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Entry Programming to Improve Metacognition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엔트리 프로그래밍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 오소희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응진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7.07.05
  • Accepted : 2017.08.23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ffects of the software education contents for enhancing metacognition of the cognitive issues that impro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entry programming class using the software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for entry programming. To confirm the changes of two groups, metacognitive post t-test was performed and compared with pre t-test resul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ost t-test showed the following: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for the inte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ming classes using software cont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tacognition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엔트리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엔트리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그룹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메타인지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은 학생들의 메타인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보도자료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3. 소미현.김자미(2017).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으로의 전이.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6), 55-68.
  4.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https://spri.kr
  5. 고은이 (2012).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교육용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이경민 (2015).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서 나타난 메타인지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7.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8. 진화봉.이순아.김회수 (2003).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9(3), 119-148.
  9. 김윤옥 (2014). 초인지진단검사. 서울: 교육과학사.
  10. 안성훈.박혜영.고대곤 (2005).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5(6), 293-300.
  11. 렉스기획팀 (2017). 코딩 스쿨 엔트리. 서울: 렉스미디어닷넷
  12. 김건형 (2001).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과 학업성취도 및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수행 태도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13. Nelson, T. O., & Narens, L. (1994). Why investigate metacognition?.
  14. 전용주 (2017). 새로운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CT-CPS)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5. 서현정 (2017).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의 체험형 스마트교육 콘텐츠 적용 수업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