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lactat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증류식 소주 증류중 유기산에 의한 에스테르화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 류이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5-299
    • /
    • 2002
  • 증류주에서 중요한 향미 물질인 에스테르 생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효완료 술덧에 알코올과 함께 존재하는 초산, 젖산, 구연산 같은 유기산의 종류별, pH별, 증규 온도별로 에스테르 생성 과정을 실험하였다. 유기산의 종류별 실험에서 생성 에스테르량은 ethyl acetate가 기주에 비해 최고 2.890%, ethyl lactate가 최고 6,410% 린 iso-amyl acetate가 최고 5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차시 pH는 중요한 요인이며,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ace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2,804% 증가하였고. 젖산 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lac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1,09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온도는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가압(약 1.9 기압) 증류액은 상압(1기압) 증류액보다 ethyl acetate 생성은 18% 증가하였고, iso-amyi acetate 생성은 24% 감소하였고, 젖산첨가 데스테르화 가압 증류액은 상압 증류액보다 ethyl-lactate 생성이 33%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시간은 pH 3.0에서는 ethyl acetate 생성은 반응시간 240분으로 충분하고, ethyl lactate 생성은 30된 이상 긴 반응 시간이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증류주 제조에 있어서 2차 증류시 1차 증류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증류하면 에스테르량이 증가한 2차 증류액을 얻을 수 있었다.

흡입물질이 흰쥐 Lactate Dehydrogenase와 Cholinesterase 활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on Rat Lactate Dehydrogenase and Cholinesterase)

  • 윤수홍;박병윤;하현;박은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0권1_2호
    • /
    • pp.15-20
    • /
    • 1995
  • The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inhalation on lactate dehydrogenase and cholinesterase in rats were investigate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marketed odorant, ethyl acetate and ethyl ether for 15 days.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serum and several tissues such as liver, lung, brain, heart, kidney and muscle to find differences of effects according to the organ. Cholinesterase activity in serum and most of tissues revealed time-dependent decrease in the case of marketed odorant inhalation. Especially in heart and kidney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Ethyl acetate exposure to rats revealed also decrease in serum and all tissues by 40% to 60%. Ethyl ether inhala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by 30% to 50%.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in serum and similarly in heart, brain and kidney by exposure to marketed odorant. No changes were observed in liver. Ethyl acetate exposure to rats revealed increase in serum by about 200%, compared to normal group and in other tissues by 40% to 70% except in liver and muscle. Ethyl ether inhal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by about 100%. There was no change in 'liver and slight increase in muscle.

  • PDF

광학활성 제초제 fenoxaprop-p-ethyl [ethyl (R)-2-{4-(6-chloro-1,3-benzoxazol-2-yloxy)phenoxy}propionate]의 새로운 합성법 (Facile synthesis of optical pure fenoxaprop-p-ethyl[ethyl (R)-2-{4-(chloro-1,3-benzoxazol-2-yloxy)phenoxy}propionate])

  • 류성곤;고영관;장해성;류재욱;우재춘;구동완;김대황;정근회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04
  • 화본과 제초제의 대표적인 화합물인 광학활성 fenoxaprop-p-ethyl[ethyl(R)-2-{4-(6-chloro-1,3-benzoxazol-2-yloxy)phenoxy}propionate]을 4-(6-chloro-1,3-benzoxazol-2-yloxy)phenol과 ethyl (S)-O-(p-toluenesulfonyl)lactate의 치환반응(Walden Inversion)을 이용하여 90%의 수율(광학활성순도 : 99.9% 이상)로 얻었다. 4-(6-chloro-1,3-benzoxazol-2-yloxy)phenol은 기초적인 원료인 아미노페놀, 우레아, 클로린, 유황 등을 자일렌, 메탄올, 디클로로에탄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6단계의 반응을 거처 70% 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알코올모델용액을 이용한 여러 종류 활성탄의 휘발성화합물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 Adsorption from Alcoholic Model Solution onto Various Activated Carbons)

  • 박승국;이명수;김병호;김대옥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3호
    • /
    • pp.249-255
    • /
    • 2010
  • 4가지 서로 다른 소재(대나무, 목재, 피탄, 석탄)로 제조된 10가지 활성탄에 대해서, 30% 알코올모델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6가지 휘발성화합물(isoamyl alcohol, hexanal, furfural, ethyl lactate, ethyl octanoate, 2-phenyl ethanol)의 흡착효율을 평가하였다. 이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은 알코올음료에서 종종 발견되며,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숙취의 원인이 될 뿐만이 아니라 위스키나 보드카와 같은 술에서 이취의 원인물질이 되기도 한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30% 알코올모델용액 200 mL에 0.2 g의 활성탄을 넣고 16시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한 후에 처리된 용액을 2가지 시료처리방법(direct liquid injection and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 GC분석을 수행하여 활성탄의 제거효율을 구하였다. 활성탄의 제거효율은 휘발성화합물의 종류와 활성탄제조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ethy octanoate, 2-phenyl ethanol, hexanal에 대한 제거율은 34-100%로 높은 편이나, isoamyl alcohol, ethyl lactate, furfural의 제거율은 5-13%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활성탄의 종류에 따른 제거율은 대나무활성탄인 A가 isoamly alcohol, hexanal, ethyl lactate, furfural 등 대부분의 휘발성화합물에 대해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5), 특히 알코올음료에서 숙취와 이취물질이며 fusel oil의 주성분인 isoamyl alcohol, aldehydes(hexanal, furfural), 2-phenyl ethanol에 대한 흡착효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xplaining the Drift Behavior of Caffeine and Glucosamine After Addition of Ethyl Lactate in the Buffer Gas of an Ion Mobility Spectrometer

  • Fernandez-Maestre, Roberto;Velasco, Andres Reyes;Hill, Herbert 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4호
    • /
    • pp.1023-1028
    • /
    • 2014
  • Protonated caffeine ($CH^+$) and glucosamine ($GH^+$) overlapped in an analysis with ion mobility spectrometryquadrupole mass spectrometry. Ethyl lactate vapor (L) at different concentrations from 0 to 22 mmol $m^{-3}$ was added as a buffer gas modifier to separate these signals. The drift times of $CH^+$ and $GH^+$ increased with L concentration. The drift time increase was associated to clustering equilibria of $CH^+$ and $GH^+$ with one molecule of L and the equilibrium of $GH^+$ was more displaced to the formation of $GLH^+$ than that of $GLH^+$. $GH^+$ clustered more to L than $CH^+$ because $GLH^+$ formed more stable hydrogen bonds (26.30 kcal/mol) than $GLH^+$ (24.66 kcal/mol) and the positive charge in $GH^+$ was more sterically accessible than in $CH^+$. The aim of this work was to use theoretical calculations to guide the selection of a buffer gas modifier for IMS separations of two compounds that overlap in the mobility spectra and predict this separation, simplifying that empirical process.

Distillation design and optimization of quaternary azeotropic mixtures for waste solvent recovery

  • Chaniago, Yus Donald;Lee, Moonyong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7권
    • /
    • pp.255-265
    • /
    • 2018
  • The huge amount of solvents used in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 industry typically result in waste of valuable solvents which often form complex azeotropic mixtures. This study explored a recovery process of a quaternary waste solvent, comprising methyl 2-hydroxybutyr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ethyl lactate, and ethyl-3-ethoxy propionate. In this study, a novel shortcut column method with a graphical approach was exploited for the distillation column design of complex quaternary azeotropic mixtures. As a result, the proposed shortcut method and design procedure solved the complex separation paths successfully with less computational efforts while achieving all requirements for component purity.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 이홍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3-599
    • /
    • 200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6일차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14종, 에스테르 13종, 유기산 5종, 알데하이드 3종, 아민 7종, 기타 2종으로 최대 44종이 검출되었다. S. coreanus구에서 44종으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ethan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methyl pentanol, 1,3-butanedi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 ethanol의 알코올 7종과 ethyl lactate, di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의 에스테르 3종, acetic acid, isopentanoic acid, hexanoic acid의 유기산 3종, acetaldehyde의 알데하이드 1종, 1,3-cyclohexane diamine의 아민 1종 등 총 15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알코올(96.758-99.387%), 에스테르(0.081-0.968%), 유기산(0.040-0.640%), 알데하이드(0.266-0.959%), 아민(0.011-0.047%)으로 나타났다. Methylpentan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ethanol, isoamyl acetate, diethyl succinate, ethyl non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stearate, hexadecanoic acid 성분은 특별히 S. coreanus구에서 타시험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1-propanol, isobutyl alcohol 성분은 S. ellipsoideus구에서 isoamyl alcohol, 1-pentanol, dimethyl ketol 성분은 S. carlsbergensis구에서 1,3-butanediol, diethyl butanoate, phenylethyl formate 성분은 S. rouxii 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외관, 향,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탁주 술덧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 coreanus구가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에서 S. rouxii는 외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발효에 의한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Rhus verniciflua S. Bark by Fermentation)

  • 유근영;서혜영;한규재;정양모;김경수;홍광준;유상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8-314
    • /
    • 2007
  • 천연 약재식물인 옻나무 수피와 그 발효 옻나무 수피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SDE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여 각각 51종, 27종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확인하였다. 옻나무 수피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 분으로는 2-methyl-3-buten-2-ol, 3-methylbutanal, 1-octen-3-ol, 3-methyl-2-butanone, pentanal, hexanal, ethyl lactate, ethanol 등이 주요 성분으로 전체 성분의 68%를 차지하였으며, 발효 옻나무 수피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분으로는 ethanol이 전체 성분의 68.29%로 나타났고, ethyl lactate, ethyl acetate, 3-methylbutanol 등을 포함한 화합물들이 주요 성분으로 전체의 96%를 차지하였다. 옻나무 수피에서 전체 함량의 1.10 mg/kg를 차지한 ethanol이 발효 옻나무에서는 676.83 mg/kg까지 증가하였다. Ethanol을 제외한 다른 alcohol류는 31.57%에서 6.87%로 감소하였으며, ester류는 4.4%에서 23.7.l%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발효과정 중의 중간대사산물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고, alcohol류와 aldehyde류의 감소 그리고 ester류의 상대적 농도의 증가로 다른 화합물들의 화학적 변화에 의한 유도화를 추측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옻나무 수피가 발효 옻나무 수피로 발효되는 과정에서 맑은 화학적 성분의 변화가 확인 되었다.

작약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와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 임도연;이경인
    • 생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3-178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In antibacterial activity by the disc diffusion assay against S. aureus, S. epidermidis and P. aeruginosa,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and the extract. Moreov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 However, in NO scavenging ability, the chloroform frac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fractions and the extract. In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against RAW 264.7 cell, the extract and fractions were exhibited normal LDH release level as nontoxic result without the ehtyl acetate fraction of 100 ${\mu}g/ml$. As a result,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chloroform fraction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Paeoniae Radix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materials for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related fields, respectively.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in Makgeolli)

  • 김재운;강지은;최한석;김찬우;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91-499
    • /
    • 2017
  • 본 연구에서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휘발성 성분과 향미 묘사용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화학 성분은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알코올,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휘발성 성분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ethyl myristate의 함량이 2.4배 낮게 나타났다(p<0.05). 전체 15종 생막걸리의 묘사용어는 총 24개(외관2개, 향 10개, 맛 8개, 질감 4개)의 용어가 개발되었다. 입상주의 관능적 특성은 단내, 배향, 요구르트향, 알코올향, 알코올 향미, 탄산감이 주로 발현되었으며, 구수한 향/향미, 누룩향은 적게 나타났다. 생막걸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과 묘사 용어 중 향에 관한 항목과의 상관분석 결과, ethyl lactate가 복분자향(r=0.840), 배향(r=0.723)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이화학 특성과 관능적 특성(단내, 복분자향, 배향, 요구르트향 등)이 생막걸리의 품질특성에 잘 반영된다면 막걸리의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