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ial Education)

  • 조영준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95-10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창업 교육현장에 창업관련 전문가들을 통해 실전창업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어, 이를 통한 대학의 창업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을 유형성, 공감성, 차별성 등으로 3개요소를 설정하였다. 첫째,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셋째, 대학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유형성은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을 위한 편의시설과 좋은 환경구축 보다는 수강생들에 대한 관심과 서비스, 창업에 대한 교육목표 등 창업관련 전문가들의 실전교육이 대학 창업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창업교육 만족도에 대한 요인이 창업의지에 공감성과 차별성이 확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위하여 K공과대학교의 창업 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 조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197-2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만족도 요인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대학의 창업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변수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증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업가정신의 성취욕구와 위험감수성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창업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성취욕구와 위험감수성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기업가정신의 모호성수용에 창업교육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만족도에 대한 요인이 창업의도에 창업전문가들의 교육으로 창업에 대한 자신감과 기업가정신 함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위하여 K공과대학교의 창업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Successful Entrepreneurship

  • Jun-Young Lee;Sung-Ho Bang;K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76-280
    • /
    • 2024
  • Recently, many policies and fairs have been made in relation to start-ups. In addition, various start-up education for prospective start-ups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se day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art-ups who receive such information and start-up education is increasing. Nevertheless, more and more start-ups are still unsuccessful and close their businesses within months or years. In particular, start-ups who continue to maintain their start-ups also see the unfortunate reality of start-ups that find other jobs in various support systems and related policies and relationships that they cannot quit even if they want to.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be set and a questionnaire will be conducted for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have completed education at a startup education center in Seoul. The survey results are intended to verify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will be used for analysis, and a total of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ill be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better th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I think that further developing various policies or detailed curriculum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be of great help to prospective entrepreneurs tak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창업 멘토링 기능이 교육만족과 추천의도 그리고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 배지은;한인수;이필수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2호
    • /
    • pp.25-36
    • /
    • 2017
  • Purpose - Recent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evitalized with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n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that is provided for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start-up success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and as a result increases entrepreneurship.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female entrepreneurs has also increased as the number of entrepreneurial issues has increa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ntoring quality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social, role modeling), educati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to create a theoretical basis for entrepreneurial mentoring educ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model, mentoring quality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such as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social, and role modeling. In order to test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ith SPSS 24.0 and SmartPLS 3.0 statistical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e mode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career development has a strong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nclusions - As women's social advancement becomes more active, start-up support programs including entrepreneurship mentoring are increa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ow to use the mentoring program mix and how to allocate the resources for the education program whe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manager plans and executes the mentoring education program. For example, this study shows that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ing enhanc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 turn increas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means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consist of contents that include career development functions such as sponsorship, guidance, protection, and provision of challenging work.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entors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participants to have confidence and professional thinking ability at the time of start up based on their experiences.

창업교육(Bizcool) 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Bizcool Education Satisfaction to Career Awareness - Focused on the Differences among Students)

  • 문경목;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4호
    • /
    • pp.9-23
    • /
    • 2013
  • 연구는 창업교육 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초 중 고등학교 학생 간 차이에 따른 영향도 함께 분석해 보다 효과적인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창업교육 교육내용 만족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창업교육 교육방법 만족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교육 운영방식 만족도는 진로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창업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인식은 교육수준(학생)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창업교육이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비즈쿨 교육 참여 효과가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학생 간 차이에 따른 진로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 학생 간 차이를 대상으로 교육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운영방식 등에 대한 좀 더 구체화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동기식 온라인창업교육의 학습자만족 모델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Learner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변영조;이상한;김재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9-135
    • /
    • 2020
  • Owing to pandemic (COVID-19), the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education methods. Using a real time-based video conference system, synchronous education can be adopted by face-to-face class easily.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uthors collected data from learners taking a synchronous entrepreneurship course. Through previous research, learned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essons. Spatiotemporal effectiveness, mentor abi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PLS-SEM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only spatiotemporal effects affect learner satisfaction. However, the education environment (fluent operation and convenience of function use of real-time based online conference system) effect teaching presence, class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effects.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pport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er activities, proper lesson structure, convenient function of the conference system, and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developing synchronous online classes.

참여동기와 창업멘토링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67-277
    • /
    • 2020
  •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규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적용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정부에서도'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과 같은 다양한 체험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국 대학의 창업 동아리를 대상으로 창업멘토링 등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창업멘토링 기능,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참여동기와 멘토역량은 창업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참여동기와 멘토링 기능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양적으로 확대되어지고 있는 대학 내 창업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체험적 교수방법의 확대와 창업멘토링 등 창업교육의 질적 효과 창출에 대한 다양한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창업멘토링을 수행하는 창업멘토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간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 창업영재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 Focusing on the Founding Bizcool Startup Camp Program -)

  • 노현철;김경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3호
    • /
    • pp.51-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창업영재캠프를 중심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함양수준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 수준이 진로인식의 변화에 어떤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및 진로교육을 위한 상호 연계 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기업가정신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기업가정신 변화차이 등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의 모든 요소가 진로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전과 후의 변화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정(+)의 유의한 변화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있어 보다 학생의 참여와 체험중심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부처 내에 기업가정신 교육 협의체 등을 다양한 이해관계가자 참여하여 조정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및 기업가정신 교육, 진로교육이 종합적으로 연계 운영될 경우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창업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 백민정;강경균;윤은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32-54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창업 교육을 위해 교사들의 창업 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위해 전문가들의 검토와 자문을 받았다. 또한, 교사를 위한 창업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창업교육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창업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위하여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은 온라인 교육 4시간, 오프라인 교육 26시간으로 총 30시간의 창업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창업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 검증 및 적용 효과를 위하여 창업 교육 역량 강화 연수에 참여한 교사 88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 '교육과정 편성의 적합도(M=4.58)', '수업 내용의 유익함(M=4.67)'으로 프로그램 및 교육 내용에 대하여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창업교육 수강의지에 대한 연구 : 이공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areer Reasons Affecting on the Desir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Focus o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

  • 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9-128
    • /
    • 2015
  • 우리나라는 현재 창조경제를 화두로 창업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자리잡아가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취업에 대한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지금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다양한 창업관련 교육기회의 증가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진로선택의 한 부분으로써 창업을 선택하고 있다. 이렇게 증가하고 있는 창업이 한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창업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위해 창업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진로 선택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창업교육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와 스스로의 목표에 따라 창업 강좌 및 교육에 대한 욕구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와 지속적인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창업교육의 지속적인 수강의지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대학의 이공계학생 1,651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 중 자아실현, 혁신성, 롤모델 추구 및 독립성과 같은 내재적인 요인들은 창업교육에 대한 만족과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창업교육의 만족도는 향후 창업강좌 및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수강의지와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진로 선택의 한 부분으로 창업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재 학생들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창업교육으로의 유입이 필요한데 이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의 가치에 대한 내재적인 요인들을 강화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에서 나온 시사점을 바탕으로 더욱 많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창업교육에 참여시키기 위한 방법에 적용을 하고 이를 통해 향후 좀 더 성공적인 창업가들의 탄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