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ivenes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5초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 유은희;임미옥
    • 아동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106
    • /
    • 2006
  •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of parents and self-regulation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116 3rd and 6th grade Sunda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13 church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the sex, age and self-regulation of the childre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e parents using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that mothers showed higher levels of emotional expression than fa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fathers was related to the self-regulation of sons but not daught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was related to the self-regulation of daughters but not sons.

  • PDF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 박미숙;정희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S시 G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269명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ANOVA 검증, $Scheff{\acute{e}}$사후 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살펴본 결과 연령, 양육참여시간,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영아가 사회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 정서표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o Depress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 오예람;송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50-160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를 탐색하였다. 전국의 성인 20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II,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을 실행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 경험회피는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을 높이는 변인으로써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정서표현 양가성, 경험 회피, 우울의 통합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경험 회피를 이용한 치료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공통기술표현포맷에 기반한 다매체자료의 검색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ing Expressiveness of Conceptual Modeling for Bibliographic Relationships - A Reflection on the FRBR Entity-Relationship Model -)

  • 최윤선;알렌리니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5
    • /
    • 2006
  • 서지관계모형을 위한 개념적 모델인 IFLA의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이 발표되어 왔지만, FRBR 모델의 내부적인 일관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FRBR 객체-관계 (entity-relationship) 모델에서 객체들 (entities)간의 관계(relationships) 에서 발생하는 상속 (inheritance) 속성과 관련된 모델의 내부적 모순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RBR 모델의 표현성(expressiveness)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대안적인 방안을 논의한다.

시맨틱 웹 언어를 이용한 서비스 명세(Service Description) 확장 (Extension of Service Description in a Semantic Web Language)

  • 김홍기;김학래;이강찬;전종홍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3-128
    • /
    • 2003
  • 시맨틱 웹 기반의 서비스의 기술(혹은 명세 )은 지능적 서비스 중개 (matchmaking)가 가능할 수 있도록 언어적 표현의 유연성 (flexibility)과 표현력 (expressiveness)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유연성은 서비스 기술의 상세한 정도와 표현의 구조적 차이를 컴퓨터가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고, 표현력은 서비스를 의미적 차원으로(혹은 온톨로지에서 표현하는 개념의 수준으로) 보다 풍부하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전자상거래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UDDI와 ebXML의 단점은 서비스 명세에 있어서 유연성과 표현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DAML-S를 중심으로 시맨틱 웹 기반의 서비스 명세의 확장에 필요한 언어적 구성 요소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지능형 웹 서비스 구현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을 가상적 경매 사이트인 테스트옥션 닷컴 (testAuction.com)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온톨로지를 이용한 서비스 기술 프레임웍에 대한 이론적 고려사항들에 대하여도 살펴본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정서표현성, 성취동기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self-resilience, emotion expressiveness, achievement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김미영;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77-8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정서표현성, 성취동기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F=4.021, p=.008), 성적(F=3.791, p=.024), 학과만족도(F=11.140, p<.001), 성취감(F=8.000, p<.001), 대인관계(F=16.94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은 자아탄력성(r=.532, p<.001), 정서표현성(r=.365, p<.001), 성취동기(r=.694, p<.001)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정서표현성, 성취동기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반복연구와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 부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0-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적 문화성향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정서표현양가성의 문화차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에서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 실증적 연구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138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문화성향, 심리적 부적응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 집단주의 문화성향, 이들 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해 정서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집단주의 문화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차이, 그리고 이들의 임상적 함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ccording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 이한나;성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80-3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지역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16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슬픔의 정서성에 차이가 나타나서 여아가 남아보다 슬픔의 정서성이 더 높았고, 형제가 없는 유아보다 형제가 있는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표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정서성이 낮은 유아보다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의 가족환경지각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Family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f Boy's High School Students)

  • 오화선;김미예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3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family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f boy's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obtain the appropriate data,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0 boy's high school 2nd-grade students in Pohang city from March 19 to March 28, 1992.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oos's Family Environment Scale Form R and Kim's Symptom Check List-90.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The level of perception of family environment was lower than mean score. Cohesion, achievement orientation, independence, organization, expressiveness were percepted high but active-recreational orientation,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were percepted low. Mental health of most respondents was well. The scores of obsessive-compulsive react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were high, the scores of somatization and phobia were low.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family environment were father's occupation and mother's education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mental health. There were mos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ption of family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Cohesion, expressiveness,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active-recerational orientation, moral-religious emphasis, organiz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but conflict, achivement orientation, control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hesion, expressiveness, conflict, achivement orientation, active-recretional orientation, organization,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but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moral-religious emphasis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 PDF

가족환경, 어머니의 사회심리적 역량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간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Family Environment, Mother's Psycho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정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7-5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capacity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family environment (cohesion, expressiveness, conflict, mother's psychosocial competence) fo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hypotheses of this reserch were 1) There will b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cohesion, expressiveness, and mother's psychosocial competence. 2) There will b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onflict and measure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3)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S and measure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4) There will b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gender and measure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family of mother-child.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Aug. 20, 1990 to Feb. 29, 1992. Correlations,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measures of total sample, daughter sample, and son s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 1. Family environment (cohesion, expressiveness, and conflict) and mother's psychosocial competence were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2.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nflict and daughter's social competence. 3. Daughters had the higher social competence than sons. 4. Socioeconomic status(perceived by mother) of family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5.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o children's competence were mother's school career, mother's age, mother's relig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