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Practice

검색결과 2,827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면 환경에서 제품자료관리 시스템 기반 협동제품개발 실습과제 운영 사례 (Case of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based on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 도남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46-54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non-face-to-face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that can respond to the spread of COVID-19 by expanding existing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based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For the complete non-face-to-fac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it utilized prototype development using a 3D paper model, an online class management system and social media for classes and meeting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non-face-to-face method, product developments of 26 practice teams have been completed without any failure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can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mplete non-face-to-face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practice based on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s.

제3종 시설물 지정 업무 담당자의 지식과 태도가 업무 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nowledge and Attitude of Class-III Facility Designator on Work Practice)

  • 임창우;정현지;신승현;원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5-26
    • /
    • 2023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person in charge of designating a Class III facility was analyzed to improve its practice. As a field of knowledge, system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were considered, and attitude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A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ractice in designating the Class III facility were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of knowledge and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in the field of attitudes.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were the two factors that most influenced the practice of designating a Class III facility. It is though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e greater the ability to practice designating the Class III facil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fluencing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were analyzed by safety inspection.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초임 교사의 인식 (The No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 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72-79
    • /
    • 2010
  • 공업에 관한 전문교과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 교육을 담당하는 공업계 교사를 양성하는 공업교원양성교육은 보통교과 교원양성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대학에서 공업교육양성교육의 기억이 비교적 뚜렷하고 현직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교직 경험이 3년 이내인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공업교원양성교육은 사범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부전공 및 복수전공을 통하여 교원자격을 취득하거나, 공과대학 등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 등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은 공업계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많은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실습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과대학의 교직과정 이수에서의 좋은 수업은 소수의 교직이수자를 배려한 공학 전공 수업, 교과목에 타당한 교직과목 수업,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교육 등이 좋은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좋은 수업이란 학부 전공이 다른 학생들의 전공을 고려한 수업, 교원임용고사에 도움이 되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실습 위주의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 PDF

비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실습활동의 사례- '기초전기회로 및 실습' 교과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Online Practice Activities in Non-face-to-face Class -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and Lab' Course)

  • 한안나;이호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2-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operate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m. To this end, afte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for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activities in the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and Lab' cours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47 learners were analyzed, and the group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Kruskal-Wallis 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 were positive in terms of learning effect, learning convenience,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e-to-face/non-face-to-face preference method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that preferred non-face-to-face class in terms of learning convenience,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s for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learners, the group who answered the question showed a higher awareness of the learning convenience and interaction than the group that did not.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for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es were presented.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실행능력에 대한 공학 교수자들의 인식 및 교수활동 실태 (Engineering Professors' Perceptions on the Key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and Their Instructional Practice)

  • 장지영;이현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3-1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ngineering professors' perceptions on the key competencies for engineering students (i.e. creativity, problem solving, designing, field application, etc.) and their instructional efforts to promote the competencies.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to what extent engineering professors perceived the key competencies as the important qualification that engineering students should obtain in college, 2) to what extent the professors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promote such competencies in their teaching, and 3) how their perceptions on the key competencies correlated with their instructional practice. Two hundred fifteen engineering professors affiliated to diverse field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filled out 5 point-Likert scale survey items. In results, despite of some range of variation on their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fields, most of the engineering professors highly valued the four key competencies. However, compared to the perceptions, engineering professors in some engineering fields relatively less focused on promoting the competencies in their teaching practice.

건설사업 성공을 위한 발주자 리더십과 베스트 프랙티스 관계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Construction Client's Leadership and Best Practice for Project Success Empirical Finding from Best Practice Cases)

  • 오영섭;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6-219
    • /
    • 2004
  • 건설사업의 핵심 주체는 크게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발주자는 건설 프로젝트를 생성시키는 주체이며 건설사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 역시 궁극적으로는 발주자에 의해 결정된다. 팀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건설사업의 성격 상, 발주자의 다양한 역할 중 리더십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프로젝트의 다양한 성공 사례 중 발주자의 리더십이 프로젝트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된 사례를 중심으로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Blest Practice를 분석함으로서 발주자 리더십과 Beest Practice와의 관계를 발굴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발주자 리더십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발주자의 Best Practice 실천을 위한 주요 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산업체 PBL기반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모형 연구: 경북지역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 Problem Based Professional Practice Model: Based on Gyeongbuk K University Case Study)

  • 이석문;조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3-100
    • /
    • 2020
  • 현장실습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향상을 위해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의 비중을 낮추고 장기현장실습(12주이상)을 높이는 노력이 대학 현장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단기 및 중기현장실습의 전공과 연계된 체계적이고 특화된 현장실습 교육커리큘럼 부재와 대학의 현장실습 참여도가 증가할수록 기업들은 현장실습 참여를 선호하지 않고 학생들은 전공수업 부담으로 장기현장실습 참여를 주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문제를 현장실습 참여학생들이 현장실습 기간 동안 직접 해결하되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관련분야 전공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를 경북지역 K대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한다. 참여기업과 win-win 현장실습 문화 구축을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가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actice Stress on Practice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김미자;오현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2
    • /
    • 2023
  • 본 연구는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4학년 간호학생 237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실습만족도(r=.2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실습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연계 교육(r=-.13, p<.05)과 음의 상관관계, 의료진과의 갈등(r=.18, p<.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실습스트레스는 실습만족도(r=-.28,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간호학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 모델(β=-.43, p<.001), 의사소통능력(β=.23, p<.001), 전공만족도(β=.21, p<.01), 연계 교육(β=.20, p<.05)이었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간호학생의 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습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델, 연계교육과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Practice of Design Curriculum Aimed for High Attainment Level of Creativity and Perfection

  • Yagi, Hidetsugu;Arimitsu, Yutaka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70-73
    • /
    • 2010
  • The practice named "Creative Design and Production" has been given to train the students'ability to find and solve problems. Students are expected to design and fabricate creative artifacts in the practice. The practices focusing on perfection and creativity of the products have been executed for the past few years. We have review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abilities and the qualities of products of the students in the practices. It seems that the products lacks of originality and creativity when focused on the perfection. And on the contrary, the perfection of the products is low when focused on the creativity. We have employed the new three trial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e practice. Among trials, the cooperation with veterans has been the most useful for students through "Creative Design and Production".

  • PDF

공학전공기초실습에 플립러닝 적용사례 (Case Study of Flipped-learning on a Basic Engineering Practice)

  • 허준영;한수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83-89
    • /
    • 2016
  • 플립러닝은 공학적 원리 등 이론적 측면에 대한 개인 학습차가 있더라도 학습자 중심의 실제 문제해결 및 실습 등을 가능하게 하는 틀로서 공학교육의 심화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유공압기초실습은 공과대학 기계계열 교과과정에서 1학년 학생들이 처음 접하게 되는 실습 교과목으로 공압기기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자동화의 근간이 되는 전기시퀀스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기본회로를 실습을 통하여 익힘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과목은 전공과목의 입문에 해당하고 학생들은 전공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이므로 관련 전공지식을 모두 설명해야 하고, 또 실습에 필요한 지식도 설명해야 하므로 기존의 오프라인으로만 이루어지던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실습할 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 전공 기초실습 교과목인 '유공압기초실습' 교과목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코리아텍(KOREATECH:한국기술교육대학교) 플립러닝 기본모형'에 따라 교수설계를 하여 플립러닝 교과목으로 개발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한 학기동안 수업을 실시한 후 수강생의 설문조사와 취득성적 등을 통해 플립러닝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