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bout Image Evaluations from Jeans' Finishing -Focus on Undergraduate Students in Los Angeles of the USA-

진즈[Jeans]의 가공[Finishing]에 따른 이미지 평가 연구 -미국 L. A. 거주 대학생을 중심으로-

  • Lee, Mi-Yeon (Dept. of Fashion Design & Textile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이미연 (청운대학교 패션디자인섬유공학과)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image evaluations by perceiver's gender, majors and jeans' finishing and to examine image characteristics that have an influence on attractiveness and preferences of jeans' finishing. The subjects are 96 undergraduate students in Los Angeles of the USA. Elegant and refined images had a significant effort on perceiver's gender, so men tended to highly evaluate jeans as elegant and refined images than did women. Soft images were recognized differently by perceiver's major, so non-specialists in design tended to highly evaluate jeans as soft images than did specialists in design. In finishing, shattered wash was evaluated as the most individual, attractive, energetic, and splendid images, and stone wash was evaluated as the most ordinary, unattractive, and plain images. Light images tended to have interaction effects by majors and finishing. Specialists in design did not perceive differences between light images from finishing well, but non-specialists in design perceived that stone wash finishing's image is lighter than indigo blue finishing's image. Sociable images had interaction effects by perceiver's gender, majors and jeans' finishing, and especially non-specialists in men estimated that shattered wash has the lowest sociable images in finishing. According to evaluations about finishing images of ladies' jeans, men tended to be attracted by splendid images, and women tended to be attracted by sexy images. In addition, both men and women were commonly attracted by feminine images, so the study found that feminine images is important image for developing jeans for ladies. According to evaluations about finishing images of ladies' jeans, men preferred sexy and natural images to comfortable and energetic images, and women preferred sexy and neat images.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USA tended to be attracted by sexy images, and we found that actually they consider buying jeans with such images.

Keywords

References

  1. 박성희 (2004, 9. 19), 청바지-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market.hankyung.com
  2. Workman, J. E. (1988). Trait Inferences Based on Perceived Ownership of Designer, Brand Name, or Store Brand Jean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2), pp. 23-29 https://doi.org/10.1177/0887302X8800600204
  3. 고애란 (1994). 국내 빚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 에 따른 평가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 이미지 및 의 복태도의 차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263-272
  4. 전경숙 (1996) 미국산 청바지 구매에 관한 소비자 태도 분석. 복식, 28, pp. 225-237
  5. 이주영, 이선재 (1996), 신세대 여성의 진바지 착용태 도와 정보윈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 (2), pp. 336-349
  6. 홍희숙 (1999), 진 의류광고의 에로티시즘과 매력성 지 각 수준에 따른 광고 선호도 및 광고 제품 구매의도의 차이. 복식, 42, pp. 113-125
  7. 김칠순, 이훈자 (1999), IMF 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 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이미지를 중심으 로한 진의류 시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3(3), pp. 447-458
  8. 윤지현, 서미아 (2000).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진바지 구매행동 연구. 서울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 의류학회지, 50(7), pp. 219-233
  9. 박원선, 이선재 (1999) 청바지의 착용태도 및 구매행동에 관한 마케팅적 연구. 복식, 43, pp. 109-124
  10. 노은희, 황춘섭 (1999). 진의류의 상표충성도에 따른 점포선택행동과 정보원 사용의 차이. 복식, 49, pp. 125-136
  11. 곽영식, 이진화 (2002). 청바지 제품 세분시장 내 가 격-품질 평가집단 추출에 관한 연구. 결합분석과 mixture model를 이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6(11), pp. 1605-1614
  12. 박혜정, 신은주, 정혜영 (2004). 대학생의 의류쇼핑성 향과 청바지 구매시 점포선택. 한국의류학회지, 28 (5), pp. 547-558
  13. 엄선주 (1994). 상표를 활용한 진의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장안화 (1998). 진즈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홍 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선희, 이정란 (2003). 청바지 패턴 및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pp. 1048-1059
  16. 이창미, 김태규, 권오경 (1998) 진바지의 착용 후 부 위별 피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2), pp. 257-266
  17. DeLong. M., Koh, A., Nelson, N. & Ingvoldstad, A. (1998). Jean: A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mean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3). pp. 116-125 https://doi.org/10.1177/0887302X9801600302
  18. Lee, M. Y. & Lee, M. H. (2002). A Study on Trends of Women's Jean Pants: Focus on Jean Pants in the American Online Shop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2(Dec.), pp. 103- 115
  19. 김민정, 채금석 (2002). 진즈패션의 상징성 연구. 해 외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52(7). pp. 155-166
  20. 이효진 (2004) 데님의상의 현대문화사적 분석. 한국 의류학회지, 54(8), pp. 75-86
  21. 조규화, 구인숙, 금기숙 (1995) 복식사전. 서울. 경춘 사, p. 481
  22. 김종학. 150 년 리바이스 진 패션 변천사. 엠파스 자료 검색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www.epressroom. co.kr
  23. 신혜원, 유효선 (1997) 청바지의 세탁가공에 관한 연 구(1): 세탁가공의 종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1(2), pp. 471-481
  24. Basf(2003, 7. 16). 패션청바지에서 발견된 작은 기적 엠파스, 자료검색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www. basf-korea.co.kr
  25. Fashion(2004, 10. 8). 2005 SIS Men's Collection 엠파스. 자료검색 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blog empas.com
  26. KTnews 기자 (2001, 10. 11). 이랜드, '쉐인진즈' 숨쉬 는 청바지 개발 한국섬유신문 자료검색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www.ktnews.com
  27. 김종학 (2003, 8. 4). 리바이스 F/W 시즌 Finishing 엠파스. 자료검색 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www. search.empas.com
  28. 유수연 (2003, 1. 23). 포화상태에 빠진 진즈시장. 한국섬유신문, 자료검색일 2005, 8. 8, 자료출처 http://www.ktnews.com
  29. Davis, M. L. (1987). Visual Design in Dres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30. 추선형, 김영인 (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pp. 193-204 에 서 재인용
  31. 김공주 편 (1996). 색채과학 서울: 대광서림, pp. 110, 119, 121
  32. 조필교, 조혜민 (1988). 패션디자인과 색채. 서울. 전 원문화사, p. 79
  33.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톤 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3/4), pp 395-406
  34. 이호정 (1997). 복식디자인 기성복 디자인에의 어프 로치. 서울 교학연구사, p. 105
  35. 권은주 (1989). 이미지 전달요소로서 Texture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김희정, 이경희(1993) 의복자극물과 제시방법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7(3), pp. 428-435
  37. 이미연, 이명희 (2002).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제 2보) : 소재, 소 매와 장식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8), pp. 1217-1227
  38. 노의경, 유효선 (2003). 면직물의 구성특성이 시각적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이미지 스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03 제 27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p. 46
  39. 오승희 (1992). 의상에 나타난 무늬가 인간정서에 미치는 영항: 추상적 문양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40.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직물의 시각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42.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82
  43. 김인숙, 신소진 (1994). 선체노출을 달리한 남성 케주 얼 복장에 대한 남 . 녀 대학생의 인상형성. 한국의류 학회지, 18(4), pp. 501-514
  44. Lubner-Rupert, J. A. & Winakor, G(1985). Male and female style preference and perceived fashion risk.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3, pp 265-266
  45. 이현화, 박찬부 (1998). 의복단서, 지각자 변인이 여자 한복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II) : 지각자 변인을 중심으로. 복식, 37, pp. 119-132
  46. 이경희 (1991). 의복형태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 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성수광 (1997), 의류학개론 서울- 교문사, p. 22
  48.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57
  49. 김민정, 채금석 (2002). 진즈패션의 상징성 연구: 해 외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복식, 52(7), pp 155-166
  50. 질 리포베츠키 저, 이득재 역 (1999) 패션의 제국(제 1 판). 서울: 문예출판사. p. 158
  51. 김민정, 채금석 (2002) 진즈패션의 상징성 연구: 해외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심으로. 복식, 52(7), pp. 160-161 에 서 재인용
  52. 김미수, 이경희 (1995). 진의류의 製品知覺에 관한 考察, 한국의류학회지, 19(1), pp. 19(1), 233-35
  53. 이미연, 이명희 (2000).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제1보) : 실루엣과 네크라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724-735
  54. 채서일, 김범종 (1988). SPSS/PC +를 이용한 통계분 석. 서울: 법문사. p.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