성악발성 합성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아, 오, 우'의 경우에는 B4에서 A5의 F1, F2를 F0대한 기울기로 규정화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규정화를 통하여 성악발성과 관련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단일 높이에서 관측된 저장 플럭스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논의 이산화탄소, 수증기, 현열의 순생태계교환량 오차 (Errors in Net Ecosystem Exchanges of CO2, Water Vapor, and Heat Caused by Storage Fluxes Calculated by Single-level Scalar Measurements Over a Rice Paddy)

  • 문민규;강민석;빈두 말라 타쿠리;이정훈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5
    • /
    • 2015
  • 에디 공분산 방법(eddy covariance method)을 이용한 이산화탄소($CO_2$), 수증기($H_2O$), 현열(sensible heat)의 순생태계과환량[net ecosystem exchange (NEE)]은 에디 플럭스(eddy flux, $F_c$)와 저장 플럭스(storage flux, $F_s$)의 합으로 어림한다. 스칼라의 흡원과 발원의 세기와 분포, 연직 난류 혼합의 정도에 따라 스칼라의 변화율은 높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정확한 $F_s$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파일 시스템을 운용하여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스칼라의 변화율을 고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아시아의 대부분의 농경지 관측지에서는 프로파일 시스템을 운용하지 않고, $F_c$ 관측 지점과 지면 사이에서 높이와 관계없이 스칼라 변화율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에디 공분산 시스템에서 관측되는 스칼라 변화율 만으로 $F_s$를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 에디 공분산 관측 높이에서 측정된 $F_s$(프로파일 시스템에서 관측된 단일 높이의 스칼라만을 이용한 $F_s$, $F_s_{-single}$)와 프로파일 관측(에디 공분산 관측지점과 지면 사이의 여러 높이에서 스칼라 관측)을 이용한 FS와의 차이를 정량화하고, $F_s_{-single}$로 NEE를 산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를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청미천 농경지 플럭스 관측지(Chengmicheon Farmland Korea, CFK)에서 에디공분산 방법과 프로파일 시스템을 이용해 $CO_2$, $H_2O$, 기온($T_a$)의 $F_c$$F_s$를 측정하였다. $CO_2$, $H_2O$, $T_a$는 흡원과 발원의 강도와 분포, 대기 경계층의 안정도에 따라 높이별로 변화율이 달랐고, 그 결과 $F_s_{-single}$$F_s$를 과소 또는 과대 평가하였다[특히, 해질 녘과 해 뜰 녘(0430-0800h와 1630-2000h)에 $CO_2$$F_s$를 평균 21% 과소평가]. $F_s_{-single}$로 인해 발생하는 NEE 계산의 오차는 $F_{CO_2}$의 경우, 하루 중 시간에 따라 밤(2030-0400h), 해 질 녘과 해 뜰 녘에 각각 평균적으로 3%, 2%씩 $F_{CO_2}$를 과소평가했다. 이러한 차이는 $F_{CO_2}$의 야간 자료 보정과 분배의 과정에서 논의 탄소수지를 과소평가하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LE, H의 경우 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인집단의 Transferrin C Subtypes와 Haptoglogin Phenotypes의 분포와 유전자 빈도 (Gene Frequencies and Phenotypes of Transferrin C Subtypes and Haptoglobin in Korean Population)

  • 이정주;오문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1-217
    • /
    • 1983
  • 한국인집단에서 Transferrin C subtypes와 Haptoglobin polymorphism의 분포 및 유전자 빈도에 관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집단에서 관찰된 Transferrin C subtypes은 주로 $T_{f}C_{1}, T_{f}C_{2}$ 및 $T_{f}C_{1}-C_{2}$형이었는데 $T_{f}C_{1}$과 $T_{f}C_{1}-C_{2}$이 51%와 42%로 나타났으며, 유전자 빈도는 $T_{f}C^{1}, T_{f}C^{2} 및 T_{f}D^{Jeju}$가 각각 0.7220, 0.2743 및 0.0037이었다. Haptoglobin의 유전자 빈도는 서울집단에서 460명, 제주집단에서 502명을 대상으로 추정한 결과 서울집단에서 $Hp^1 = 0.304, Hp^2 = 0.696$이었고, 제주집단에서는 0.269와 0.731이었으며 두 집단사이에 빈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 PDF

ADDITIVE ρ-FUNCTIONAL INEQUALITIES IN β-HOMOGENEOUS F-SPACES

  • LEE, HARIN;CHA, JAE YOUNG;CHO, MIN WOO;KWON, MYUNGJ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3권3호
    • /
    • pp.319-328
    • /
    • 2016
  • In this paper, we solve the additive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f(2x-y)+f(y-x)-f(x)|| $\leq$ ||${\rho}(f(x+y)-f(x)-f(y))$||, where ρ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ρ| < 1, and (0.2) ||f(x+y)-f(x)-f(y)|| $\leq$ ||${\rho}(f(2x-y)-f(y-x)-f(x))$||, where ρ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ρ| < $\frac{1}{2}$. Using the direct method,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additive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and (0.2) in β-homogeneous F-spaces.

RADIUS CONSTANTS FOR FUNCTIONS ASSOCIATED WITH A LIMACON DOMAIN

  • Cho, Nak Eun;Swaminathan, Anbhu;Wani, Lateef Ahmad
    • 대한수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353-365
    • /
    • 2022
  • Let 𝓐 be the collection of analytic functions f defined in 𝔻 := {ξ ∈ ℂ : |ξ| < 1} such that f(0) = f'(0) - 1 = 0. Using the concept of subordination (≺), we define $$S^*_{\ell}\;:=\;\{f{\in}A:\;\frac{{\xi}f^{\prime}({\xi})}{f({\xi})}{\prec}{\Phi}_{\ell}(\xi)=1+{\sqrt{2}{\xi}}+{\frac{{\xi}^2}{2}},\;{\xi}{\in}{\mathbb{D}}\}$$, where the function 𝚽(ξ) maps 𝔻 univalently onto the region Ω bounded by the limacon curve (9u2 + 9v2 - 18u + 5)2 - 16(9u2 + 9v2 - 6u + 1) = 0. For 0 < r < 1, let 𝔻r := {ξ ∈ ℂ : |ξ| < r} and 𝒢 be some geometrically defined subfamily of 𝓐. In this paper, we find the largest number 𝜌 ∈ (0, 1) and some function f0 ∈ 𝒢 such that for each f ∈ 𝒢 𝓛f (𝔻r) ⊂ Ω for every 0 < r ≤ 𝜌, and $${\mathcal{L} _{f_0}}({\partial}{\mathbb{D}_{\rho})\;{\cap}\;{\partial}{\Omega}_{\ell}\;{\not=}\;{\emptyset}$$, where the function 𝓛f : 𝔻 → ℂ is given by $${\mathcal{L}}_f({\xi})\;:=\;{\frac{{\xi}f^{\prime}(\xi)}{f(\xi)}},\;f{\in}{\mathcal{A}}$$. Moreover, certain graphical illustrations are provided in support of the results discussed in this paper.

한국 재래 산양에 있어서 Prostaglandin $F_{2\alpha}(PGF_{2\alpha})$의 투여가 호르몬 함량 및 난포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F_{2\alpha}(PGF_{2\alpha})$ Treatment on Hormone Concentrations and Follicular Development in Early Postpartum Korean Native Goats)

  • 변명대;함태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62
    • /
    • 2001
  • 본 실험은 한국재래산양에 있어서 분만 후 초기에 prostaglandin $F_{2{\alpha}}$(PG $F_{2{alpha}$)의 투여가 호르몬 농도 및 난포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한 한국재래산양에 혈장중 PG $F_{2{\alpha}}$의 농도는 PG $F_{2{\alpha}}$처리 후 2일에 PG $F_{2{\alpha}}$처리군 (GR-1 및 GR-2)에서 각각 6.35$\pm$0.5 및 0.22$\pm$0.2pg/$m\ell$로서 저하한 후 점차 증가하여 4일 후 21.18$\pm$1.6 및 4.21$\pm$0.4 pg/$m\ell$로서 절정에 도달하였다. 2. 혈장중 PG $F_{2{\alpha}}$의 농도는 PG $F_{2{\alpha}}$ 처리 전 9.08$\pm$1.2 및 5.44$\pm$1.8 pg/$m\ell$였으며 처리후 농도는 다소 저하하였으나 처리 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3. 혈장중 estradiol-l7$\beta$( $E_2$)농도는 PG $F_{2{\alpha}}$ 처리 후 2일까지 점차 감소한 후 3일에 증가하여 4일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4. 혈장중 luteinizing hormone (나T)의 농도는 PG $F_{2{\alpha}}$ 처리 후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혈장중 prolactin (PRL)의 농도는 PG $F_{2{\alpha}}$처리후 감소되었으나 저농도의 수준으로 남아 있었다. 6. PG $F_{2{\alpha}}$의 처리 후 소형 및 중형의 난포의 수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4mm 이상 대형 난포의 수는 숫적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G $F_{2{\alpha}}$ 및 estradiol-17$\beta$는 난포의 직경과 관계가 있다고 암시되며 PG $F_{2{\alpha}}$는 난포발육을 촉진하였다고 생각된다.

  • PDF

국내 육성 주요 옥수수 자식계통 및 교잡종의 종실 성분 특성 (Chemical Composition of Seed from Inbred Lines and Hybrids of Maize Recently Developed in Korea)

  • 손범영;김정태;이진석;백성범;김선림;구자환;황종진;차선미;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88-194
    • /
    • 2012
  • 옥수수 우량 교잡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 육성 옥수수 자식계통, $F_1$ 종실 및 $F_2$ 종실의 이화학적 특성과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을 각각 분석 검토하였다. 1. $F_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이 9.0%로 자식계통 11.4%와 $F_1$ 종실 10.9%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함량은 $F_2$ 종실이 자식계통과 $F_1$ 종실보다 높았다. 회분은 자식계통, $F_1$ 종실, $F_2$ 종실간 조성변이에 차이가 없었다. 2. 자식계통, $F_1$ 종실, $F_2$ 종실 모두 linoleic acid의 조성비가 가장 높고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의 순으로 지방산 조성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_2$ 종실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17.6%로 $F_1$ 종실과는 비슷하였으나, 자식계통보다는 낮았다. $F_2$ 종실의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82.4%로 $F_1$ 종실과는 비슷하였으나, 자식계통보다는 높았다. 3. $F_2$ 종실의 leucine의 함량이 자식계통 및 $F_1$ 종실보다 낮았다. 반면 $F_2$ 종실의 valine, serine, threonine, cysteine,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 histidine 등의 함량이 자식계통 및 $F_1$ 종실보다 높았다. Alanine 등 나머지 아미노산은 자식계통, $F_1$ 종실, $F_2$ 종실간 조성변이가 비슷한 경향이었다. 4. 산성아미노산인 MMA(monoamino monocarboxylic acid)가 자식계통, $F_1$ 종실, $F_2$ 종실에서 그 조성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산성 아미노산인 DMA(diamino monocarboxylic acid), 방향족 아미노산인 AAA(aromatic amino acid) 순으로 조성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