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scaping from Prostitution of Sexual Traffic Victims

성매매피해여성의 탈성매매경험에 관한 연구

  • 김혜경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구차순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8.01
  • Accepted : 2017.09.06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 experience of sexual traffic victims and contribute for its formation of theory based on the results. A method of study was performed b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1988). Through the results of study, one hundred and five concepts and thirty five subcategories and seventeen categories were deducted. 'destroy of mind and body' from the central phenomenon.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 of escaping from prostitution was presented by 'return of ordinary life recovered from destroy of life 'and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prostitution was presented in order of 'destroy of mind and body step', 'abandonment step', 'recovery of will step', 'challenge of adaption of ordianry life step'. In the study, it followed that an independent their own will of a sexually exploited women play an important role for a successful escaping from prostitution.

본 연구는 성매매피해여성의 탈성매매경험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탈성매매 경험과정에 관한 이론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Strauss와 Corbin(198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본연구의 참여자는 탈성매매 되어 있는 여성 10명으로 탈성매매 기간 평균 2년 이상이 된 성매매 경험 여성들이다. 본 연구 결과 105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 범주와 17개의 범주를 도출해 냈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결과, 탈성매매 경험의 인과적 조건으로 '잘못된 선택의 시작'이 나왔다. 중심현상으로 '심신의 황폐'가 나왔다. 이러한 중심현상을 가져오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악순환의 고리에 얽매임', '무력감'이 나왔으며 중심현상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으로서는 '불가피한 중단', '지지체계', '막연한 기대,' '퇴출됨', '역할감 생김', '가족의 그림자'가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자성', '자포자기', '벗어나려 애씀'이며 결과는 '정체성혼란', '흔적에 대한 두려움', '성매매 재유입 여지', '벗어남'으로 도출되었다. 탈성매매 과정은 '심신의 황폐 단계', '단념의 단계', '의지 회복의 단계', '평범한 삶의 적응에 도전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성매매 피해 여성의 성공적 탈성매매 여부는 자신의 주체적 의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양순, 한국 성매매청소년의 재활과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 김용화, "성매매여성의 탈성매매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성매매 방지기금/예산조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제22권, 제3호, pp.45-76, 2010.
  3. 박순주, 성매매 여성의 경험과 맥락에 관한 연구: '노동'과 '피해' 경험의 역동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 한국여성 인권진흥원, "성착취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해외 각 도시의 민.관 협력모델," 성매매방지 국제 심포지엄, 2014.
  5. Barry, The prostitution of Sexuality, 1995.
  6. 김금래, "성매매피해자 구조지원 방안," 김금래 의원실, 2010.
  7. S. A. Mansson and U. C. Hedlin, "Breaking the Matthew Effet - on women leaving prostit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8, pp.67-77, 1998.
  8. 성윤숙, 박병식, 박나래, 여성청소년의 인터넷성 매매 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9. 김영숙, 이근무, "탈성매매 여성들의 생애사 연구: 그 끝없는 탈주에 대하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5-30, 2008.
  10. 김영주, 충남 탈 성매매여성의 효과적 자활을 위한 정책방안, 충청남도 여성정책개발원, 2011-04, 2011.
  11. 장수정, "탈성매매 여성의 자활지원에 대한 여성주의적 함의: 탈성매매 여성을 위한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제14권, 제1호, pp.35-73, 2014.
  12. 이정희, "탈성매매 청소년의 자활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9호, pp.269-290, 2009.
  13. 최해연, 곽윤영, 김은영, 배주미, "청소년 탈성매매 과정 연구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19권, 제1호, pp.183-202, 2011.
  14. 성윤숙, "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유입실태와 탈성매매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10권, 제4호, pp.91-104, 2012.
  15. 김자영, 양정빈, "탈성매매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保健社會硏究, 제33권, 제3호, pp.130-160, 2013.
  16. 이근무, 유은주, "성매매 여성들의 탈성매매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5-31, 2006.
  17. 김영숙, 이근무, 안준리, "탈성매매여성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 접근," 사회복지연구, 제37권, pp.429-455, 2008.
  18. 김현, "체험과 소통의 장, 인문학 강좌 체험과 소통의 장, 인문학강좌: 탈성매매여성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제37권, pp.147-173. 2010.
  19. 김은숙, 탈성매매 여성의 관계중독에 대한 분석과 기독교 상담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20. D. K. Padgett,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and Rewards, 1998.
  21. Deborah K. Padgett.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1998, 유태균 역, 서울: 나남출판, 2001.
  22.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3. 최정호, 근거이론을 통한 노인 장기 요양 실천현장의 사례관리 수행 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4. 고기숙, 정미경, "결혼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대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54-2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54
  25. 이아름, 김미현, 이동훈, "여성출소자의 사회재진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88-40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388
  26. A. Strauss and J. Corbin, 질적연구 근거이론의 단계, 2000, 신경림 역, 서울 : 현문사, 2001.
  27. M. Hester and N. Westmarland, Tackling street prostitution, Towards an holistic, 2004.
  28. 전병주, 윤상용, "남성의 성매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159-17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