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major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초

비전공자 대상 인공지능 체험교육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 Education Class for Non-Majors)

  • 피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29-538
    • /
    • 2023
  • 보편적 인공지능교육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직무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인공지능을 직무의 일부분으로 경험하게 되는 대학의 비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양교육에 대한 연구 및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비전공자 대상 인공지능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만 주로 인공지능의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론 중심의 교육으로 운영되고 있다. 비전공자 대상 인공지능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체험학습을 병행하여 진행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전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에 흥미를 갖고, 인공지능 수업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는 난이도의 인공지능 체험교육 학습콘텐츠를 설계한 후 앱인벤터와 오렌지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체험 교육의 학습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팀 별 인공지능 관련 프로젝트 작성을 통해 수집된 학습관련 데이터와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인공지능 리터러시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에게는 인공지능 체험교육 학습을 위한 학습모형을 설계하는 데 기틀을 마련해 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진즈[Jeans]의 가공[Finishing]에 따른 이미지 평가 연구 -미국 L. A. 거주 대학생을 중심으로- (Research about Image Evaluations from Jeans' Finishing -Focus on Undergraduate Students in Los Angeles of the USA-)

  • 이미연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8-32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image evaluations by perceiver's gender, majors and jeans' finishing and to examine image characteristics that have an influence on attractiveness and preferences of jeans' finishing. The subjects are 96 undergraduate students in Los Angeles of the USA. Elegant and refined images had a significant effort on perceiver's gender, so men tended to highly evaluate jeans as elegant and refined images than did women. Soft images were recognized differently by perceiver's major, so non-specialists in design tended to highly evaluate jeans as soft images than did specialists in design. In finishing, shattered wash was evaluated as the most individual, attractive, energetic, and splendid images, and stone wash was evaluated as the most ordinary, unattractive, and plain images. Light images tended to have interaction effects by majors and finishing. Specialists in design did not perceive differences between light images from finishing well, but non-specialists in design perceived that stone wash finishing's image is lighter than indigo blue finishing's image. Sociable images had interaction effects by perceiver's gender, majors and jeans' finishing, and especially non-specialists in men estimated that shattered wash has the lowest sociable images in finishing. According to evaluations about finishing images of ladies' jeans, men tended to be attracted by splendid images, and women tended to be attracted by sexy images. In addition, both men and women were commonly attracted by feminine images, so the study found that feminine images is important image for developing jeans for ladies. According to evaluations about finishing images of ladies' jeans, men preferred sexy and natural images to comfortable and energetic images, and women preferred sexy and neat images.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USA tended to be attracted by sexy images, and we found that actually they consider buying jeans with such images.

표준분류에 기준한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제4차 산업혁명중심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Oriented Curriculum of the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Based on the Standard Classification)

  • 최진일;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87-592
    • /
    • 2020
  •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핵심 IT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대학교육협의회 표준분류위원회의 대학교육 편제단위 표준분류에 따라 응용 소프트웨어와 컴퓨터과학 및 컴퓨터공학으로 분류 된 158개 전공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해당 학과의 교육내용 중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그리고 정보보안의 분야로 구분한 교과과정의 도입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각 교육과정 군에 대해 평균 81.6%의 전공이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편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분야별 트랙 운영 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전공별 4차산업혁명 대응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27.5로 나타났으며, 사물인터넷 및 모바일 분야가 42.3점으로 가정 높게 나타났다.

정보통신 분야 전공탐색을 위한 고교-대학간 연계 R&E 모델 및 사례연구 (An R&E Model between University and High School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Major Introduction and its Case Study)

  • 이강;김경미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3호
    • /
    • pp.336-345
    • /
    • 2016
  • 정보통신공학 분야는 국내 고교교육 과정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이 이 분야의 내용과 진로를 알기 어렵고 관심이 부족하게 된다. 이 문제는 대학의 정보통신분야 학과들의 우수 신입생 유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완화할 목적으로 대학과 고교 간의 새로운 진로연계형 R&E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H대학과 P고교 간에 이루어진 최근 3년간 R&E (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소개한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고등학생들에게 정보통신공학 분야 문제의 설계 및 개발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매개로 하여 정보통신분야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간단히 확인하고자 3년간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설문 조사와 일부의 인터뷰를 분석결과에 의하면, 76%의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통신공학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고 응답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우수 이공 인재들이 정보통신 분야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연계형 R&E 모델을 정보통신분야에서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외식조리전공의 학문분류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earning Classifications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jors)

  • 한경수;신선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67-38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조리전공의 국내 학문분류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 및 국외 학문분류체계를 비교하는데 있다. 국내 외 비교는 외식산업 경영 학문에 초점을 맞춰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차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 유용한 내용분석 방법이 적용되어 국내의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한국과학재단, 국외의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과 오라클사(Oracle Corporation), 캐나다의 NSERC(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Council),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식조리 관련전공의 국내의 분류체계는 단계별 계층적 차이에 근거하여 명시되어 있었고, 국외는 대등한 조건의 명칭적 분류로 명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외식조리 관련 전공의 효과적인 학문적 분류를 위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 PDF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공계 대학생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Views of College Students in STEM Field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 고연주;심성옥;황요한;최유현;옥승용;남창훈;이현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42-56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iews of STEM college student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A total of 660 students in STEM majors at several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ssessed social respons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STEM majors using the VSRoSE scale, which taps into eight different domains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ern for human welfare and safety (HUMAN), Concern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NVIR),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needs and demands (NEEDS), Pursuit of the common good (COMGOOD), Civic engagement and services (CIVIC),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COMMU), and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POLICY). Group differences in social responsibility by gender, majors, and years in school were examined. Mean scores in HUMAN, ENVIR, and CONSEQ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NEEDS, COMGOOD, CIVIC, COMMU, and POLICY.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ive different groups with similar patterns of social responsibility scores. In addition to two groups with overall high and low scores across all eight factors of VSRoSE, three additional group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high and low scores in different factor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low social responsibility are not homogeneous and these heterogeneous sub-groups of students will need tailored interventions highlighting differen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they lack. Pedagogical implica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were discussed.

코로나19 펜데믹 전후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제4차 산업혁명중심 교과과정 변화 분석 (Analyzes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 최진일;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25-632
    • /
    • 2024
  •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핵심 ICT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코로나19 펜데믹 전후의 교과과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육 편제단위 표준분류에 따라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전산학·컴퓨터공학, 그리고 인공지능공학으로 분류된 172개 전공을 대상으로, 2023학년도와 2019학년도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도입된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그리고 정보보안의 분야의 교과과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교육과정 군에 대해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관련 교과과정 도입이 약2.6%p 증가(2023 84.2%, 2019 81.6%)하였으며, 교육영역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4차산업혁명 대응지수(100점 만점)는 9.5점 상승(2023 37.0점, 2019 27.5점)하였으며, 이는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분야의 교과 개설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영분석 업무에 종사하는 비 기술기반 전공자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 교육과정 제안 (Proposal of Big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echnique Curriculum for Non-Technical Majors in Business Management Analysis)

  • 홍필태;우종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39
    • /
    • 2020
  • 빅데이터 분석은 경영 및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분석되고 사용되고 있으며, 경영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분석 업무에 종사하는 빅데이터 분석 직무자의 직무능력은 반드시 미시적인 IT 기술 습득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Data Scientist로서 다양한 경험과 인문학적 지식과 분석력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기반으로 하는 국공립 교육기관 및 직무교육기관의 빅데이터 교육은 소프트웨어 공학적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 방법론은 비 기술기반 전공자에게는 어렵고,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의 빅데이터 플렛폼과 그와 관련된 기술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현장 직무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직무능력 요구수준이 무엇인지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비 기술기반 전공자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특화된 본 교육과정을 경영현장에서 경영분석에 종사하는 금융기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Pilot test를 실시한 결과 좀 더 개선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교육방법은 산업전반에서 효율적으로 빅데이터 직무 수행과, 비 기술기반 전공 직무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교육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전공결정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Major for High Achievement Students in High School)

  • 김은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80-86
    • /
    • 2010
  • 본 연구는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들의 희망전공 결정 현황과 학생이 인식하는 전공결정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공결정에 관한 질문지를 14개 고등학교 학생 1000여명에게 실시하였고, 수거된 응답 중에서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 6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2학년에 희망전공을 결정한 비율이 80% 이상으로 3학년과 차이가 없었으며,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학을 전공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았다. 셋째, 학생들의 전공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본인의 학문적 흥미와 적성이었고, 이는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보다 공학계열과 이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과 이학에 대한 학문적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의학계열에 대한 선호도 현상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 PDF

교양 컴퓨팅 사고력 과목의 학습자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ARCS 모델의 적용 및 효과 분석 (Application and Effect Analysis of ARCS Model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in Liberal Computational Thinking Subjects)

  • 전수진;신좌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59-26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ARCS 모형을 적용한 컴퓨팅 사고력 수업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교육과 ARCS 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ARCS의 각 동기요소(주의집중(A), 관련성(R), 자신감(C), 만족감(S))에 따른 세부 수업 전략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ARCS 모델을 적용한 실험반과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반의 학습동기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반의 학생들이 컴퓨팅 사고력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전공 관련 학생들의 학습 동기는 비교반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학생들은 관련성(R) 영역이, 비전공 학생들은 만족감(S)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효과적인 교양 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수업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