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7.28
  • Accepted : 2018.09.05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9 infants and their mothers who attended day care centers in G district of S city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NA test using SPSS 16.0 program, $Scheff{\acute{e}}$ test by pos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parenting efficac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articipation time, and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parenting tim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and parenting time.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renting time. Seco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infant'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eem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in infant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grow the children healthy in social, emotional aspect, various education programs which could improve parenting efficacy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r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S시 G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269명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ANOVA 검증, $Scheff{\acute{e}}$사후 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살펴본 결과 연령, 양육참여시간,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정서표현성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영아가 사회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 정서표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한나, 박혜원(201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613-622. https://doi.org/10.6115/fer.2013.51.6.613
  2. 권연희 유아의 사회적 (2012). 위축과 관련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정서표현성. 대한가정학회지, 50(5), 13-24. https://doi.org/10.6115/khea.2012.50.5.013
  3. 김갑순, 박윤조(2016).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3), 27-44.
  4. 김경희(2010).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문신(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문신, 김광웅(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6(1), 3-13.
  7. 김미경(2013).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미란(2005).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숙령, 고윤희(2013).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 및 영유아 탄력성이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과연령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2), 27-51.
  10. 김순정(2000).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및 친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예빈(2005). 부모의 사회화 양육신념과 남.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윤수(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영유아 발달수준의 차이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진(2009).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혜나(201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호인(2010).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 개발. 덕성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호정(200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나양균(2006). 영아의 사회.정서 능력과 기질 및 애착 간의 관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남현정(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류은미(2011).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문태형(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43-62.
  21. 박미라(2017).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소영(200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화윤, 마지순(2013).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및 양육 효능감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2727-2734.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27
  24. 백승선, 안연경, 곽경화(2017).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2), 1-24.
  25. 백지숙, 권은주(2017).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2), 99-114.
  26. 서 희(2012).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수준 및 양육 효능감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서혜린(2007).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29. 송하나, 최경숙(2006). 모자 상호작용에서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1), 50-65.
  30. 안라리(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양보라(2007).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양선미(2007). 어머니의 취업 형태에 따른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인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34. 오영희, 우수경, 김화자(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 통제 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149-165.
  35. 우수경(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학회지, 15(1), 259-280.
  36. 유 미(2008). 어머니의 놀이 신념과 정서표현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유은희, 임미옥(2006).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97-106.
  38. 윤서희(201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윤연정, 이미숙(2007). 가족건강상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05-122.
  40. 이경하(2009).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경하, 서소정(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42. 이미라(201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피드백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격려,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사라, 권정임, 이혜린(2009).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조사연구: 학령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보육학회지, 9(4), 1-24.
  44. 이수진(2011).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여주(201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윤진(2006). 사회적 지원과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은주(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정순(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주연(2010).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1(9), 43-61.
  50. 이주옥(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51. 이충량, 문혁준(2011).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또래놀이 행동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31(1), 66-91.
  52. 이한애(2007). 어머니와 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현주, 문혁준(2011).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 건강상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83-203.
  54. 임영미, 정희정(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 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77-105.
  55. 장사남(2012).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영아에 대한 애착과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전향미(2009).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인성특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정수진(2000).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정은주(2005).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정은주(2007). 어머니 정서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영숙, 이양희(2007).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취학전 아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4), 97-112.
  61. 최문희(2010). 취업모 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결정 요인 탐색: 가정환경과 보육시설 특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최정미(2002). 어머니의 성인기 애착과 애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4), 125-138.
  63. 한명숙(2016). 부모의 인성 리더십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6(1), 121-140.
  64. 한미림(201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한영민(2005).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해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현정희(2005).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홍선미 (2017).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양육효능감, 모-자녀관계 및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홍정유(2007).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홍혜란(2008). 유아의 기질, 정서능력, 친사회적 행동발달 및 어머니의 친사회성과 관련된 양육신념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Bandura, A. (1982).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71. Brownell, C. A., & Kopp, C. B. (2007). Transitions in toddler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C. A. Brownell & C. B. Kopp (E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he toddler years: Transitions and transformations, (pp. 1-40). New York, NY: Guilford.
  72. Cassidy, J., Parke, R., Butkowski, L., & Braungart, J.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ʼs under 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https://doi.org/10.2307/1131349
  73. Dunsmore, J. C., & Halberstadt, A. G. (1997). How does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children's schema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77(77), 45-68.
  74.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0904_1
  75. Gross, D., & Rocissano, L. (1988). Maternal confidence in toddlerhood: Its measurement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The Nurse Practitioner, 13(3), 19-31.
  76. Halberstadt, A. G. (1986). Family socializ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and skil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4), 827-836. https://doi.org/10.1037/0022-3514.51.4.827
  77.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Y: The Guilford press.
  78. Miller, S, M., & Greenburg, M. L. (1989). Coping with stress and frustration: Origins, nature and development. In M. Lewis & C. Saarni (Eds.), The Socialization Of Emotions. (pp. 263-314). New York: Plenum Press.
  79. Saarni, C. (1979).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play rules for expressive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15(4), 424-429. https://doi.org/10.1037/0012-1649.15.4.424
  80.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