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iveness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9초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및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정서조절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Young Child's Attachment St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s Problematic Behaviors)

  • 서선옥;심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5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 emotional expressiveness, young child attachment stabilit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n problematic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79 children (age 5), and their mothers, and 48 teachers.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 -test, Pearson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 analyses. Results and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ssociated with better child attachment stability. Second, higher child attachment stabil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child emotion regulation at home and lower problematic behavior. Third, higher child emotion regulation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was associated with lower problematic behavior. Fourth,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 emotional expressiveness directly impacted levels of problematic behavior. Fifth, child emotional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attachment stability on problematic behavior.

아동의 신체화 증상 경험과 관련 부모 및 아동 변인 (Children's Somatic Symptoms and Related Parent and Child Variables)

  • 차지량;유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93-20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hildren's somatic symptom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 and child variables such a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anxie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matic symptoms. The subjects were 523 6th grade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usan and Daejeon.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CSI), Parental Rearing Attitude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for Children (STAIC), a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somatic symptoms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during the last 2 week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selected data of 10 somatic symptoms which were experienced by over 10% of the childr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dominal pain, headache, dizziness, and memory failure, in that order, were experienced in over 20% of the children. Second, children's somatic symptom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mothers' and fathers' loving-denial attitudes and their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children's somatic symptoms were influenced by their anxie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not by parenting attitude.

부모의 정서사회화와 유아의 정서성 발달의 관계 (The Relation of Parents' Emotion Socialization to the Development of Emotion in Their Young Children)

  • 이강이;최인숙;성미영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7-199
    • /
    • 2007
  • The relation of parents' emotion socialization to emotionality in their 5-year-old children was studied in 106 mothers and 105 fathers. They reported on their own family-related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on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by questionnaires; mothers rated children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ity. Results showed that mothers expresse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more frequently, and mothers showed more distress, expressive encouragement, and problem-focused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an fathers.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ity, whereas only fa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related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distress and punitive reactions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and fathers' problem-focused reactions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positive emotionality.

  • PDF

아버지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Verbal Control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y)

  • 송해영;엄정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87-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verbal controls, and his children's social competency depending on gender. Subjects were 156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fathers in 4 private kindergarten in Gyeongi province.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ronbach's alpha,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hildren's gender in terms of children's external behavioral problems in social competency. 2)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mal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3)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imperative control under verbal controls and their male children's social competency.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Relevant Variable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정미영;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7-54
    • /
    • 2007
  • Variables studied in relation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child's sex, grade, and ego-resilience maternal employment, parents' ag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Subjects were 548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mother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aried by child's grade in school and ego-resilience, parents' age, father's academic backgrou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Children with higher ego-resilience, whose mothers showed mor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who perceived more social support from peers, family, and teachers showed higher adjustment to school life. Among these, support of peers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 PDF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other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ttributional Biases o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 Gen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 박서연;송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42
    • /
    • 2014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가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6세 남아 46명과 여아 40명(총 8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은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아의 귀인오류는 이야기를 사용한 인터뷰로 측정 되었다. 또한 유아의 공격행동은 Crick등이 개발한 유아 공격행동 체크리스트를 교사가 보고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관계적 귀인오류가 유아의 외현적 공격행동과 관계적 공격행동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공격행동은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부적 정서 표현성이 여아의 관계적 공격행동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성에 따른 어머니 및 유아 변인이 유아의 공격 행동의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현적 자기애 특성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윤혜지;현명호
    • 스트레스연구
    • /
    • 제26권4호
    • /
    • pp.332-339
    • /
    • 2018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남녀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계적 특징에 따라 나누면, 윗사람을 제외하고 연인/배우자와 친구/동료 정서표현양가성이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만족감이 낮은 내현적 자기애자를 위한 개입 방향과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Harm Avoidance Temperament on Depression: Dual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 구민지;이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11-4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위험회피 기질을 가진 대학생들이 우울에 취약하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그 과정에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이 매개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40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TCI-RS, AEQ-K, DTS, CES-D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고통 감내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은 위험회피 기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질적 특성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 남궁진;정희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 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D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2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명화감상과 동화 듣기 후 그리기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감수성, 독창성, 융통성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표현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와 그림 보고 연계성 있는 이야기 꾸미기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중학생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서영정;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8-77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행동억제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 그리고 사회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고,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도시(원주, 서울, 수원, 순천, 광주)에 소재하는 6개 중학교 1~3학년 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 정서표현 양가성 모두는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행동억제기질과 대인불안, 행동억제기질과 수행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행동억제기질이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행동억제기질이 정서표현 양가성 수준을 증가시켜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타고난 행동억제기질로 인해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중학생을 상담할 때 정서표현 양가성 수준을 낮춰줌으로써 사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