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Major for High Achievement Students in High School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전공결정 영향요인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11.1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a major in a sample of 655 science students enrolled in 14 high school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80 percents of students had already chosen their desired majors by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Half intended to apply for medical colleges. The preference of medical colleges was more pronounced in high-ranking student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scored highly on career decision level assessments were more likely to major in scienc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students in choosing majors was subject interests. Career concerns and students' grades also influenced the choice of majors. In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and subject interests influenced their choice of major. These findings suggest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efforts to expose students to various career paths will increase the ability to make informed educational decisions.

본 연구는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들의 희망전공 결정 현황과 학생이 인식하는 전공결정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공결정에 관한 질문지를 14개 고등학교 학생 1000여명에게 실시하였고, 수거된 응답 중에서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 6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2학년에 희망전공을 결정한 비율이 80% 이상으로 3학년과 차이가 없었으며,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학을 전공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았다. 셋째, 학생들의 전공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본인의 학문적 흥미와 적성이었고, 이는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보다 공학계열과 이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과 이학에 대한 학문적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의학계열에 대한 선호도 현상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2. 김영경 (2008).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 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91-1210.
  3. 김재원 (1990).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전망과 전공학과 선택의 중요성. 교육개발, 66: 4-10.
  4. 신희경, 이종승(2006). 학과 선택의 내적 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이 대학 만족도 및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제2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교육고용패널/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오재림(2002). 미국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전공선택과 변경의 유형에 관한 연구.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1): 37-54.
  6. 유계식, 이재창 (1997). 대학생의 성공공포와 성취동기 및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259- 288.
  7. 이경희, 권준모 (1996). 대학생의 전공선택 자율성과 대학 생활.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95-112.
  8. 이명애(2007). 학부제에서의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 교육평가연구, 20(3): 81-101.
  9. 이성식 (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 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수영, 이영민 (2009).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3-78.
  11. 임언, 손유미 (2000). 실업계 고등학교 전공학과 선택을 위한 검사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정욱 (2006). 핵심인력의 해외유출. 직업과 인력개발, 9(2): 32-37.
  13. 황여정(2006).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제2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교육고용패널/한 국직업능력개발원.
  14. Beggs, J. M., Bantham, J. H., & Taylor, S.(2008). Distinguish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choice of major. College Student Journal, 42(2): 381-394.
  15. Germeijs, V., & Verschueren, K. (2005)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 longitudinal study of one choi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2): 189-204.
  16. Harren, V. H.(1984).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
  17. Krumboltz, J. D., Sherba, D. S., Hamel, D. A., & Mitchell, I. K. (1982). Effect of training in ration decision making on the quality of simulated career 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6): 618-625.
  18. Osipow, S. H., & Fitzgerald, L. F.(1996).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4th Ed). Needham Heights, Massachusetts, Allyn & Bacon.
  19.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2008)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available online at www. nsf.gov/statistics/seind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