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 friendly control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42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간 친화적인 지능형 색체 조절 시스템 (Human-Friendly Intelligent Hue Control System for Display Unit)

  • 서재용;김종원;조현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07
  • 인간의 시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인지 범위가 가장 넓다. 만약 인간에게 더 나은 시각 환경을 조성해 준다면 이를 받아들이는 사람의 감정이나 신체에 더 유익한 일이 될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색은 Red, Green, Blue이고, 이 3가지 색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체나 밝기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개인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색체를 조절한다면 우리는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편안한 느낌을 가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정과 환경에 관련된 퍼지화 요소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체를 조절할 수 있는 인간친화적인 지능형 색체 조절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은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산지습지의 친환경복원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o-friendly restoration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forested bog)

  • 정유경;이헌호;강원석;박기형;권세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47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restoration in forested bog on the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from the surveyed sites were composed of 1,071 individuals, 60 species, 40 families, 13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At the control and Site 3(small dam),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larger than that of other sites, and EPT group ratio was same as well. Considered by index, the dominance index (DI) was found the highest at the biotope area. The diversity index (H') and richness index (RI) were the highest at the control and Site 3. In addition, the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ESB) showed the highest at site 3, while the lowest at biotope area. The stability and recovery of benthic macrointebrates showed different according to restoration types at forested bog. After restoration project,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observed to get recovery at Site 3, and to have the highest communities stability at control and Site 3. At biotope areas (Site 4, Site 5 and Site 6) communities stability were the lowest, but showed different community stability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water. It is confirmed that the eco-friendly restoration projects indeed provided the better environment for the inhabit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e change of community index depending on the restoration projects suggests that the eco-friendly restoration can provide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ecosystem that prefers the stream environm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core system in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prerequisite program for meat shops in Korea

  • Baek, Seung-Hee;Nam, Insik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0.1-20.9
    • /
    • 2021
  •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scoring system for rating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prerequisite evaluation items for meat shops to provide a more objective and accurate evaluation of food safety compliance.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as measured by looking at the hazard severity level and the rate of non-compliance associated with it. It was found that the new scoring system is more stringent and gives a clearer picture of compliance with the most critical safety standards, and therefore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ygiene and safety of livestock products.

벼 유기재배에서 석회보르도액을 이용한 벼 잎도열병 방제 효과 (Effect of Bordeaux Mixture on Control of Rice Leaf Blast)

  • 강범용;김선곤;김도익;이용환;최경주;최용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82-186
    • /
    • 2008
  • 최근 벼 유기재배에서 식물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농자재가 없는 것이 주요한 제한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식물병 방제를 위해 보르도액은 효과적인 예방 농자재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석회보르도액의 벼 잎도열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온실검정결과 6-6식 석회보르도액 100배액을 발병초에 살포한 결과 70.8%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포장검정에서는 4-8식과 6-6식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 결과 잎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73.6%와 71%를 나타냈다. 각각 조제한 석회보르도액의 30배와 50배 처리농도에서는 약해가 발생하였으나, 200배액 살포농도에서는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기재배 및 무농약 재배포장에서 벼 잎도열병 방제를 위한 효과적인 친환경농자재로서 석회보르도액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가정(觀稼亭)으로 본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분석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High-Class Houses Kuangajeong in Chosun Dynasty)

  • 허준;이시영;송병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64-177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 반영된 환경친화적인 계획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대표적 전통 주거공간인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의 관가정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주거공간에 표출되거나 내재된 환경친화성 원리 및 기법을 입지선정 및 공간구성, 자연에너지 활용, 자연재료 활용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는 입지적 측면에서 남동향을 취하여 일사 및 일조의 환경조절측면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지형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으로 조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대문간-안마당-안대청으로 바람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조적으로 배치하였으며, 공간구성적 측면에서는 경관의 조망을 중시하여 담장의 조절을 통해 외부 경관을 끌어들이는 수법을 활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통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기법 및 조절원리는 오랜 기간 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지역기후와 지역환경에 적합한 많은 전통적인 기법들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법들을 추출하여 기술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겠다.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친환경적 방제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of 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 by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권혜리;김세희;박민우;조신혁;신효섭;조현숙;서미자;유용만;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13-419
    • /
    • 2011
  • Recently, the rate of cultivation of such as hairy vetch was increased as a way of reducing the current soil problem. However,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 such as bean bugs, Riptortus pedestris, were increased in the field of green manure crops and their injuries to hairy vetch were observed. While minimizing insecticide use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the control of the bean bug can be utilized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in the green manure crop fields. The control effects of some EFAMs and most of chemical insecticides to the bean bug were significantly high. As a result of direct spray of EFAM that contained sophora extract or neem extract, the control effects of six EFAMs were higher than 70% at 120 hours after treatments. Among them, three EFAMs were showed over 90% of control effects. On the other hand, most of chemical insecticides were showed 100% of control effect against the bean bug at 48 hours after treatment. As mortality effects of EFAMs were sloely observed until 120h after treatment, we must use selected EFAMs at the beginnibgs of occurrence and entrance in the field of green manure for effective control of bean bugs.

Suppression of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on Citrus Leaves Pretreated with Bio-sulfur

  • Shin, Yong Ho;Ko, Eun Ju;Kim, Su Jeong;Hyun, He Nam;Jeun, Yong Chul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417-424
    • /
    • 2019
  •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is one of severe diseases in citrus, a major economic resource in Jeju island. To reduce the usage amount of organic synthetic fungicide, bio-sulfur was tested as an alternative chemical to control citrus melanose in the present study. Direct antifungal activity of bio-sulfur against D. citri was determined through in vitro experiment using artificial nutrient media. Disease severity of melanose on bio-sulfur pretreated citrus leaves was lower than that on untreated ones. To illustrate the mechanism of disease suppression by bio-sulfur, infection structures were observed with a fluorescen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fluorescent microscopic observation, most conidia rarely germinated. In addition, hyphal growth on leaves pretreated with bio-sulfur was inhibited compared to that on untreated ones.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of bio-sulfur pretreated leaves, surfaces of most conidia were shrunk while hyphae were morphologically changed and frequently branched. Such microscopic observations were also found for leaves pretreated with a commercial fungicide Dithian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sulfur may be used to control citrus melanose as an environment friendly alternative to organic synthetic fungicides

남부지역 시설채소 재배 농가의 친환경농자재 사용실태 (The Usage Status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for Vegetable Cultivated under Protected House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이미경;황재문;이서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10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되는 오이, (방울)토마토, 딸기, 가지, 고추, 상추, 깻잎, 파 등 8개 작물에 대해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영남과 호남지역을 대상으로 78개 친환경인증 재배농가에서의 친환경농자재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친환경농자재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병해충예방을 위해 21-87가지, 비료효과를 위해 0-9가지, 생육촉진을 위해 2-41가지, 토양관리를 위해 10-37가지를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조사에서 나타난 323 품목에 이르는 친환경농자재를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구성물질과 유용성을 과학적으로 구명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Soft-Remote-Control System based on EMG Signals for the Intelligent Sweet Home

  • Song, Jae-Hoon;Han, Jeong-Su;Pak, Ji-Woo;Kim, Dae-Jin;Jung, Jin-Woo;Bien, Z. Zenn;Lee, He-Yo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163-1168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soft-remote-control (soft-remocon) system based on EMG signals for the Intelligent Sweet Home. The proposed system is applied to Intelligent Sweet Home which was developed to help the independence living of the elderly and physically handicapped individuals. The goal of proposed system is to control home-install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 air-conditioner, curtain and lamp in Intelligent Sweet Home using EMG signals. Features such as VAR and DAMV having good separability performance are selected for pattern classification. FMMNN is adopted as a pattern classifier. Classification results are allowed to a developed remote control module and then corresponding infrared pulses can operate home-installed electronic devices. We concluded that EMG as an input interface for home-installed electronic devices in Intelligent Sweet Home.

  • PDF

실내조건에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 Coleoptera: Coccinellidae)의 각 발육단계에 친환경농자재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Each Developmental Stages of Harmonia axyridis(Coleoptera: Coccinellidae) in the Laboratory)

  • 강은진;강명기;이희진;이대홍;석희봉;김다아;길미라;서미자;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7-107
    • /
    • 2007
  • 무당벌레(H. axyridis)는 세계적으로 진딧물의 포식자로 널리 알려지면서 농생태계내에서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자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농약의 사용을 억제하는 정부정책과 소비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농업이 확대되면서 친환경농자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자재의 사용은 무당벌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살충성친환경농자재(IEFAMs)의 경우 무당벌레의 각 발육단계에 대하여 대부분 안전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살균성친환경농자재(FEFAM)의 경우에도 FEFAM A를 제외한 다른 종류들은 무당벌레에 대하여 영향이 적다.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EFAMSM)인 EFAMSM C와 H는 무당벌레 알의 부화율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며, EFAMSM A와 F는 1령 유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EFAMPE)는 EFAMPE A와 D는 무당벌레 알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의 다른 조사된 농자재들은 무당벌레에 비교적 독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