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분획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6초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물질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Plantlets)

  • 김명조;권용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4-198
    • /
    • 2005
  • 가시오갈피 유식물체의 함유성분을 밝히고, 분리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대체 약용자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시오갈피 유식물체를 MeOH로 추출, 농축하고 Hexane, EtOAc 및 BuOH순으로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을 대상으로 성분연구에 착수하였다.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한 결과 EtOAc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BuOH 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UV, IR, Mass, $^1H-NMR$$^{13}C-NMR$ spectrum과 문헌치를 대조하여 그 구조를 동정한 결과그 구조는 각각 Chlorogenic acld (1)과 1,4-di-O-caffeoyl-quinic acid (2)이였다.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한 항산화활성의 $RC_{50}$ value는 각각 1.2 및 $0.4\;{\mu}g/ml$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비파 잎의 추출용매별 항산화성 검증과 활성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of Various Solvents Extracted from Eriobotrya japonica Leaves)

  • 함현숙;이세열;이동완;성종환;김한수;김동섭;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66-1172
    • /
    • 2012
  • 비파 잎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규명하기 위하여, 동결 건조한 비파 잎을 마쇄하여 n-hexane, ethyl acetate (EtOAc)와 methanol (MeOH)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DPPH 소거활성,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고,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용매에 따른 추출물 중 비교적 활성이 강한 EtOAc 추출물과 MeOH 추출물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얻은 분획물들 중 강한 활성을 보인 각 1개의 분획물에서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GC/MS 분석에서 phytol, ${\beta}$-sitosterol 및 (-)-Loliolide으로 동정하였다.

바위솔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extra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김충현;박재호;임종국;이건주;정규영;정형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9
    • /
    • 2003
  •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_{50}:{\mu}g/m{\el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_{50}\;:\;{\mu}g/m{\ell})$$6.18(IC_{50}:{\mu}g/m{\el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Methanol Extract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 김종필;이향희;문제학;하동룡;김은선;김진환;서계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77-784
    • /
    • 2013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극성차를 이용한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층, $CHCl_3$층, EtOAc층, butanol층, 그리고 $H_2O$층을 얻었다. 그중 활성이 가장 높은 EtOAc층을 대상으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4종의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고, MS 및 NMR분석을 통하여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4는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methyl gallate, 화합물 1), 3,4,5-tr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 화합물 2), 1,6-di-O-galloyl ${\beta}$-$\small{D}$-glucopyranoside (화합물 3), 그리고 1,4,6-tri-O-galloyl ${\beta}$-$\small{D}$-glucopyranoside (화합물 4)로 각각 동정되었다. 그리고 분리 화합물들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은 화합물 4>화합물 3>화합물 2>화합물 1 순으로 평가되었다. 또 분리된 양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화합물 1과 2는 작두콩 중에 다른 화합물들에 비해 다량으로 존재해있을 것으로 시사되었으며, 이들 화합물이 작두콩의 항산화 활성에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화합물 4는 본 연구를 통해 작두콩으로부터는 처음 분리 동정되었다.

고욤잎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diase 저해 활성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정량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s or Fractions from Diospyros lotus L. Leav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Flavonoid Compounds)

  • 김선영;김상준;김지애;김다혜;곽설화;정창호;전인화;장선일;정승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35-945
    • /
    • 2014
  • 고욤잎은 주로 음료로 소비되지만 아시아 지역에서는 민간약품으로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욤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n-Hexane, $CHCl_3$, EtOAc (EA), n-BuOH을 포함한 다양한 용매 분획을 고욤잎의 MeOH 추출추출부터 얻었다. 식물성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강력한 생물학적 활성과 의약소재 결정에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EA 분획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다른 분획에 비해 높았다. 고욤잎 추출물의 생리 효능으로서 항산화 효능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SOD 활성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항당뇨 효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를 통해 확인하였다. 높은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 노이드 함량을 보인 EA 분획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과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을 보였다. EA 분획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하여 8개의 분획을 얻었다. 극성이 높은 분획물에서 항산화 효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이 높게 확인되었다. 효능이 높게 확인된 분획 및 정제물에서 quercetin-3-rutinoside, kaempferol-3-O-glucoside, myricetin, luteolin, kaempferol을 포함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욤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당뇨 효능을 가지며 천연 건강 제품의 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섬개야광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평가 및 활성 물질 분리 (Biological Activities and Separation of Active Substance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Cotoneaster wilsonii Nakai Leaf)

  • 유남호;김희규;송재모;이찬옥;박주희;박병준;최영빈;백영선;황연지;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2-418
    • /
    • 2019
  • Background: Previously, studies have observed that the leaf extract of Cotoneaster wilsonii Nakai has po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es. Therefore, further research was conducted to separate the ac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ounds in the leaf of the C. wilsonii.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timating the totla phenolic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and using reducing power assay method.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9.69 ㎍/㎖), and the highest TPC and TFC (345.98 mg·GAE/g, and 74.23 mg·QE/g). Moreover, it indicated the highest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Therefore, the active compound was separated using the EtOAc fraction, determin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and identified as (+)-catechin. Conclusions: The first compound separated was made from the leaf of C. wilsonii was (+)-catechin, which produced po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산수유 씨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저해활성 성분 (Constituents of the seeds of Cornus officinali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 이가영;장대식;이윤미;김영숙;김진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316-320
    • /
    • 2008
  • 과육을 제거한 산수유 씨의 MeOH 추출물의 EtOAc 분획물로부터 이용하여 10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에서 (+)- pinoresinol, (-)-balanophonin, vanillin, 4-hydroxybenzaldehyde, coniferaldehyde, betulinic acid는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들이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10종의 화합물에 대한 in vitro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억제효능 실험결과, (-)-balanophonin (화합물 2)과 gallicin(화합물 3)이 각각 $IC_{50}$ 값 27.81과 18.04${\mu}M$로 비교양성대조군인 aminoguanidine(974.59 ${\mu}M$)보다 훨씬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택사 분획물의 투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수준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ch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Alisma canaliculatum on Blood Glucose Levels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임숙자;김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6호
    • /
    • pp.619-625
    • /
    • 2001
  •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245g by injection of streptozotocin(STZ) into the tail vein at a dose of 45mg/kg and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 normal, diabetic control, and five experimental groups(fractions of hexane, chloroform(CHCl$_3$), ethylacetate(EtOAc), butanol(BuOH) and water($H_2O$)). The rats of all groups were fed on AIN-93 diet and the five experimental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each fraction for 14 days. The body weight and diet intake were monitored daily. The plasma levels of glucose, insulin,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aspartat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ies were analyzed. Diabetic rats showed the lower weight gain compared to the normal rats. The plasma glucose levels of the CHCl$_3$, and $H_2O$ fract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plasma insulin level of the CHCl$_3$ fraction group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plasma 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of hexane, BuOH and H2() fractions showed the lower plasma triglyceride levels compared to diabetic control group. The plasma free fatty acid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HDL-cholesterol levels were definitely higher in hexane, CHCl$_3$ and EtOAc fraction groups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In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CHCl$_3$ and $H_2O$ fractions of methanol extract of Alisma canaliculatum exhibited hypoglycemic effects in STZ induced diabetic rats, showing the possibility of therapeutic use of Alisma canaliculatum to the diabetes mellitus.

  • PDF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분리한 Grandidentatin Isomer의 입체구조결정 (Determination of Stereochemical Structure of a Grandidentatin Isomer from Populus alba × glandulosa Bark)

  • 권동주;김현석;이필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4-120
    • /
    • 2009
  • 현사시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기건 시킨 후 70% 아세톤 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순차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분취 TLC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산 가수분해와 $^1H$-NMR, $^{13}C$-NMR, 2D-NMR 및 MALDI TOF-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grandidentatin A(cis-2-hydroxycyclohexyl 6-O-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Grandidentatin A는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문헌에 보고되지 않은 신규화합물이다.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oculata 추출.분획물의 ACE, α-glucosidase 및 암세포 저해 활성 (ACE, α-Glucosidase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Marine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 차선희;김민주;양혜영;진창범;전유진;;김대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37-444
    • /
    • 2010
  • Extracts of the marine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were obtained using 80% methanol (MeOH) and water. The 80% MeOH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water to isolate the active fraction. Seven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ir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lpha$-glucosidase,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in vitro were determined. The most profound ACE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chloroform fraction, while the others had moderate effects. By contrast, greate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the EtOAc fraction, n-hexane fraction, and water extract of N. oculata.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 against HL-60, U937, CT-26, and SK-Hep1 cancer cells were also determined. The n-BuOH fraction had the strongest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CT-26 cells in a time-dependant manner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and fractions from N. oculata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or as pharmaceutical ingred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