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ce of Korean Culture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4초

민담 모티프의 변용 양상 연구 - 러시아 요술담의 바바야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Modification of Folktales' Motifs)

  • 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241-286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how folktales' motifs are used in diverse cultural contents such as literature, movies, or comics. More precisely, it is concerned with mysterious characters like Babayaga and Koshchei who appear in Russian fairytales. When the motifs of the reviewed literature are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criteria are used for classification: New Writing, Rewriting, and New Version. Or course, it is New Writing that is far from the original work. Most of the collected works, including Joan Aiken's The Kingdom Under the Sea, Patricia Polacco's Babushka's Doll, Babushka Baba Yaga, and Tai?-Marc Le Thanh's BABAYAGA, belong to New Writing. The New Writing type mainly focuses on Babayaga's secluded life. In fairytales, Babayaga is depicted as the goddess of Mother Earth, the heroine of the Nature, or the ruler of the Animal Kingdom. That is why she lives in the deep and uninhabited wood. She is related to the Coming of Age ceremony. Her 'Hut on hen's legs' is an obstacle for immature protagonists to face before they come of age. Protagonists are supposed to solve the problems posed by Babayaga. If they succeed, they can get her magical help so as to complete their final mission. Babayaga is likely to appear as their antagonist. Protagonist may be subjected to a terrible ordeal created by Babayaga, and then come of age by recovering from that ordeal. Sometimes, Babayaga helps protagonists to get a grip on reality. That is why she lives in a hut in the deep and dark forest which is on the borderline between life and death. On the other hand, Marianna Mayer's Baba Yaga and Vasilisa the Brave has been classified as a controversial work between New Writing and Rewriting. It is apparently closer to New Version. However, it cannot be classified as a work of New Version because the author incorporates 'probability' into her work. Among the reviewed works, it is Korean Writer Rye, Kami's The Spider Woman's House that best reflects the essence of Babayaga. Babayaga and other characters are amusing in movies because most of the movies are animations for children. In one sense, it is positive that the scary characters in folktales are approachable to children. In other sense,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symbolic motifs are completely eliminated. In Mike Mignola's Hellboy, Japanese animations such as Index or Narutaru, on-line games such as Cabal or Vampire: The masquerade, the essence of the supernatural characters in folktales is completely eliminated, and only their 'belligerent power' stands out. It is desirable to put stories into perspective whether they are written or told. The literature property of folktales provides a special opportunity to readers. In this light, a variety of motifs have a good reason to be reborn as modern cultural contents. The bottom line is to maintain its true nature.

비주얼 컬처로서 만화영상의 확장된 장(場, fest)에 대한 논의: 뉴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Discussions about Expanded Fests of Cartoons and Multimedia Comics as Visual Culture: With a Focus on New Technologies)

  • 이화자;김세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8호
    • /
    • pp.1-25
    • /
    • 2012
  • 만화는 1990년 이후 사회 문화 전반에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만화의 디지털화를 이끌었고 지면에서 웹으로의 매체변화가 이동하면서 강력한 시각문화 발전하였으며 멀티미디어 기술과의 만남으로 영상문화로까지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만화는 이제 문자문화로 보기 보다는 '확장된 장(마당, 場, fest)'으로 시각문화와 영상문화로서 다루고 더욱 넓은 의미의 만화영상으로 주목해야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변화되는 만화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이에 따르는 앞으로 만화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만화의 디지털화와 대학에서 만화영상 전문교육을 시작했던 시점인 1990년대부터 현재의 만화영상의 장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들을 사례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뉴 테크놀로지와 만화의 만남에 따라 기존의 만화의 형태는 깨지고 있다. 특히 뉴 테크놀로지 기술을 작품에 적극 활용하는 작가들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만화의 내용적, 형식적 변화와 캐릭터 활용의 확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의 발달은 작품에만 영향을 끼치는데 그치지 않고 감상자의 역할까지 변화 시키고 있다. 이제 독자는 적극적으로 작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팬덤을 형성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과 작가를 홍보하고 스타의 자리로 올려놓기도 한다. 더 나아가 스스로 창작물을 만들고 스스로 작가가 되는 새로운 형식의 등용시스템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양한 장르의 작가군의 형성으로 인해 새로운 이야기 텍스트 개발의 가능성과 다양한 스타일, 세계관이 등장 되면서 만화텍스트의 본질이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만화문화, 산업, 교육, 기관, 기술 등 전반적인 만화시스템 역시 확장되고 있다. 앞으로도 만화영상은 차세대의 문화를 반영하고 매개하고 소통하는 메신저로도 공헌해 나갈 것이라고 기대한다. 오늘날의 만화는 인쇄만화와 영상만화로 구분 지을 수 없겠고, 설치개념의 만화와 더불어 블록버스터 디지털영상, 팬시용품과 서사를 바탕으로 하는 테마파크의 캐릭터 활용을 볼 때 다양한 형태와 양식으로 각 영역을 확장해 갈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보다 만화영상 교육을 다양성 있게 다각화시킬 필요가 있다. 창의적 예술 능력에 인문사회학적 기반과 뉴 테크놀로지 교육이 접목되어 문자문화와 영상문화의 감각종합형 문화 분야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그러한 능력을 가진 미래 세대를 키우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의 서예론(書藝論)과 서예심미(書藝審美) (The Calligraphy theory and the aesthetic of Calligraphy on Wongyo Lee KwangSa)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79-186
    • /
    • 2020
  •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1705~1777)는 18C 문예부흥기에서 한 시대를 대표했던 학자 예술가이다. 1755년(영조31) 나주벽서사건으로 인해 연좌, 완도군 신지도(薪智島)로 이배되어 총 23년간의 유배생활 끝에 운명하였다. 이때 속필(俗筆)로 흐른 서법과 서풍의 문제점을 바로 잡고자『원교서결(圓嶠書訣)』을 집필하였고, 서법적으로 본질을 새롭게 정립코자 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주체적·자각적 서풍인 동국진체(東國眞體)를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 독창적 서예술 구현으로 호남 일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원교(圓嶠)의 서예심미는 양명학의 심진(心眞)을 근저로 하는 '창경발속(蒼勁拔俗)의 엄밀미(嚴密美)', '만호제력(萬毫齊力)의 양강미(陽剛美)', '진력추전(盡力推展)의 생명미(生命美)'로 전개된다. 그는 올바른 필법 구사를 위해서는 자유로운 조형과 생기가 있는 근골(筋骨) 화의(畫意)를 서예의 관건으로 인식하고 전례(篆隷) 고비(古碑)의 연마를 제안하였다. 생기가 있는 획이란 삼과(三過)와 길곡(佶曲)하는 가운데 창경발속(蒼勁拔俗)하여 자연스럽게 천기(天機)가 스며들고, 필묵은 만호제력(萬毫齊力)의 추전(推展)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예심미는 삼과절필(三過折筆)과 길굴완전(佶屈宛轉), 만호제력(萬毫齊力)과 추전거(推展去) 등의 필법이 뒷받침되어 근골(筋骨)과 신기(神氣)로써 신채(神彩)를 드러내었고, 우리 민족 고유의 독창적 필세와 필의를 추구하고, 천연의 진성(眞性)을 드러내며 활물(活物)로써의 생명력 넘치는 원교체(圓嶠體)로 발현되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정중동(靜中動)의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Jeong-Jung-Dong [Movement in Silence] Expression Contemporary Design)

  • 이연규;간호섭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52-67
    • /
    • 2017
  • This is the precedent study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using Korean emotions, and its aim is to study the expressions in the modern fashion based on 'Jeong-Jung-Dong' idea from Korean dancing, which implicates the Korean emotion deeply among the artworks and give essence similar to the clothing. 'Jeong-Jung-Dong', a unique idea,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ing is the philosophy that involve the paradox expression, 'Movement in Silence,' which represented the emotion of Korean dancing for a long time. The main characteristics deducted in 'Jeong-Jung-Dong' were 1) the incomplete and complete by atypical, 2) the beauty of temperance by symbolism, and 3) amusing mutual relationship. Upon the analysis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xpressions in the modern fashion with 'Jeong-Jung-Dong', they demonstrated the atypical expressed by metaphor, symbolic expression through margin, and mutual relational table by harmony. The analysis of modern fashion expression by 'Jeong-Jung-Dong', which is a philosophical idea in the Korean dancing, could highlight the new way of looking at the clothing and systemize the theory on the Korean emotion to seek the effective expression of artistic features for the culture together with introduction of our unique emotion in the creative design process by understanding of humanitarian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to be utilized in the future Fashion Design.

제주 오현단의 진정성 제고를 위한 시설 및 식생관리 (Installat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for Enhanced Authenticity of Jeju Ohyundan)

  • 노재현;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37
    • /
    • 2013
  • 제주 귤림서원의 후신(後身)이자 사묘(祀廟)인 오현단의 연혁과 변천과정의 고찰을 통해 이곳에 담긴 장소성을 파악하는 한편, 건축물과 시설, 바위글씨, 현존식생 등 문화경관요소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제주의 성지이자 기념물인 오현단의 본질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현단은 제주도 유일의 사액서원이었던 '귤림서원 터'였다는 장소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제주 유배문화의 상징적인 공간인 점에도 주목된다. '귤림서원'이란 당호(堂號)에서 유추되듯이 도처에 위요되었던 과원(果園)들은 과거 오현단의 장소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조망경관 요소이다. 오현단의 핵심시설이며 오현의 위패를 상징하는 조두석(俎豆石)은 흔한 돌로 제단을 두른 뒤 토막돌을 세우고, 담을 둘러 정제된 장소를 만들었다. 이 절제와 검약은 성리학의 기본정신이고, 또한 제주의 조냥정신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오현단의 진정성을 역행하는 제주향로당과 다수의 비각 등 과설계되거나 장소성에 걸맞지 않는 시설은 적극 배제함으로써 오현단의 본질을 되찾기 위한 실천 플랜이 필요하다. 한편, 조두석은 물론 병풍바위에 새긴 '증주벽립'과 '광풍대' 바위글씨 그리고 유천석 등은 오현의 정신 및 성리학적 가르침을 잘 보여주는 상징경관이자 제주에 뿌리내린 유가적(儒家的) 흔적으로 오현단의 장소 본질과 일치하는 문화경관이라 판단됨에 따라 적극적인 보존과 홍보대책이 요망된다. 이와 함께 경내에 잔존하는 소나무를 비롯하여 곰솔, 굴참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그리고 검양옻나무 등 노거수 등은 오현단의 성스러움과 기념물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경관요소이지만, 토지이용 변천과정에서 다수 고사 및 제거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지금이라도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등 철저한 개체목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귤림서원이 갖는 입지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설지 및 공한지에 귤림을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수험도(修驗道)와 노(能) - 노 <다니코(谷行)>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Syugendo(修驗道) and Noh(能) Performance)

  • 김현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37-61
    • /
    • 2011
  • 노(能)는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연극으로 불교, 신도(神道), 수험도(修驗道)와 같은 종교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성립하였다. 이 중에서도 중세시대에 널리 확산되어 있던 수험도로부터 받은 영향은 현저하다. 수험도라는 종교사상을 배경으로 성립한 대표적인 노가<다니코(곡행(谷行))>이다. <다니코>의 내용 분석을 통해 중세의 수험문화, 특히 산악수행자인 야마부시(산복(山伏))의 수행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곡이 갖는 가치는 매우 크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의 <다니코>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야마부시의 수행에 초점을 두고 수험도의 세계관이 노에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극화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시에 다니코에 있어서의 아쟈리와 동자의 관계에 착목하여 중세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치고(치아(稚児))문화의 투영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노<다니코>는 소년 와카마츠(약송(若松))가 어머니의 병환치유를 위해 스승을 쫓아 가즈라키산(갈성산(葛城山))에 입산하여 수행하던 차에 병에 걸리자, 야마부시 일행에 의해 '다니코(곡행(谷行))'를 당하게 되었지만, 결국에는 야마부시 일행의 기도로 다시 소생한다는 이야기이다. 다니코는 병든 수행자를 계곡에 던지고 그 위에 토사나 돌을 덮어 산채로 매장하는 형법을 말한다. 노<다니코>의 제목도 바로 이 수험도의 형법에서 유래한 것이다.<다니코>는 수험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야마부시의 수행과 행법·와카마츠의 효심·치고 문화 등을 크로스 시키면서 일본중세의 사회문화의 특징을 조화롭게 담아낸 작품이다. 가혹한 형법을 소재로 하여 난행과 고행의 연속인 야마부시의 입산수행의 어려움을 리얼하게 표현하고 있어 당시의 입산수행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수험도의 본질인 입산수행은 생명의 재생, 생명의 탄생을 의미하며, 심산에서의 고행을 통해 새로운 탄생에 이른다고 관념되어 왔다. 이러한 수험도를 이끌어 온 것은 산악수행에 의해 신령스런 힘을 획득한 야마부시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활동은 산에 한정되지 않고, 사토(리(里))에 있어서의 서민의 신앙과도 깊게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수험도는 일본의 민속·문화의 특징을 찾는데 있어서 불가결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혹한 다니코 형법에 의해 자칫 유쾌하지 않은 인상으로 끝나버릴 작품이었지만, 소생이라는 대반전을 통해 효심에 의한 미담을 담은 노로 분위기가 전환되었다. 작가가 설정한 와카마츠의 소생이라는 극적효과는 본래 수험도가 본질적으로 추구하고 있었던 재탄생의 구조에서 힌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제까지 노<다니코>에 있어서의 스승 아쟈리와 와카마츠의 관계를 치고 문화와 관련시켜 지적한 논문은 없었다. 이 작품의 어느 부분에서도 '치고'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지만, 중세의 관객들은 당시에 만연했던 치고 문화에 대한 이해 하에 아쟈리와 와카마츠가 치고 관계라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노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사회적 종교적 문화의 기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안동 권씨 충재 권벌 종가음식의 상품화 연구 (Study on Ritual Food Bulcheonwi's Commercialization of Andong Kwon Clans of Choongjae Kwonbeol's Head Family)

  • 김미혜;정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49-56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head family house of Panseogong coterie of Andong Kwon clans in Daksil village, Bongwha gun, Kyungbuk: historical sources survey and field visit over four rounds were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4. In-depth interview, storytelling, and nutrition facts were used as methods of research using 49 participants, and the potentials of trend goods wer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pecialties of bongwha prefecture in the Chosun Dynasty were pine nut, manna lichen, ginseng, sweetfish, and wild honey. Ritual food bulcheonwi's offerings a feature in Choongjae Kwonbeol's head family - were sacred wine, me, gang, otang, myun, myunjeok, pyunjeok, pyunchung, pyun, po, chungpomook, dojeok, sookchae, ssam, chimchai, sikhye, chogwa, silgwa, soojunggwa, etc. The ritual foods of bulcheonwi's head family house Choongjae Kwonbeol were commercialized through storytelling. Choongjae Kwonbeol's ritual ceremonies, recognized for their national royalty, were reorganized as the traditional Korean table settings, so that the Korean people could easily access them. The special meal called "Geumgyeporansang" represented the head family house foods' essence to share and serve others through the Dacshil village's natural beauty, Bonghwa's local ingredients, and festivities after the "Chungjae Gwunbal Bulchun" rituals. The ritual foods called "Cheongamjungsang", utilizing "Chungjae Gwunbal Bulchun" rituals, we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lunch box: such foods illustrate the classical scholar's mindset that enjoys the nature and arts through education and virtue.

영화배우 최민식의 스크린 퍼포먼스 (Screen Performance of the Korean Actor Choi Min-sik)

  • 김종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31-140
    • /
    • 2020
  • 이 글은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향하는 퍼포먼스로서의 영화연기라는 방법론을 최민식의 연기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영화배우 최민식의 인터뷰 구술에 언급된 신체, 얼굴, 오디오, 연출과의 관계, 영화기술에 대한 태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최민식의 연기는 메소드 액팅으로만 규정할 수 없고, 스타니슬랍스키, 스트라스버그, 메이어홀드, 브레히트, 그로토프스키 등의 전형적이거나 전위적인 연기론을 함축하거나 통합하며, 무엇보다 크라카우어가 제시한 움직임으로 재현되는 생명의 흐름을 명시하는 표상이다. 최민식 스스로가 강조하는 연민의 정서가 생명의 흐름을 재현하는 영화의 본질과 맞닿아 있고, 그것은 어떤 목적을 갖는 의도된 스크린 퍼포먼스로 확장된다. 연민과 생명의 흐름으로 압축할 수 있는 스크린 퍼포먼스는 최민식의 다양한 페르소나로 표출된다. 선악을 넘나드는 그의 페르소나는 한국사회의 현재를 반영한다.

영화의상을 중심으로 한 대중패션의 분석 (Analysis of Mass Fashion on the basis of Movie Costume)

  • 유태순
    • 복식
    • /
    • 제31권
    • /
    • pp.189-202
    • /
    • 1997
  • Movie is one of the most popular culture ac-tivities in modern society and the composite rt of science and art born in the 20th century. Movie became the great source of setting the fashion. Especially movie costume brought into relief and was accepted by the mass. As a movie stimulates imitation psychology and identification of the general public i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movie costume to a modern mass fashion. The times was defined the movies from the early Silent era to the modern Hollywood movie from the late of 1910 to 1990. The way of study were to analyze on the changes and roles of movie costume through documentary records and the influence of set-ting the fashion to the mass fashion and classi-fied it five times-silent era classics neo-classics new look and modern times. The summary of result is as follows, 1, Movie costume affected the dress and the fashion of women is Silent era. That fashion was accelerated by actors' costumes in the mode of 1920. 2. Holloywood movies in the Classics show the essence of the fashion movie costume played a role of a fashion leader and commanded the trend of mass fashion. 3. Practical style was shown because of the war in the Neo-classics. Movie industry was prosperous after the war. But the consequences of the movie costume to the mass fashion were more and more weaken 4. Couture designer's costume had an effect on the mass fashion in the early of New look. But it was behind the fashion for the rise of young fashion. 5. The tastes of the fashion were diversified in Modern times. So the movie fashion was not imitated or popular. The costume of "Pret-a-porter" was used in the movies in the 1980. Spectators became to wear the same style of the actors. The times fashion and movie interacted each other. Movie costume is playing a role of a fashion leader guiding the mass fashion.s fashion.

  • PDF

안토니오 치테리오의 미니멀리즘적 실내공간 표현특성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ntonio Citterio's Minimalist Interior Spaces)

  • 한미희;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96-106
    • /
    • 2015
  • Occupying the center of architecture, design, painting and culture, minimalism is aesthetics of essence that reflects modern age but transcends age at the same time. Pursuing minimalist trend like this and covering the range of furniture, interior and architecture, total designer Antonio Citterio is developing minimalist designs of his own. Called one of the 3 greatest furniture designers in the world today, he leads the trend and enjoys high reputation as a world-renowned interior designer and archit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tegrate minimalist descriptive characteristics which appeared in interior space of Citterio who pursues minimalist design. As a study method, this study reorganized minimalism from methodological perspective, drew out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t interior spaces unique to Citterio based on background and influence of Citterio's design and, centering on this frame of analysis, analyzed and integrated interior spaces he desig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overcome problems that can become monotonous in a minimalist space, Citterio provides spatial experiences to feel visual and spatial variations using the ramp and bridge. Second, he created various senses of space with visual and spatial expansion using transparency in the walls made of glass. Third, with linear expressions, he designed modern spaces with beauty of proportion and balance through contrast and emphasis. Fourth, he made constructive expression through exposure of structures or stairs in the space. Fifth, he created sophisticated atmosphere with contrast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materials and emphasis of material properties. Sixth, his design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furniture as the role of adjusting overall atmosphere of interior space, not as separated parts from it. The author hopes that abov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terio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