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 Moon, Jun-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Won, Kyu-Ch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문준성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원규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Osteoporos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low bone mass and microarchitectural deterioration of bone tissue leading to enhanced bone fragility and fracture risk,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The diagnostic methods for osteoporosis include simple radiography, bone scan, DXA (Dual energy X-ray Absortiometry)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Optimal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require modification of risk factors, particularly smoking cessation, adequate physical activity, and attention to diet, in addition to pharmacologic intervention. The estrogens and raloxifene both prevent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he estrogens probably also decrease the risk of first fracture. There is good evidence that raloxifene prevents further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who already have had fractures and some evidence that estrogen does as well. Bisphosphonate prevents bone loss and reduces fractures in healthy and osteoporotic postmenopausal women and in osteoporotic men as well. Risedronate is more potent and has fewer side effects than alendronate and reduces the incidence of fractures in osteoporotic women. Calcitonin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in early postmenopausal women and men with idiopathic osteoporosis, and also reduces the risk of new fractures in osteoporotic women. All of the agents discussed above prevent bone resorption, whereas teriparatide and strontium increase bone formation and ar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women and men. New avenues for targeting osteoporosis will emerge as our knowledge of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bone remodeling increases, although issues of tissue specificity may remain to be addressed.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의 질로 구성되는 골의 강도가 손상됨으로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골격질환이며, 최근 유병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상적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인 단순 방사선 검사, 골 스캔, CT, MRI 등이 골밀도 및 골절의 진단에 유용하다. 골밀도의 정량적 검사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이 사용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WHO 기준에 따라 T-score가 -2.5 이하일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생화학적 골표지자들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억제제와 골형성자극제(formation stimulator)로 나눌 수 있는데 골흡수억제제로는 칼슘, 에스트로겐,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비타민 D 등이 있으며 골량을 증가시키는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하며 최근 strontium ranelate가 추가되었다. 일일 1200 mg의 칼슘과 800 IU 의 비타민 D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며,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에는 칼시토닌이 효과가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및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에 사용되는 SERM은 골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골절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인 부갑상선 호르몬이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strontium은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3상 연구에서 골절 위험율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