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theory

검색결과 1,585건 처리시간 0.031초

안전교육전문인력에 대한 ICT활용 교육을 위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ICT for Safety Education Specialists)

  • 정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05-512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안전교육 전문인력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 안전교육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의 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안전교육 전문인력에 관한 두 차례의 안전교육 전문인력 역량강화 교육결과를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였고 안전교육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교육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의 내용이 대부분 이론에 치우쳐져 있고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아 현장의 안전교육 또한 대부분 이론과 시청각 위주의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다. 결론: 안전교육은 이론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닌 체험과 실습 등 실제 상황과 같은 경험을 해 봄으로써 효과가 극대화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ICT를 안전교육에 유용하게 활용하여 안전교육 전문인력이 안전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이며 효과적인 내용의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통한 이용자 공간 지각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Space Perception through the Use Dewey's Theory of Experience)

  • 고귀한;김정곤;강민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00-107
    • /
    • 2013
  • In smart era, concept of User experienc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both in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in recent years.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As, well developed information technology made a lot of changes to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interactive space with the concept of HCI became a big issue in environmental design field. In this interactive space, various types of informative factors of the given space are sent using sensor and computer networking technology to the main system. So, a user's movement in the space in more than just a movement itself-user's movement now forms a important spatial structure that leads the narrative of the space. in this research, I will come up with the problems that the interactive space has right now, and analyze what the public space must have, and combine them with interactive space by HCI theory. architecture space is not the old space adapt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take the role as new space paradigm. environment and technology, it has to develop technology continuously and experimental space at the same time. It must have co-evolution of architecture space field and others through organic network. by that, the evolution of space will be in the way that combines space which is responded to human emotion and user centric human friendly.

IoT기반 피트니스 트래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ing IoT-Based Fitness Tracker)

  • 조덕윤;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17-1726
    • /
    • 2018
  • 본 연구는 플로우이론과 UTAUT모형에 의한 IoT기반 피트니스 트래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IoT기반 피트니스 트래커의 독립변수들로 플로우 경험이론에서 사용된 도전감과 숙련도 요인을 활용하고 개인적 특성인 건강관심도와 유희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을 선정하였다. 또한 UTAUT이론을 활용하여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매개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사용의도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26개의 설문자료를 수집하고 Smart PLS를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기술수용모델 (UTAUT)의 주요변수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입한 플로우 경험과 개인적 특성요인이 IoT기반 피트니스 웨어러블 환경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he Intelligent Chatbot Services)

  • 이명수;김상훈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37-55
    • /
    • 2017
  • 최근 많은 기업들에서 고객관계관리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그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인 허니콤모형, 이성적행동이론, 기술수용모형 및 확장된 기술수용 모형 등 4가지 이론적 모형에 근거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33부의 유효한 설문 응답결과들을 대상으로 SmartPLS 3.0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한 기여를 하였으며, 실무적인 기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를 도입 활용하고자 하는 조직들에 대해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UX) 설계 방향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Trauma Centers)

  • 한소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2호
    • /
    • pp.219-246
    • /
    • 2017
  • 본 연구는 트라우마 센터에 근무한 사회복지사들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실체 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근거이론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기코딩을 통해서 159개의 의미단위, 4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초점 코딩에서 중심현상을 '상처받은 존재성'으로 보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자리 찾기'를 핵심범주로 정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연관된 범주들을 연결하였다. 이론적 코딩 결과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 과정은 사명기, 갈등기, 침체기, 해체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복지실천에 대한 준비, 트라우마 치유 관점에 대한 논의 및 합의, 그리고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예방과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성매매피해여성의 탈성매매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erience of Escaping from Prostitution of Sexual Traffic Victims)

  • 김혜경;구차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06-417
    • /
    • 2017
  • 본 연구는 성매매피해여성의 탈성매매경험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탈성매매 경험과정에 관한 이론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Strauss와 Corbin(198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본연구의 참여자는 탈성매매 되어 있는 여성 10명으로 탈성매매 기간 평균 2년 이상이 된 성매매 경험 여성들이다. 본 연구 결과 105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 범주와 17개의 범주를 도출해 냈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결과, 탈성매매 경험의 인과적 조건으로 '잘못된 선택의 시작'이 나왔다. 중심현상으로 '심신의 황폐'가 나왔다. 이러한 중심현상을 가져오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악순환의 고리에 얽매임', '무력감'이 나왔으며 중심현상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으로서는 '불가피한 중단', '지지체계', '막연한 기대,' '퇴출됨', '역할감 생김', '가족의 그림자'가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자성', '자포자기', '벗어나려 애씀'이며 결과는 '정체성혼란', '흔적에 대한 두려움', '성매매 재유입 여지', '벗어남'으로 도출되었다. 탈성매매 과정은 '심신의 황폐 단계', '단념의 단계', '의지 회복의 단계', '평범한 삶의 적응에 도전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성매매 피해 여성의 성공적 탈성매매 여부는 자신의 주체적 의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지도사의 직업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Study Based on Grounded Theory about Job Experience of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이오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92-610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교육지도사들의 직업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문교육지도사로 활동하고 있는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교육지도사의 직업경험에 관한 124개의 개념, 3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개념과 범주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심현상은 '늘 불안한 고용'이었으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경제적 목적으로 취업', '계속 바뀌는 정책과 규정'이며, 맥락적 조건은 '평가결과에 대한 불안', '일방적 업무지시 체계', '미약한 처우개선'이다. 중재적 조건은 '일에 대한 높은 만족감', '요긴한 가정 수입원', '다른 대안이 없음'이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재계약을 위한 노력', '불만 보다 수용의 자세'이며, 결과는 '취업 유지를 희망함', '권리를 위한 행동 고민'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방문교육지도사의 처우개선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활동이론을 적용한 사서인턴십 개선 방안 연구 - 인턴십 참여자의 관점에서 - (Enhancement of Library Internship Reflecting Participants' Opinions based on Activity Theory)

  • 박지영;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07-33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인턴십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사례연구로 서울의 한 대학의 2016년 2학기 인턴십 강좌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활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인턴십 진행과정을 구조화하고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모순이나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턴십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전공에 대한 이해나 사서를 직업으로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인턴십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인턴십 과정에서 기간, 관리문제, 실습수준, 아르바이트와의 업무내용 중복 등의 갈등요인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갈등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연구는 인턴십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집단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체계화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가정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 최성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187-209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 using online problem-based learning(PBL)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HE) teachers. The aim was to enable teacher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classroom, and to prepare operational strategies for online PBL on this basis. In order to achieve this, online PBL was applied to 31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t the Department of HE in a university in Seoul, and the results were collected from the learning process. This also involved a reflective journal, a survey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impacts was conducted. Moreover, analysis was undertaken on th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accessed Webex, an online video conferencing program, and performed two PBL tasks: 'Making Home Economics Promotion Materials' and 'Presenting Teaching Strategies to Improve Learner's Immersion in Online Classes'. Secondly, learners established their own identity of HE learned about the HE class plans themselves. They also encountered realistic experience as HE teachers and learn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Furthermore, they acquired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munity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attitude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Thirdly, students lacked knowledge of learning content and encountered difficulty in solving data research, analysis processes, and unstructured problems. They were affected by a lack of time and encountered problem in communicating with other team members in an online environment. As an improvement in online class operation, it was considrered necessary to reduce the learning burden by securing time and reducing the number of assignments, as well as to explain active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and PBL.

건축공간에 있어서 경험의 과정성 구현 연구 (A Study on Searching for Process of Experience for Architectural Design)

  • 김수진;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2-70
    • /
    • 2005
  • Basically, modern architect's translation of relations between architectural space and human beings is focused upon the space and the way the space is experienced. Thus, the architecture is construed not as the finalized and fixed structure but as something undetermined and In progress. Here, we can identify the similarity between current trend and theory on process. Experience argument in this study is based upon such a similarity. And for your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oncept broached in the following experience argument, I've presented the analysis of Ben van Berkel's and Kazuyo Sejima's works that represent user's experiences in discussing art works. Taking a step further, I'll try to provide the true definition of being in progress and the potential of the architecture, thereby seeking the value and meaning of trends in modern archite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attributes of experiences in progress identified in the art works of Ben van Berkel and Kazuyo Sejima and to extract and analyze the architectural concepts ther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