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Acetate(E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투과증발에 의한 Ester 성분의 소수성막의 투과플럭스 (Permeation Flux of Ester Compounds through Hydrophobic Membrane by Pervaporation)

  • 송근호;이광래
    • 멤브레인
    • /
    • 제26권3호
    • /
    • pp.197-204
    • /
    • 2016
  • 에스테르(ester)의 모델 수용액으로부터 에스테르 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에서, 공급액의 농도와 온도 변화에 따른 에스테르와 물의 플럭스를 측정하였다. 공급액의 에스테르 농도가 0.15 wt%에서 0.60 wt%로 증가함에 따라 에틸 아세테이트(EA), 프로필 아세테이트(PA),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P), 부틸 아세테이트(BA), 그리고 에틸 부티레이트(EB)의 플럭스는 증가하였으며, 공급액의 온도가 $30^{\circ}C$에서 $5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에스테르 플럭스의 크기는 (EA) < (PA, EP) < (BA, EB) 순서이었으며, 이는 에스테르와 막 표면과의 친화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보여준다. 즉, EA는 분자쇄 내에 소수성 기($-CH_2-$)를 1개, (PA, EP)는 2개를 포함하고 있으나, (BA, EB)는 3개를 가지고 있어 가장 소수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에스테르 분자의 소수성이 에스테르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막 표면의 소수성이 에스테르 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A, PA, EP, BA, and EB 수용액의 물 플럭스는 증가하였으나, 농도 변화에 따른 물 플럭스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본 투과증발에 대한 실험결과는 기존의 열을 이용하는 증발공정과 증류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향 성분의 회수공정을 개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Methanol Extract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Attenuate Brain Damage by Inhibition of Apoptosis in a Rat Model of Ischemia-Reperfusion

  • Kim, Ki-Hong;Lee, Jo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55-261
    • /
    • 2010
  • Ischemic stroke, a major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worldwide, is caused by occlusion of cerebral arteries that, coupled with or without reperfusion, results in prolonged ischemia (hypoxia and hypoglycemia) and, ultimately, brain damage.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methanol extract of the whole plant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Makino that grows naturally in Korea, as well as Japan and China, and some of its fractions obtained by partitioning with organic solvents could protect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HepG2) under hypoxic condition by inhibiting apoptosis. We also investigated if these extracts could attenuate brain damage in a rat model of 2 hr of ischemia, generat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and 22 hr of reperfusion. The whole extract ($100{\mu}g$/mL) maintained the cell number at more than half of that initially plated, even after 24 hr of cell culture under hypoxic condition (3% $O_2$). In the absence of the whole extract, almost all of the cells were dead by this time point. This improvement of cell viability came from a delay of apoptosis, which was confirmed by observing the timing of the formation of a DNA ladder when assessed by gel electrophoresis. Of fractions soluble in hexane, ethyl acetate (EA), butanol and water, EA extracts were selected for the animal experiments, as they improved cell viability at the lowest concentration ($10{\mu}g$/mL). The whole extract (200 mg/kg) and EA extract (10 and 20 mg/kg) significantly reduced infarct size, a measure of brain damage, by 34.7, 33.8 and 45.2.0%, respectively, when assessed by 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The results suggest that intake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Makino might be beneficial for preventing ischemic stroke through inhibition of brain cell apoptosi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ape-Seed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 Chnng, Hae-Kyung;Choi, Chang-Sook;Park, Won-Jong;Kang, Myu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15-721
    • /
    • 2005
  •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seed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llowing lipid peroxidation, 2-deoxyribose degradation, SOD-like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pycryl hydrazil (DPPH) method.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of mixted-solvent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solvent extracts, with the mixing ratio of 17:3 (ethyl acetate: water) (EW) showed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 of TBARS following phosphatidylcholine peroxidation were 14, 45, 45, 7, 4, 25, 21, 23, and 20% for ascorbic acid (AA), butylated hyroxytoluene (BHT), quercetin (Q), acetone extract (AT), ethyl acetate (EA) extract, methanol (MeOH) extract, 4:1 (EA) extract, 9:1 (EW)-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for 2-deoxyribose degradation were 5, 80, 87, 78, 56, 73, 64, 60, and 75% in AA, BHT, Q, AT, EA, MeOH extract, 4:1 EW extract, 9:1 EW 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MeOH grape seed extract showed distinctly stronger electron-donating activity than other solvent extracts.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추출 용매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단의삼;김민아;성종환;정헌식;김한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6-253
    • /
    • 2014
  • 산사과육을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CM, 2:1, v/v), n-butanol, ethyl acetate(EA)로 추출하여 시료농도 0.2 mg/mL, 0.5 mg/mL, 0.8 mg/mL 농도에서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2:1, v/v), ethyl acetate, n-butanol 추출물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고 특히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0.8 mg/mL 농도에서 각각 92.89%, 91.17%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는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n-but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methanol(2:1, v/v)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DPPH와 동일한 경향이었으며 0.8 mg/mL 농도에서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은 각각 75.81%, 74.7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NO radical 소거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ethyl acetate, n-butanol, chloroform:methanol(2:1, v/v)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고,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은 n-butanol,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 methanol(2:1, v/v), ethyl acetate 추출물 순으로 측정되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제외한 다른 실험 결과에서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은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hloroform: methanol(2:1, v/v), ethyl acetate, n-butanol 추출물 간에는 대부분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측정되었다(p<0.05). 본 실험 결과 산사 과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산사는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붉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hus javanica L fruit)

  • 장덕영;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45-1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붉나무 열매 Ethanol extract(ET)과 Ethyl acetate fraction(EA) 및 Butanol fraction(BT)을 천연보존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측정 하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E. coli), Pseudomonas aeruginosa(P. aeruginosa), Candida Albicans(Candida. A)에 대하여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과 최소저해농도(MIC)를 평가하였다.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ET, EA, BT 모든 시료에서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균주에서 생육저해환이 관찰되었고 BT에서는 Candida. A 균주에 대한 생육저해환이 추가로 관찰 되었다. MIC 측정결과 EA 시료가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대하여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붉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양한 항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에서 천연보존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 된다.

고삼 Ethyl Acetate 소분획이 적출 심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s of Sophorae Radix In Langendorff Hearts)

  • 권강범;박관하;김우경;김은경;김구환;고광학;최연성;장근국;노성일;한동원;차숙;박대영;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309-1316
    • /
    • 2004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ethtyl acetate(EA) soluble fraction of Sophorae Radix(SR) water extract had the preventive effects against cardiovascular anaphylaxis elicited in experimental animal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anti-anaphylatic effects of the nine kinds of EA soluble subfractions in animal models such as Langendorff heart and anesthetized rats. Thes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ed ; Among nine kind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N10-16-2 and N10-16-9 fractions have an effects improving cardiovascular anaphylaxis in guinea pig Langendorff hearts. In passively anesthetized rats, N10-16-2 and N1 0-16-9 fraction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have an effects improving cardiovascular anaphylaxis. N10-16-2 and N1 0-16-9 fraction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inhibited the decrease of histamine release induced by compound 48180 and A-23187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10-16-2 and N10-16-9 fraction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involve anti-anaphylactic molecules in cardiovascular system.

Eisenia bicyclis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Mode (Lipase Inhibitory Mode of Dieckol Isolated from Eisenia bicyclis Ethanol Extract)

  • 정슬아;김꽃봉우리;김동현;조지영;김태완;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2-118
    • /
    • 2013
  • 대황 ethyl acetate 분획은 $IC_{50}$ 값이 1.31 mg/ml으로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ethyl acetate 분획으로부터 얻은 sub-fraction 중 EA1 fraction이 $IC_{50}$ 값 0.54 mg/ml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HPLC를 이용하여 8개의 sub-fraction으로 분리하였다. HPLC fraction 중 fraction 5가 $IC_{50}$ 값 0.37 mg/ml로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 fraction 5는 분자량 741.1로 $C_{36}H_{22}O_{18}$ 화합물인 phlorotannin derivative dieckol로 확인되었으며 lipase에 대해 비경쟁적 저해타입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대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활성 및 저해 타입 확인을 통해 식품 산업에 항비만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추출용매에 따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unshiu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이성구;오성천;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8-4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928.48{\pm}1.1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664.64{\pm}0.74{\mu}g\;GAE/mL$로, acetone인 경우 진피는 $886.03{\pm}0.44{\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702.67{\pm}0.85{\mu}g\;GAE/mL$로,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413.08{\pm}1.3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429.64{\pm}0.61{\mu}g\;GAE/mL$로,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12,648.60{\pm}0.56{\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16,108.20{\pm}0.73{\mu}g\;GAE/mL$로 나타나, 진피나 에탄올 추출 진피는 모두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62.80%, 에탄올 추출 진피는 51.49%로 나타났으며, acetone인 경우 진피는 97.43%, 에탄올 추출 진피는 63.17%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52.20%, 에탄올 추출 진피는 67.68%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63%, 에탄올 추출 진피는 96.18%로 나타났다. Electron donating ability(EDA)는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76.22%, 에탄올 추출 진피는 75.54%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31.73%, 에탄올 추출 진피는 73.53%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48%, 에탄올 추출 진피는 48.70%로 나타났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진피인 경우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 진피인 경우는 에탄올과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할 때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Solvent Extraction과 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한 Phenoxyethanol Galactoside와 Chlorphenesin Galactoside의 정제 (Purifications of Phenoxyethanol Galactoside and Chlorphenesin Galactoside using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Gel Chromatography)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54-961
    • /
    • 2017
  • 재조합 ${\beta}$-galactosidase (${\beta}$-gal)을 이용하여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합성된 2-phenoxyethanol galactoside (PE-gal)과 chlorphenesin galactoside (CPN-gal)의 정제를 실시하였다. 먼저 PE와 PE-gal이 포함된 반응물에 ethyl acetate (EA)를 넣고, EA/water 이상계 시스템에서 PE와 PE-gal을 분획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PE는 EA층으로 PE-gal은 water층으로 분획되었다. 그리고, 물층을 모아서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silica gel chromatography만 실시하여 PE-gal을 정제한 경우와, EA 처리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E-gal을 정제한 경우의 정제 PE-gal에 대하여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TLC (thin-layer chromatography)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A를 처리하여 분획한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한 시료에서 잔여 PE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silica gel chromatography만 실시하여 PE-gal을 정제한 경우에는 상당량의 잔여 PE가 관찰되었다. 이 때, mole 기준으로 약 21%의 정제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CPN-gal의 정제에서도 EA 분획 처리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더니, 잔여 CPN이 거의 없는 순수한 CPN-gal을 얻을 수 있었다.

울금(Curcuma longa L.)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Bioactivity Compounds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on)

  • 오다영;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00-608
    • /
    • 2019
  • 울금(Curcuma longa L.)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카로티노이드(total carotenoid) 함량은 $1.581{\pm}0.005mg$ ${\beta}$-carotene equivalents (BCE)/g dry weight으로 관찰되었다. 70% 메탄올, chloroform:methanol (CM, 2:1, v/v),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 수율은 70% 메탄올(16.54%), CM (5.64%), EA (4.14%) 순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EA, CM 및 70% 메탄올에서 각각 106.287, 90.614 및 18.527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g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용매 별 항산화능은 0.2, 0.4, 0.6, 0.8 mg/mL의 농도로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및 trolox 보다는 낮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NO) 라디칼 소거능은 70% 메탄올에서 28.65~48.43%, CM 18.86~55.10%, EA에서 15.68~56.25%로 관찰되었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70% 메탄올, CM 및 EA 순으로 나타나 EA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강한 $NO_2$ 소거능을 나타내었다(p<0.05).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70% 메탄올, CM 및 EA에서 각각 1.64~23.79%, 6.99~41.16% 및 10.20~48.52%로 관찰되었다. 한편,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70% 메탄올, CM 및 EA 추출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