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ogen

검색결과 1,294건 처리시간 0.03초

Breast Cancer in Young Women from a Low Risk Population in Nepal

  • Thapa, Bibhusal;Singh, Yogendra;Sayami, Prakash;Shrestha, Uttam Krishna;Sapkota, Ranjan;Sayami, Git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095-5099
    • /
    • 2013
  • Background: The overall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South Asian countries, including Nepal, is low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among young women is relatively high. Breast cancer in such cases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unfavorable prognosis and unusual pathological feat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 younger breast cancer patients (<40 years) and compare these with their older counterparts. Materials and Methods: Nine hundred and forty four consecutive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Surgery, Tribhuvan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Kathmandu, Nepal between November 1997 and October 2012,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Out of the 944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263 (27.9%) were <40 years. The mean age was $34.6{\pm}5.0$ years among younger patients compared to $54.1{\pm}9.9$ for those ${\geq}40$ years. The mean age at menarche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13.5{\pm}1.5$ vs $14.2{\pm}1.5$ years p=0.001) while the mean duration of symptoms was significantly longer (7.6 vs 6.5 months p=0.004).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was evident in 3.0% of the young women versus 0.3% in the older one. Mammography was performed less frequently in younger patients (59.7%), compared to older (74.4%), and was of diagnostic benefit in only 20% of younger patients compared to 85% of older ones. At diagnosis, the mean tumor diameter was significantly larger in young women ($5.0{\pm}2.5$ vs $4.5{\pm}2.4cm$, p=0.005). Axillary lymph nodes were positive in 73% of younger patients and 59% of older patients. In the younger group, the proportion of stage III or IV disease was higher (55.1% vs 47.1%, $p{\leq}0.05$). The proportion of breast conserving surgery was higher in young patients (25.1% vs 8.7%) and a higher proportion of younger patients receive neoadjuvant chemotherapy (9.9% vs 2.8%). The most common histological type was ductal carcinoma (93.1% vs 86%). The proportion of histological grade II or III was higher in younger patients (55.9% vs 24.5%). Similarly, in the younger group, lymphatic and vascular invasion was more common (63.2% vs 34.3% and 39.8% vs 25.4%, respectively). Patients in the younger age group exhibited lower estrogen and/or progesterone receptor positivity (34.7% vs 49.8%).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proportion of triple negative tumors in younger age group was higher (22.4% vs 13.6%). Conclusions: Breast cancer in young Nepalese women represents over one quarter of all female breast cancers, many being diagnosed at an advanced stage. Tumors in young women exhibit more aggressive biological features. Hence, breast cancer in young women is worth special attention for earlier detection.

MD로써 기대하는 PhD의 역할과 현실

  • 정태섭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1999년도 제4차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9-71
    • /
    • 1999
  • 최근 한국 의학의 발전은 전체 한국의 선진화를 선도하다고 보기에는 힘드리만 최소한 국제무대에의 진출은 괄목할만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 들어 국내 방사선영상과련 학회의 발전은 날로 비약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례로 대한방사선의학회는 본 저자가 전공의 하던 1980년도 초기만 해도 호텔의 큰 홀 한 개만 빌려서 하루만 해도 넉넉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학회사정은 대형호텔 1개층 통째로 빌리고 3일간 진행해도 여유가 없을 정도이며 더욱이 추계학회는 지방에서 유치할만한 공간이 부족하여 이제는 없어져야할 지경에 이러렀다. 그뿐 아니라 대한 자기공명의과학회를 포함한 각종 학회가 이제 그 규모를 더해가고 있어. 대한민국에 있어서 진단 방사선영역의 의학은 급속히 발전하여 RSNA, ISMRM등에서도 세계 발표순위가 4-5위권을 다투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양적인 발전이 우세하여 주로 임상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 자체로는 장기적인 발전에 한계점이 있으므로 앞으로는 기초과학연구에 기초한 질적 발전을 같이 추구하여야만 균형있는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겠다. 이러한 기존의 구성에 최근 급격한 변화를 주도하는 학문이 MRI부분이 되며 이 분야를 연구하는 PhD 들의 역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도 초기 단계이지만 MRI를 생산하고 있으며 PhD들의 활동이 성장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수 있다. 과거 우리의 NRI역사에서는 금성사 MR기계처럼 육성되기 전에 시들며 노력하던 기술진이 흩어져야 했던 어두운 기억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의 힘들었던 과거를 돌이켜보며 또 하나의 기초부분이 육성되 수 있도록 서로가 격려하며 협조하여야 될 것으로 생각되어 다음과 같이 요약을 하였다. 소기관으로는 세포 막,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Golgi 체, lysosome, peroxisome 그리고 세포질등이 있으며, 이들중에서 lysosomes, peroxisomes,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특정한 유전성 백질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질환들은 최소한 각 소기관에 의한 질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SXR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를 약간 촉진한 반면 MDA-MB-231세포는 SXR을 제외한 CAR와 PPAR${\gamma}$에 의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가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세포에서는 CAR, SXR, PPAR${\gamma}$과 같은 xenobiotic nuclear receptor에 의한 ER transactivation 효과가 간암세포와는 다르게 나타나며, 유방암의 종류에 따라서 endogenous CAR, SXR, PPAR${\gamma}$수용체가 다르게 발현됨으로써 이들에 대한 반응이 서로 상이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estrogen receptor에 의해 매개되는 estrogn의 전사활성조절기전이 표적세포에 따라 다른 경로를 포함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서 흡착 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황화수소는 펄라이트, 왕겨, 소나무수피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충전재는 암모니아의 경우 코코넛과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3번과 소나무수피와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6번에서 다른 혼합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

  • PDF

돌나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dum sarmentosum Bunge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14-1119
    • /
    • 2003
  • 폐경을 앞둔 여성에게는 폐경을 전후하여 지속되는 골 손실 가속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난소 절제 쥐에서의 골 손실의 유무를 결합조직 중의 collagen함량 변화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 절제 후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에 비해 낮았으나 돌나물 추출물 투여에 의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난소 절제시 나타나는 결합조직 중 collagen 함량 저하에 대하여 돌나물 추출물의 작용 가능성이 밝혀졌으므로, 돌나물을 분획하여 그 효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인 혈 중 ALP 활성은 난소 절제로 (OVX-control)로 인하여 증가하는 반면,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 투여 (OVX-EE, OVX-EA)로 혈 중 ALP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골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과 골$.$연골 조직에서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중 연골 조직에서는 collagen 함량의 저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피부 조직에서도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물 투여군 모두에서 collagen 합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나물 추출물과 분획물이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Collagen 합성저하를 회복시킨 본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돌나물 중의 phytoestrogen이 에스트로겐 유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외인성 에스트로겐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폐경기 여성에게 돌나물의 섭취는 폐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에스트로겐의 장기간 복용에 의한 부작용을 돌나물 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그 부작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의 구조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 문준성;원규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9-30
    • /
    • 2008
  •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의 질로 구성되는 골의 강도가 손상됨으로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골격질환이며, 최근 유병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상적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인 단순 방사선 검사, 골 스캔, CT, MRI 등이 골밀도 및 골절의 진단에 유용하다. 골밀도의 정량적 검사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이 사용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WHO 기준에 따라 T-score가 -2.5 이하일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생화학적 골표지자들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억제제와 골형성자극제(formation stimulator)로 나눌 수 있는데 골흡수억제제로는 칼슘, 에스트로겐,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비타민 D 등이 있으며 골량을 증가시키는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하며 최근 strontium ranelate가 추가되었다. 일일 1200 mg의 칼슘과 800 IU 의 비타민 D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며,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에는 칼시토닌이 효과가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및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에 사용되는 SERM은 골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골절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인 부갑상선 호르몬이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strontium은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3상 연구에서 골절 위험율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체외 배양된 자궁내막세포에서의 DOC-1 유전자의 발현 조절 (In Vitro Regulation of DOC-1 Gene Expression in Uterine Endometrial Cells)

  • 양혜영;전용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97-303
    • /
    • 2009
  • 포배의 착상은 구조 및 기능적으로 준비된 자궁내막의 체계적 반응에 의하여 진행되는데, 자궁 내막에서 엄격히 통제된 급격한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진행된다. 구강 상피세포암의 억제자로 알려진 Doc-1이 자궁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하여 발현되며 세포 증식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그 정확한 발현 변화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외에서 탈락막 반응 모델 확립을 통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 진행과정에서 Doc-1의 발현 조절기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쥐 자궁내막을 이용한 탈락막 반응은 기질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여 배양하면서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유도 배양액으로 유도하였다. 탈락막 유도 과정에서 배양 24시간까지 세포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 후에는 감소하였다. 한편, 탈락막 세포로의 분화는 분화 유도 48시간에 거의 모든 세포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Doc-1 단백질의 발현이 분화 유도 시간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탈락막 세포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착상이 진행되는 자궁내막에서 Doc-1의 발현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탈락막 분화와 연계되어 조절되고, Doc-1 단백질이 탈락막 세포의 세포분열 억제를 유도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 PDF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렛드 자궁수축에 미치는 Verapamil 및 Tetracaine의 영향 (Effects of Verapamil and Tetracaine on Acetylcholine-and Oxytocin-induced Uterine Contraction Pattern)

  • 이만기;김중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41
    • /
    • 1987
  •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흰쥐의 적출자궁수축을 $Ca^{2+}$ 길항제의 일종인 verapamil및 tetracaine 존재하에서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한 자궁수축곡선을 4개의 요소 (trough tension, T: peak tension, P; contraction frequency, F: duration, D)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Verapamil $(0.25\;{\mu}M)$은 자발수축을 억제시켰으나 tetracaine$(42\;{\mu}M)$은 자발수축을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이들 길항제의 존재하에서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자궁수축의 각 구성요소에 변화를 관찰하였다. 즉 acetylcholine에 의한 수축에서 verapamil은 P와 D를 감소시켰고 tetracaine은 F를 감소시키고 D를 증가시켰다. oxytocin에 의한 수축에서 verapamil은 P와 D를 감소시켰으나 tetracaine은 oxytocin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저농도의 oxytocin에 의한 수축에서는 F를 감소시키고 D를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의 oxytocin에 의한 수축에서 는 F와 D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P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acetylcholine및 oxytocin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축곡선은 시각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작용기전이 다른 $Ca^{2+}$ 길항제에 의하여 acetylcholine및 oxytocin의 수축의 구성요소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것은 수축곡선의 구성요소의 변화를 면밀히 검토하면 자궁수축제의 수축작용기전이 다름을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축억제제에 의한 억제 기전의 차이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PDF

단기번식독성시험법을 이용한 제초제 Alachlor의 송사리 내분비계 영향 조사 (Evalu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the herbicide Alachlor on Japanese Medaka using short term reproduction assay)

  • 이제봉;박연기;최영웅;김병석;권혜영;진용덕;임건재;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3
    • /
    • 2012
  •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알려진 alachlor의 어류 생체내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자 송사리를 이용한 급성독성, 수중 분해성 및 단기번식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96시간 $LC_{50}$은 2.37(1.994~2.805) mg/L 이었으며, 수중 분해성이 15일에 초기 처리농도에 비해 20% 정도 분해되었으므로 단기번식독성시험의 시험용수 교체는 매 7일로 하였다. 송사리를 이용한 21일 단기번식시험의 노출농도는 용매대조군, alachlor(0.02, 0.04, 0.11, 0.27, 0.68ppm)처리군, 양성 대조군($17{\beta}$ estradiol, 0.01, 0.1, 0.5ppb)을 두어 수행한 결과 산란 수는 대조군에 비해 최고투여 농도에서 47.9% 감소하였고, 유정란 율은 47.8% 감소하였다. 기형율도 부분적으로 농도 의존성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내분비계 장애성 중 에스트로겐 영향을 검색할 목적으로 어체내 vitellogenin 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alachlor는 vitellogenin성 에스트로겐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절제술 치료성적 비교 (A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for Breast-conserving Treatment and Mastectomy for Early Breast Cancer)

  • 노재명;박원;허승재;최두호;양정현;남석진;김정한;임영혁;안진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10-16
    • /
    • 2008
  • 목적: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절제술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근치적 수술을 받은 병리학적 병기 $T1{\sim}2N0$ 유방암 환자 1,200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절제술을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분석에 포함된 1,174명의 환자 중 601명이(51.2%) 유방보존치료를 받았고 573명이(48.8%) 유방절제술을 받았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군에서 유의하게 종양의 크기가 컸고, 다발성(multicentricity),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등의 인자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유방보존치료 및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10년 생존율은 각각 91.96%와 91.01%였고(p=0.1274), 10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80.48%와 84.95%(p=0.879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 내지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군 사이에 환자 특성의 차이는 일부 있었으나 생존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암캐에서 부신피질기능 항진증 및 난소제거 이후 발생한 요도 괄약근 기능부전 증례 (Spay-Related Urethral Sphincter Mechanism Incompetence Concurrent with Pituitary-Dependent Hyperadrenocorticism in a Bitch)

  • 강민희;김주원;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8-261
    • /
    • 2011
  • 8연령의 암컷 요크셔 테리어견이 요실금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환축은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부터 다음다뇨 증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난소제거 8개월 이후 야뇨증이 나타났다. 신체검사 상에서 비만과 고혈압이 확인되었다. 실험실 검사에서 적혈구증가증, 지질혈증 및 간수치 증가가 관찰되었다. 다양한 검사를 통하여 난소제거 이후 발생한 요도 괄약근 기능부전증이 가장 의심되었다. 이와 더불어 본 환축은 부신피질기능 항진증을 가진 것으로 진단되었다. 합성 에스트로겐인 디에틸스틸베스테롤을 통한 치료적 접근에서 요실금 증상의 개선이 확인 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요도 괄약근 기능부전증이 요실금의 원인으로 확진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는 부신피질기능 항진증과 더불어 암캐의 난소 제거 이후 발생한 요도 괄약근 기능부전의 임상증상과 실험실 검사 결과 그리고, 치료 반응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에 의한 갱년기 유도 모델 흰쥐의 지질, 당질 및 항산화 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 (Water extracts of Eucommia ulmoides improve lipid, glucose,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이상철;정수임;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04-609
    • /
    • 2016
  • 본 연구는 폐경 이후 여성에 대한 두충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in vitro 항산화 활성 분석 및 암컷 흰쥐의 난소를 절제한 후 폐경을 유도하여, 두충 열수추출물 보충 급여에 따른 지질, 당질대사 및 항산화 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In vitro 항산화 활성분석 결과 환원력은 0.79(O.D. at 700 nm)로 대조군인 BHA (0.51, O.D. at 700 nm)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물실험 분석결과로는 난소절제군에 비해서 난소절제 후 두충추출물 급여군이 체중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혈장 지질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도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지방생합성 효소활성도에는 OVX-EU군에서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지방조직에서는 유의적차이가 없었다. 지방산화 효소 활성은 지방조직에서 OVX-EU군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당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은 난소절제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혈장 adipokine 중 OVX군은 렙틴과 아디포넥틴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TNF-{\alpha}$는 높게 측정되었다. 항산화 효소 활성은 OVX-EU군이 간조직에서 GR과 PON, 신장조직에서 SOD, CAT, GR 활성이 OVX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들은 폐경이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만관련 대사장애의 개선 및 예방소재로서 두충의 기능성 소재 개발도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