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tise

검색결과 2,012건 처리시간 0.029초

사용 습관이 새로운 정보기술 수용에 미치는 두 가지 상반되는 효과: 전문성과 고착현상 (The Two Contrary Effects of Usage Habits on the Acceptance of a New IT: Lock-in and Expertise)

  • 이웅규;김효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12권5호
    • /
    • pp.11-2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wo contrary effects of usage habits on the acceptance of a new IT. The one is a positive one which may be caused by expertise from the repetitive usages of a current system while the other is a negative one which would be due to lock-i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ed three hypotheses which account for not only the negative effect of the habit in current system on the intention of using a new system but also the positive moderation effects on both relationship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ith the intention of a new system. For the empirical tests of the hypotheses, this study surveyed acceptance of Google Docs for the users who have a habitual used word processor. The analysis by partial least square approach showed that the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 PDF

문서 범주화를 이용한 지식관리시스템에서의 전문가 분류 자동화 (Automation of Expert Classific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Using Text Categorization Technique)

  • 양근우;허순영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115-130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how to build an expert profile database in KMS,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of expertise that each expert possesses in the organization. To manage tacit knowledge in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recent researches in this field have shown that it is more applicable in many ways to provide expert search mechanisms in KMS to pinpoint experts in the organizations with searched expertise so that users can contact them for help. In this paper, we develop a framework to automate expert classification using a text categorization technique called Vector Space Model, through which an expert database composed of all the compiled profile information is built. This approach minimizes the maintenance cost of manual expert profiling while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incorrectness and obsolescence resulted from subjective manual processing. Also, we define the structure of expertise so that we can implement the expert classification framework to build an expert database in KMS. The developed prototype system, "Knowledge Portal for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introduced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전자연동장치용 연동도표 작성 지원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Formal Development of Software to Design of a Railway Interlocking Table for an Electronic Interlocking System)

  • 박영수;이재훈;이기서;유광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0-19
    • /
    • 1998
  • Described in this paper is the software to design of a railway interlocking table, which describes the functional specifications of an interlocking device. Interlocking tables has been designed mainly based on personal expertise among signal engineers. However, this expertise needs to be analyzed with technical uniformity and integrated in an organized system. The proposed software is amount to the signal engineer's expertise, yet a generalization of interlocking reasoning.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train route setting principle, and is applicable in solving practical problems by computers. The software was evaluated through man-made and machine-made interlocking tables are compared. The evaluation results proves the software to be effective for computer control of the signaling system as interlocking system with a much improved safety.

  • PDF

Gesamtkunstwerk in Design: Interdisciplinary Design and Pedagogy

  • Lee, Youngji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11-121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disciplinary practice within design realms including urban planning,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t discusses the pedagogical approaches at design schools to foster designers capable of design challenge with interdisciplinary skills. As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multicultural society increasingly requires a higher level of expertise in professional service, no individual designer can be expert in all fragmented expertise across the whole design and associated engineering areas. A designer, therefore, should rely on the expertise of other practitioners in areas where he or she doesn't possess proficiency and educational background. From this sense the need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cross diverse range of design and engineering through the collaboration is rising. Historically most of discussion made 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s limited to collabor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supporting engineer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collaboration with design realms. Three case studies done in an interdisciplinary firm are explored, focusing on design process that is non-linear and complementary. Finally the integrative pedagogical approaches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exposure to allied disciplines are navigated with exemplary student work from interdisciplinary design studio.

소방공무원의 업무숙달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ration of Expertise of Fire Fighters' Work)

  • 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38-143
    • /
    • 2011
  • 소방조직의 근무체제를 분업체제로 할 것인지 멀티체제로 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소방업무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분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업무의 전문성 평가인데, 이것은 업무를 숙련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계량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조직에서 수행되고 있는 업무 중에 범용업무를 모두 익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문을 통해 추산하였다. 신임소방사가 범용업무를 숙련시키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12년 5월로서 평균적으로 소방장 1년 9월차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공기업 CEO의 정치적 독립성, 이사회 의장 분리, 임원의 전문성과 성과 (CEO's Political Independence, Board Chair Separation, Executive's Expertise, and Performance in State-Owned Enterprises)

  • 유승원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2호
    • /
    • pp.1-3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에서의 주요 연구사항인 CEO의 유형, 이사회 의장과 CEO의 분리, CEO와 비상임이사의 산업전문성과 재무전문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공기업의 특수한 환경인 공기업 CEO와 정치권 간 관계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일반 대중의 지각에 영향을 미칠 만한 외관상 독립성을 기준으로 공기업 CEO의 판단, 활동, 보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치권과의 관계 또는 정치적 환경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의미하는 '정치적 독립성'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가 공기업 CEO를 외형상 직업으로 구분하여 정치권에 종속된 인사를 파악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고, CEO의 정치적 독립성이 훼손될 경우 공기업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타 공기업 지배구조 변수와 성과의 관계에 CEO의 정치적 독립성 훼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성과변수로는 총자산영업이익률과 고객만족도의 3년 평균 수치를 사용하였다. 이명박정부와 참여정부에서의 제반 공기업 인사정보와 재무정보를 활용하여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항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기업 CEO를 정치적 독립성 유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정치적 독립성이 훼손된 CEO(본 연구샘플 전체 CEO 중 41.1%가 이에 해당, 외부전문가 출신 CEO의 경우 61.8%가 이에 해당)는 고객만족도에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도입된 공기업 이사회 의장과 CEO 분리정책은 공기업의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CEO의 정치적 독립성이 훼손된 공기업에서는 이사회 의장 분리정책의 긍정적 효과가 상쇄되었다. 셋째, 비상임이사의 산업전문성은 총자산영업이익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CEO의 정치적 독립성이 훼손된 공기업에서는 비상임이사 산업전문성의 긍정적인 효과가 상쇄되었다. 넷째, 이명박정부와 참여정부의 제반 공기업 지배구조 관련 변수 및 성과 현황을 비교한 결과, CEO의 정치적 독립성 훼손은 이명박정부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비상임이사의 산업전문성과 재무전문성은 참여정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CEO의 정치적 독립성 제고와 공기업 임원의 전문성 요건의 구체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요양병원 진료시스템에 따른 진료전문성, 편의성, 상호작용성의 역할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xpertise, Convenience, and Interaction of Medical Treatment Systems Applied by Geriatric Hospital)

  • 윤성욱;류정건;김수배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1권3호
    • /
    • pp.1-22
    • /
    • 2006
  • 노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의료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일천하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양방, 한방, 양 한방 협진 진료시스템에 따라 진료의 전문성, 편의성, 상호작용성 요인의 역할에 대하여 처음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요양병원에서 양방, 한방, 양 한방 협진의 진료시스템에 따라 전문성이나 편의성, 상호작용성은 고객만족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양방진료에서는 편의성과 상호작용성이, 한방에서는 상호작용성이, 양 한방 협진에서는 전문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방진료에서는 진료편의성과 상호작용성의 확대에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한방진료에서는 상호작용성에 따른 인적서비스의 증대가, 그리고 양 한방 협진에서는 전문성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협진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모든 진료시스템에서 고객만족은 관계의 질에, 관계의 질은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계의 질은 전환의도에 양방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방과 양 한방 협진에서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양방과는 달리 한방과 양 한방진료에서는 선택범위가 넓지 않아 전환기회가 낮은 것이 원인으로 보이며, 장기적 관점에서 관계의 질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PA를 활용한 컨설팅장학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역량 분석 (A Survey on Competencies of Consultants of Guidance Consulting Supervision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이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98-511
    • /
    • 2014
  • 본 연구는 컨설팅장학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역량에 관심을 가지고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어떤 역량이 가장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역량을 우선적으로 강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우선 순위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17개 시도교육청 생활지도 영역 관련 의뢰인과 컨설턴트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뢰인 총 318명, 컨설턴트 총 11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자료였으며, 이들의 자료로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IPA 분석을 통한 영역별 결과에서, 의뢰인의 경우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 컨설팅장학 능력과 내용전문성이,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방법전문성이 포함되었다. 컨설턴트의 경우 1사분면(지속 유지)에 방법전문성이,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 내용전문성이, 그리고 3사분면(낮은 우선 순위)에는 컨설팅장학 능력이 포함되었다. 항목별로 살펴본 결과는 의뢰인의 경우 1사분면(지속 유지)에는 어떤 항목도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는 10개, 3사분면(낮은 우선 순위)에는 1개가 포함되었으며,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4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컨설턴트의 경우 1사분면(지속 유지)에 5개 항목이 2사분면(우선 시정 노력)에는 3개, 3사분면(낮은 우선 순위)에는 3개,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4개 항목이 포함되어 의뢰인의 인식과는 다른 형태를 보였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미술에 대한 전문성과 화가의 표현 의도에 관한 자각이 운동성을 묘사한 추상화 지각 시 안구 운동 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 expertise and awareness of artists' intention on the patterns of eye movement during perception of abstract paintings with implied motion)

  • 김지은;신은혜;김채연
    • 인지과학
    • /
    • 제25권3호
    • /
    • pp.259-276
    • /
    • 2014
  • 마르셀 뒤샹이나 지아코모 발라와 같은 미래파 화가들은 물체가 움직이는 순간 순간의 정지 이미지를 캔버스에 중첩해서 운동감을 표현하려고 했다. 본 연구진은 선행 연구에서 이렇듯 운동성이 내포된 추상 미술작품들에 대한 사전 경험이 뇌의 운동 지각 영역의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관찰된 사전 경험에 따른 차별적인 뇌 운동 지각 영역의 활성화가 안구 운동 패턴의 차별성에 기인하는지 살펴보았다. 사전 경험은 미술 전공 여부로 조작하였다. 또한 전문성 이외에도 움직임 내포에 관한 화가의 의도 자각 여부에 따라 관찰자의 안구 운동 패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 전공 여부에 따라 추상화 지각시 그림 전체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나 시간 등에 차별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화가의 표현 의도에 대한 자각은 이러한 전반적인 차이와 관련이 없었다. 반면, 운동성의 내포라는 화가의 표현 의도의 자각은 추상화 중 운동성이 표현된 특정 위치에 대한 안구운동과 연관성을 보였다. 즉, 표현의도를 자각한 관찰자들은 그렇지 못한 관찰자들에 비해 추상화 중 움직임과 연관된 신체 부위가 표현된 위치에 좀 더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화폭에 표현된 물체의 움직임 방향과 합치하는 방향의 안구 운동을 더 많이 보였다. 미술 전공 여부는 움직임 표현 위치에 특정적인 안구 운동과 무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 전문성 및 화가의 의도 자각 여부가 관찰자들이 움직임이 함축된 추상화를 지각하는 방식에 차별적으로 관여함을 시사한다. 즉, 전문성은 그림에 대한 전반적인 지각 방식에, 내포된 움직임에 대한 자각은 그 정보에 특정적인 공간에 대한 지각방식에 관여할 가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