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y in Education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4초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엔트리 프로그래밍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Entry Programming to Improve Metacognition)

  • 오소희;김응진;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1-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엔트리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엔트리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그룹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메타인지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은 학생들의 메타인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비교원 컴퓨팅 사고 이해도 분석을 통한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강화 방안 (A Study on Strengthening Software Education Capability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20
  • 세계적으로 교육 분야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W 역량과 컴퓨팅 사고력 관계를 정의한 후,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통해 예비교원 컴퓨팅 사고력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을 받은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SW교육에 대한 태도와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예비교원의 컴퓨팅 사고력 중 추상화, 자료 분석, 자동화에 대한 부분의 개선이 필요함을 보였다. 예비 교원을 교육할 때 SW 개발 도구인 엔트리를 벗어나, 분석과 설계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A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ENTRY SYSTEM USING THE GEOTECHNICAL INVESTIGATION RESULT FORM AND METADATA STANDARDIZATION

  • YongGu Jang;HoYun, K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88-1395
    • /
    • 2009
  • In March 2007, Korea's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MOCT) established "Guidelines on the Computerization and Use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 Results," which took effect as official instructions. The 2007 Geotechnical Information DB Construction Project is underway as a model project for a stable geotechnical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the MOCT guidelines, accompanied by user education on the geotechnical data distribution system. This study introduces a geotechnical data entry system characterized by the standardization of the geotechnical investigation form, the standardization of metadata for creating the geotechnical data to be distributed, and the creation of borehole space data based on the world geodetic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national coordinate system, to define a unified DB structure and the items for the geotechnical data entry system and to computerize the field geotechnical investigation results using the MOCT guidelines. In addition, the present operating status of the geotechnical data entry system and entry data processing statistics are introduc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del project, and the problems of the project are analyzed to suggest improvements. Education 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project for the geotechnical data entry system, which was developed via the standardization of the geotechnical investigation results form and the metadata for institutions showed that most users can use the system easily. There were problems, however,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metadata creation, partial errors in moving to the borehole data window, partial recognition errors in the installation program for different computer operating systems, etc. Especially, the individual standard form usage and the specificity of the person who enters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mong the institutions under MOCT, required partial improvement of the geotechnical data entry system. The problems surfaced from this study will be promptly addressed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geotechnical data DB center in 2008.

  • PDF

신임환경공무원을 위한 환경소양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Cyber In-Service Training Contents Development Regarding Environmental Literacy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 서우석;김수욱;김재호;이윤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25-39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yber in-service training contents regarding environmental literacy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The blended type of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tents analysis of other programs, and expert conferenc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developed was ensured experts in environment.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re is a lack of time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refore, cyber training can be a good solution to the problems with environmental training courses. It improves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provides hands-on experiences through multimedia materials that reflect the real world. Second, direction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ree parts; 1) strategie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2) Model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3) Contents selection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ird, the developed contents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officers consist of 4 domains: (1) the introduction to environment; (2) the natur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3)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nd (4) the soci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Fourth, the program developed was evaluated by 7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10 evaluation items of total contents and contents development structure. In result,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nsured.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PDF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묘사적 글쓰기가 컴퓨팅사고력과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riting to Describe using Block-based Programming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Writing Skills)

  • 서현석;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65-67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인 엔트리를 활용하여 묘사적 글쓰기 활동을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약 1개월 간 강의를 진행하고, 학생들의 글쓰기 인식과 태도, 묘사하기 능력, 컴퓨팅사고력, 학습자 역량 등 교육적 효과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엔트리를 활용한 묘사적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쓰기 인식과 태도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묘사적 글쓰기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고, 묘사 대상을 시선에 따라 묘사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팅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다양한 글쓰기 교육과 그에 따른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공학설계입문 운영사례를 통한 설계과제 평가기준 탐색 (A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of Design Project though a Case Study of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Course)

  • 유경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6호
    • /
    • pp.31-40
    • /
    • 2011
  • This paper explores and proposes the evaluation criteria of design projects in the entry-level design course. In the entry-level engineering design course the students proceeds various design projec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to develop the creativity. The evaluation criteria of design projects is very important component because the outcome of students in the engineering design course are effected from the evaluation criteria that enforces the students to focus on doing their task. According to this case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can be good solution to evaluate the design projects. By the outcome standard of ABEEK on the entry-level engineering design course the evaluation criteria was selected with the results of design projects such as design plan, report, handicrafts, objectives.

엔트리 파이썬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gramming Learning Using Entry Pyth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 정인재;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03-610
    • /
    • 2021
  • 최근 SW교육 방법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모든 실과교과서에서 엔트리 사이트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모두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고 있어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엔트리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을 학습하는 것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프로그래밍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총 8차시의 수업 전과 후 논리적 사고력 검사와 프로그래밍 흥미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수업 전, 후 논리적 사고력 점수가 평균 6.6점에서 9.4점으로 상승하였으며 프로그래밍 흥미도 또한 평균 46.7점에서 59.1점으로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엔트리 파이썬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프로그래밍 흥미도 증진에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중ㆍ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내용 및 성취 목표 선정을 위한 교수분석과 출발점 행동 및 학습자 특성분석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Instructional Analysis and Analysis of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 강여화;양일선;김혜영;이해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64-471
    • /
    • 2004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Web-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did instructional analysis, analysis of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to select instructional content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21, 2002 to October 26, 2002 to a total of 564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and used in our study was 479, which is 84.9% of the total questionnaires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 curriculum analysi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s related with ‘food and nutrition’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study result, lessons including the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were ‘nutrition and meal of adolescent’ in 7th grade, ‘family meal management’ in 9th grade and ‘practice of home life’ in 10th grad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alysis, ‘nutrition’ and ‘food’ were chosen for the superior subj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four subordinate subjects per superior one were developed. Then,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life characteristics, internet usage, anthropometrics data and nutritional knowledg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using computer and preferred passive activity to dynamic ac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ternet usage, WBI for students should composed active parts such as game, moving image, immediate reply and follow-up bye-mail, bulletin board and com- munity activity. Students’ BMI were in normal range but they were lacked nutritional knowledge. We wrote performance objectives that were specific behavior skills to be learn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ust be performed and the criteria for successful performance. The next step for developing the WBI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ould b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교육대학원에서의 인공지능 교과목 운영 사례 (A Cas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73-681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서의 인공지능 교육 과목의 운영사례이다. 교육 과정은 머신러닝의 이해와 실습, 데이터 분석, 엔트리를 이용한 인공지능의 실제, 인공지능과 피지컬 컴퓨팅 등으로 구성되었다. 교육효과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수강생들은 초등학교 현장으로의 적용 용이성과 수업 우선순위로 엔트리 인공지능 블록의 활용, 피지컬 컴퓨팅 도구로써 대장장이 보드의 활용을 선호하였다. 데이터 분석 영역은 수학교과의 데이터와 그래프 교육과의 연계 등에서 그 효과성이 있으며. 피지컬 컴퓨팅 도구로 허스키 렌즈는 고유의 이미지 처리 기능을 활용하면 자율주행차 메이커 교육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인공지능교육으로는 수준별 교육과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교육의 강화 등이 요구되었다.

교육 대학원에서의 인공지능 교육 사례 (A Cas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한규정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401-409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 대학원의 인공 지능 교육 과목의 운영사례이다. 주요 교육내용은 머신러닝의 이해와 실습, 데이터 분석, 엔트리를 이용한 인공지능의 실제, 인공지능과 피지컬 컴퓨팅 등으로 구성되었다. 교육과정 적용후 교육효과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수강생들은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로 엔트리 인공지능 블록의 활용, 피지컬 컴퓨팅 도구로써 대장장이 보드의 활용 등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 분석 영역은 수학교과의 데이터와 그래프 교육과의 연계 등에서 그 효과성이 있으며. 피지컬 컴퓨팅 도구로 허스키 렌즈는 고유의 이미지 처리 기능을 활용하면 자율주행차 메이커 교육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그 외의 바람직한 인공지능교육으로 수준별 교육과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교육의 강화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