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lectur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2초

예비수학교사의 TPACK-P 신장을 위한 강의 설계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PACK-P Improvement)

  • 전영주;임해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49-7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TPACK-P (TPACK-Programming)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강의를 설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의는 분석, 탐색, 1차 마이크로티칭, 2차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로 설계했는데, 각 마이크로티칭 단계에서는 설계, 적용, 평가 단계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강의의 사전, 사후에 TPACK-P 검사를 실시한 결과, TPACK의 하위 요인 중 TCK는 유의수준 1%에서, TPK, TRACK, TRACK(P)는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문항별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TCK, TPK, TPACK, TPACK(P) 범주에 사전보다 사후검사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문항이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연구에서 설계한 강의가 예비수학교사의 TPACK-P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A Flipped Classroom Model For Algorithm In College

  • Lee, Su-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53-159
    • /
    • 2017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use and interest of the flipped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The flipped learning model includes any use of Internet technology to enrich the learning in a classroom, so that a professor can spend more time interacting with students instead of lecturing. In the flipped model, students viewed video lectures online outside of class time. Students then performed two kinds of assignments, a teamwork assignment and an individual work assignment, through the class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lipped educational model for a college class. This experimental research compares class of college algorithm using the flipped classroom methods and the traditional lecture-homework structure and its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The result data of mid-term exam and final exam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year data.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student between two lecturing methods. The survey result and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show that students are in favor of the flipped learning.

직관과 구술반복을 활용한 공학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ducation using Intuition and Verbal Repetition)

  • 마정범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30-36
    • /
    • 2013
  • Applying intuitive learning method on engineering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mechanical engineering, is hardly found from the previous case studies and is not easily proved its beneficial verification. Verbal repetition is also rarely used to investigate its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al methodology for both science and engineering disciplines. To prove the education effects of these two methods; we used intuitive thinking time period at the beginning of each lecture and let students repeat the concepts and the equations verbally. These two methods were related to the subjects of each lecture, and were used for students to try to draw engineering thinking from natural phenomena that they could easily experience in daily life. The methods could help them to memorize theoretical idea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uition and verbal repetition methods by comparing the scores of final exam with those of midterm exam.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 77.6% of the students achieved higher score in their final exam compared to midterm exam. We plan to investigate qualitative contributions of intuition and verbal repetition methods to the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further research.

Development of a Korean Medicine Online Program on Mental Health

  • Hye In Jeong;Kyeong Han Kim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85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has deteriorated mental health, particularly in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though the country has developed seve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preserve mental health, no program has incorporated Korean medicine. Thu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vital Korean medicine mental health care programs. Methods: The program follows the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program principles. Guidelines, reports, research, and previous programs were analyzed to form interventions and lecture content. Results: Pellets, hot packs, meditation, lavender oil, and green tea were selected as final intervention strategies. Mental health-related guidelines were analyzed to produce stress management lecture materials. In addition, an operational methods and evaluation tool manual was created. Conclusion: We designed a health promotion program capitalizing on Korean medicine to improve mental health. This program will be assessed and accordingly improved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s.

데이터분석을 이용한 서술형 강의평가 연구 (A Study on the Data Analysis of the Written Comments in Lecture Evaluation)

  • 최정웅;안동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01-106
    • /
    • 2016
  • 대학 교육현장에서 강의와 관련한 수많은 비정형화된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는데 그중 관심 있게 볼 부분은 학생들의 서술형 강의평가이며,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시행하는 서술형 강의평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먼저 학기가 끝난 후 수행된 강의평가에서 동일학과 유사과목을 강의했던 교수자 2인을 선택하고 학생들이 평가한 서술형 강의평가 내용에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얻은 학습자 상호작용과 관련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코사인유사도 분석을 이용해 상호작용 점수를 도출한 후 기존의 5점척도 강의평가 점수와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수업에서 필요한 학습자 상호작용은 주로 흥미, 기회, 열정, 재미, 참여, 유익, 친절 등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5점 척도 강의평가 점수와 새롭게 도출한 서술형 강의평가 점수를 비교했을 때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점수라는 새로운 지표를 만들었고 이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학과단위 또는 학교단위의 데이터분석을 통해 정성적, 정량적 강의평가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평가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원격대학원 콘텐츠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J대학 원격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the e-Learning Content Components of Cyber Graduate School)

  • 이정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03-312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원생 콘텐츠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하였다. 이를 위해 J대학 원격대학원생 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콘텐츠 구성요소의 영역별 중요도는 학습 내용, 상호작용, 교수-학습 전략, 평가의 순으로, 수행도는 교수-학습 전략, 상호작용, 평가, 학습내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콘텐츠 구성요소 4가지 영역, 즉 학습내용, 교수-학습 전략, 상호작용, 평가 영역 모두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은 영역별 및 항목별 두 차원에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내용은 유지관리 영역으로, 교수-학습 전략과 상호작용은 중점개선 영역으로, 평가 영역은 과잉투자 영역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는 원격대학원 콘텐츠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가늠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시험 및 평가 시스템 설계 방안 (A Design Scheme of Online Test and Evaluation System)

  • 최경수;이길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21
    • /
    • 2017
  •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scheme of a system that tests or polls from the students at online class. By online test, the teacher can test the pre-knowledge level of the students and know how much students understand the lecture of the class. As the number of test increases, the burden of the preparation of setting question, evaluation of the test, and management of the test results is increased. In this environments, an online test management system make it easy to test and evaluate, and thus it would be a good tool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total procedure of the test or poll of the students. For evaluating the design of the system, we made a test system prototype and performed evaluations of the online test system. The online test and evaluation system provides a good tool for testing and evaluation of student's knowledge at the class with easy and fast way.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형태와 콘텐츠가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대학생의 관점에서- (The Effect of COVID-19 on Academic Satisfaction with Online Lecture Types and Contents -Perspectiv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Students-)

  • 조지수;배정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43-650
    • /
    • 2021
  • 이 연구는 강의 콘텐츠 만족도가 비대면 온라인수업 시 전반적인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수도권대학, 지방 대학, 외국 대학에 재학 중인 총 107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25일부터 2020년 9월 2일까지 일주일 동안 진행하였다. 국내는 초당대학교, 건국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을 포함한 37개 대학 72명, 해외는 University of Hawaii(UH),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UCL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NUS) 대학을 포함한 15개 대학 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및 카이제곱검증, 피셔의 정확한 검증, 선형 대 선형결합,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에 비해 3학년이 0.025배, 실시간 온라인 및 녹화 혼합 강의에 비해 녹화된 인터넷 강의가 0.036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아니오'에 비해 '예'가 등록금 적정 여부에서 31.358배, 교수법 만족 여부에서는 19.709배, 학업 성취도의 경우 7.989배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의 콘텐츠의 질도 중요하지만, 학교의 다양한 학습 지원과 알맞은 교수법, 적절한 등록금과 성적 평가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공학교육 현장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및 콘텐츠 활용 (Apply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Contents in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이용선;이택희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31-43
    • /
    • 2022
  • 최근, 메타버스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그 영역을 급격히 넓히고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3차원 공간에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능은 VR/AR 기반의 교육 콘텐츠를 더욱 진보된 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공학교육 특성상 3차원 물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3차원 물체의 경우 2차원 동영상이나 문서를 통하여 설명하기 어렵고, 물체가 변하는 과정이 포함될 경우 더욱 표현이 어려워진다. 메타버스의 3차원 공간은 실시간 렌더링을 기반으로 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해 줄 수 있다. 공학교육의 또 다른 특징은 실제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가 많다는 점이다. 전자기장, 자기장, 힘 등 물체의 움직임에는 관여하나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학습 난이도를 높이는 주된 이유가 된다. 이러한 문제 또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기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결과와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실시간 강의 콘텐츠를 설명하고, 적용한 결과와 강의 평가에 대해 다룬다. 총 9개의 메타버스 콘텐츠를 활용한 강의가 진행되었으며, 90%의 긍정적인 강의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or learner-centered)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or learner-centered in university. The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1,567 university students's response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and collected 2,539 university students'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and 300 university professors's responses for validation.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or learner-centered in university was defined by 5 factors. The 5 factors were structure and sincerity of lecture, suitability of report and test, level of consulting for student, application of educational media,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five sub-scales in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or learner-centered in university scale.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as the criterion measures. Cross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university profes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