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예비수학교사의 TPACK-P 신장을 위한 강의 설계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PACK-P Improvement

  • 투고 : 2023.02.28
  • 심사 : 2023.03.26
  • 발행 : 2023.03.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TPACK-P (TPACK-Programming)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강의를 설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의는 분석, 탐색, 1차 마이크로티칭, 2차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로 설계했는데, 각 마이크로티칭 단계에서는 설계, 적용, 평가 단계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강의의 사전, 사후에 TPACK-P 검사를 실시한 결과, TPACK의 하위 요인 중 TCK는 유의수준 1%에서, TPK, TRACK, TRACK(P)는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문항별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TCK, TPK, TPACK, TPACK(P) 범주에 사전보다 사후검사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문항이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연구에서 설계한 강의가 예비수학교사의 TPACK-P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robot programming lecture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improve their TPACK-P (TPACK-Programming) and analyze its effectiveness. The lecture design involved stages of analysis, exploration, primary micro-teaching, and secondary micro-teaching, with each stage including design,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 TPACK-P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lecture, and the results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CK at the 1% significance level and TPK, TRACK, and TRACK(P) at the 5% significance level. Further analysis using dependent sample t-tests showed that the post-test mea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mean in categories such as TCK, TPK, TPACK, and TPACK(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signed lecture positively affected the growth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PACK-P.

키워드

참고문헌

  1. 고호경(2020).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2), 223-237. https://doi.org/10.30807/KSMS.2020.23.2.003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3. 교육부(2020).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 8].
  4. 교육부(2020.5.). 수학교육 종합계획 (2020년-2024년).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
  5.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6. 김성원(2020).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논문.
  7. 김성원, 이영준(2017a). 프로그래밍 기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 모델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5(1), 261-262.
  8. 김성원, 이영준(2017b). Development of TPACK-P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2(7). 141-152.
  9. 김성원, 이영준(2018).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6), 49-59.
  10. 김성원, 이영준(2020).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on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7), 213-224.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7.213
  11. 김영기, 한소영(2002). 소마큐브와 T자형 퍼즐 중심의 LOGO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학 영재 교육. 수학교육논문집, 14, 395-403.
  12. 김예미, 고호경, 허난(2020).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학습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4(4), 563-585.
  13. 김은정, 김선회, 남동수, 이태욱(2013). 스크래치를 활용한 PBL기반 수학 학습 컨텐츠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1(1), 309-312.
  14. 나귀수, 박미미, 김동원, 김연, 이수진(2018).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4), 437-478.
  15. 박기철, 강성주(2014).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 교원교육, 30(4), 349-375.
  16. 박대륜, 유인환(2018).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57-366.
  17. 박희숙(2018). 예비유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역량 탐색. 육아지원연구, 13(4), 227-250. https://doi.org/10.16978/ECEC.2018.13.4.010
  18. 변윤성, 김선희(2020).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공학 도구 활용 자기연구를 통한 TPACK 변화 분석. 학교수학, 22(2), 373-394.
  19. 송정범(2017). 스크래치 활용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학교과 흥미와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2), 199-208.
  20. 이도영, 정종인(2019). 중학교 수학 통계 영역과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융합수업이 문제해결력과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4), 336-344. https://doi.org/10.5762/KAIS.2019.20.4.336
  21. 이서빈, 고상숙(2018).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교과 코딩수업(DM3)의 효과. 수학교육학연구, 28(4)
  22. 임해미(2009).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4), 545-564.
  23. 임해미, 최인선(2019). Van Hiele 기하 학습 수준 이론에 따른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3), 257-275. https://doi.org/10.30807/KSMS.2019.22.3.005
  24. 최인용, 김화경, 이화영, 임해미(2021). 프랑스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 분석. 학교수학, 23(4), 617-646.
  25. 황우형(1999). 로고(LOGO)언어의 중등수학교육 활용방안. 수학교육, 38(1), 15-35.
  26. Agyei, D. D., & Voogt, J. (2012). Develop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rough collaborative design.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4), 547-564.
  27. Angeli, C. & Valanides N. (200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signers: A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based on an expanded view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1(4), 292-302.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5.00135.x
  28. Baran, E., & Uygun, E. (2016). Putt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in action: An integrated TPACK-design-based learning (DBL) approach.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2), 47-63.
  29. Bocconi, S., Chioccariello, A., Dettori, G., Ferrari, A., Engelhardt, K. (2016).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ompulsory education-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EUR 28295 EN; doi:10.2791/792158.
  30. Forsstrom, S. E., & Kaufmann, O. T. (2018). A literature review exploring the use of programm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Teaching and Educational Research, 17(12), 18-32. https://doi.org/10.26803/ijlter.17.12.2
  31. Grover, S., & Pea, R. (2018). Computational thinking: A competency whose time has come. Computer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19(1), 19-38.
  32. Jimoyiannis, A. (2010).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tegr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science knowledge framework fo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uters & Education, 55(3), 1259-1269. https://doi.org/10.1016/j.compedu.2010.05.022
  33. Koehler, M. J., Mishra, P. & Yahya, K. (2007). Trac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 knowledge in a design seminar: Integrating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Computers & Education, 49(3), 740-762. https://doi.org/10.1016/j.compedu.2005.11.012
  34.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35. Papert, S. A.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36.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