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3초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Engineering Educations for Creativity and Design in Mind at HIU)

  • 한병기;지해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19-27
    • /
    • 2006
  • 2000년대에 들어와 교육 현장에서는 국가발전의 주요한 원동력 중 하나인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학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한국공학인증체계(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가 마련되어 생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자격기준을 제시하여 이를 충족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홍익대학교의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에서의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교육 체계와 그 수행방법을 다루고 있다. 디자인 및 창의적 설계 교육은 10여년전부터 홍익대학교 공학교육의 중심개념으로서 꾸준히 실행되어왔으며 본문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관련 교과목체계의 정립과 본교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교육 특성화 목표를 소개한다.

국내·외 대학 화학공학 유관학과 교육과정 분석 (A Study on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Chemical Engineering Programs)

  • 황주영;이규녀;이광복;한수경;이영우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53-6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in the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and to draw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universities (including non-certified universities) have curricula organized within the scope of the ABEEK certification, which is the minimum standard guide for chemical engineering curricula. However, we are concerned that chemical engineering education in some domestic universities may lack in education quality and program relevance. Graduates from these universities may not have equivalent qualifications as international graduates. It is considered that most of the 12 domestic universities organize their subjects according to the certificate of accreditation standard and to the traditional subjects of chemistry in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or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verlapping subjects with other majors because of the movement towards academic diversity, the integrity of the chemical engineering curricula is at risk. In addition, after surveying the major and research areas of the department professor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ors who have majored in chemical engineering.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students may lack understanding of the core principles of chemical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urricula of overseas research universities (including non-certified universitie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chemical engineering industry in developed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s advancing and changing very quickly, the chemical engineering education in these countries is highly focused on traditional subjects and other related subjects in order to cultivate traditionally trained chemical engineers.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t overseas universities still maintains the academic integrity of the chemical engineering field. This is a significant suggestion for our country. On the other hand, domestic universities are changing the name of their chemical engineering major, or even if the name is maintained, they are fusing their curriculum with other majors such as material engineering.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at this point to start a discussion regarding the integrity of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in Korea. We hope that the departments of chemical engineering in domestic universities maintain the integrity of traditional chemical engineering while operating the curriculum within the scope of the standards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공학인 대상 ${\ll}$공적 말하기${\gg}$ 교육의 만족도와 학습자 요구 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ers' Needs Towards ${\ll}$Public Speaking${\gg}$ Cours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47-5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ducation effects of program for engineering students and extract the essential components to be included in the learning contents. For this, we investigated the lecture contents critically and analyzed the evaluation result of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ers' need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course. The survey using two types of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with 210 junior and senior students taking lectures of ${\ll}$Presentation and Debate Skills${\gg}$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speech education's effects concerning (1) verbal components, (2) non-verbal components, (3) problem solving competence, (4) teamwork skills, etc. On the other side there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in the ${\ll}$Presentation and Debate Skills${\gg}$ class, such as (1) a large number of assignments, (2) insufficiency of more refined evaluation method for the individuals and (3) a well-balanced arrangement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as needed. However more importantly, the individual students can not do practice sufficiently owing to the large scale of class. Therefore the various and effective way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have to be developed further. Finally, there have been extracted several essential components to be included in the class and implications for ameliorating the clas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in detail.

영남대학교 리더십 학습성과 교육 CQI 방안에 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for Leadership Outcomes Education in Yeungnam University)

  • 편경희;송동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64-72
    • /
    • 2009
  •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습성과 중 리더십 교육과 관련한 CQI 방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리더십 교육과 관련된 영남대학교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리더십 교육과 관련된 영남대학교의 교과 및 교과 외 교육과정 분석, 리더십 교육 CQI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및 유관 기관 실무자 포커스그룹 면담이 실시되었다. 또한 리더십 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리더십 역량진단, 리더십 교육 수요 조사, 캠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리더십 캠프진행을 주관한 데일 카네기 연구소 대구지부의 전문 강사들과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고 캠프 기간 동안 비참여관찰법을 통한 내용분석과 질적 면접이 병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준의 수학능력 향상방안과 심리적 차원의 역량강화 방안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지방대학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외국어 능력 향상과 자신감 및 비전 수립을 위한 교육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일회성의 단기 리더십 세미나 및 팀 티칭 형태의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 설계교과목 이수체계도를 활용한 중장기 교육계획 수립 및 리더십 캠프 참가 경험이 있는 학생과 차기 캠프 참가자들간의 멘토-멘티제 운영이 고려될 수 있다. 셋째, 리더십 교육에 역점을 두는 전공, 학과 및 교내외 유관기관 관계자들로 구성된 리더십 교육 자문위원회를 구성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리더십 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Changes in the Optogalvanic Signal Amplitude in a Hollow Cathode Discharge

  • Lee, Jun-Hoi;Koo, Kyung-Wan;Lee, Ki-Sik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0권6호
    • /
    • pp.212-216
    • /
    • 2009
  •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optogalvanic (OG) signal in argon at the 801.489 nm ($1s_5-2p_8$ transition at the metastable level in Paschen not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a hollow cathode discharge tub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OG signal amplitude de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first, the level of discharge current and second, the distance from the cathode dark space. These results can be quantified by analyzing the electron density profile along the discharge regions, which can directly influence the collisional ionization induced by electron impact.

공과대학생의 사고양식 탐색 (Exploration on Thinking Styles in Engineering Students)

  • 윤경미;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5호
    • /
    • pp.14-22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students' thinking styles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For thi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of thinking style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majors and gender. 'Thinking styles', one individual-difference variable, has received particular attention in recent years. Styles are not abilities but rather refer to individuals' preferred way of applying their abilities in cognitive tasks(Sternberg, 1988). There has been much research(domestic and foreign) about thinking styles and their related factors.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gineering students' thinking styles, and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m together with undergraduate students' of various majo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65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and thinking styles have been measured online.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thinking styles by majors. Engineering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external styl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scored higher in executive, hierarchical and conservative styles, and students majoring in arts scored higher in legislative, internal and liberal styl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thinking styles by gender. 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in judicial, global and external styles. Whereas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males in hierarchical and internal styl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ineering students' thinking styles by gender. Male engineering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in judicial and monarchic styles. Whereas female engineering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hierarchical styl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o apply thinking styles to develop related courses as well as programs for engineering students.

한국과 프랑스의 현장 실습 중심의 공학 교육 운영에 관한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Field Training Coursework for Engineering Education - Comparison Korea with France)

  • 김현아;홍철호;김병삼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5-18
    • /
    • 2007
  • 현장 실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큰 주체는 공학교육과 관련된 학과임에도 불구하고, 공학교육의 주체들은 실제 시행 시 제반 문제점들을 이유로 현장실습의 필요성과 교육적 기대효과(성취동기 유발)의 중요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프랑스의 현장실습의 수행제도를 비교 연구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순환형 현장실습 제도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 하고자 한다. 또한 실무능력에 맞는 단계적 기본 모형을 몇 가지 기본 단계로 제시하여 산업 현장에서 재교육 기간을 단축하여 현장으로 투입 될 수 있는 적응력을 갖춘 우수한 인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현실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우수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현장실습 체계를 마련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3가지 개선을 위한 실천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 순황형 시스템에 맞는 기본 실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Program Outcomes Based on Capstone Design Course)

  • 이희원;김성환;박근;김정엽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3-151
    • /
    • 2010
  • 본 논문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구 서울산업대학교) 기계설계자동화공학부에서 16년간의 캡스톤디자인 운영경험과 개선을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 사례에 대해 서술하였다. 우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과 관련된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소개하였고, 평가 방법 및 항목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2008년도의 학습성과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분석한 후 개선 전략을 수립하였다. 전략으로서 학생들에게 심사 기준과 모범사례를 온라인상에 미리 공개하였고, 그 결과 2009년도에는 전반적으로 약 3.3% 개선된 학습성과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코스 임베디드 평가 개념 측면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타당성, 효율성, 내실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건축공학CAD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ducation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AD Using Blended Learning)

  • 장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6-432
    • /
    • 2012
  • 건축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건축물을 그림과 기호로 표현하는 것은 자신의 의견을 글이나 발표로 표현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CAD (computer aided design)는 건축물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 관련 전공에서는 거의 개설된 과목이다. 건축공학교육인증(KEC2005)에서도 시각표현적인 과목으로 기초과목으로 요구하고 있어서 CAD를 인증교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다. J대학교 건축공학전공의 건축제도및CAD 수업은 2학점 4시수로 편제되어 있다. 4시간의 수업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실습수업이므로 다른 과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본 연구는 부족한 수업시수를 보완하고 학생-교수 사이의 피드백을 활성화하기 위해 오프라인(off-line)과 온라인(on-line) 수업을 결합하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하고 그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블렌디드 러닝을 위해 온라인에 수업 카페를 개설하고 과제를 제출함으로써 학생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었으며, 교수도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피드백을 제공하고 활성화할 수 장점을 확인하였다.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The Need Analysis for Development of the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gineering Female Students)

  • 한지영;한승우;김영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130-142
    • /
    • 2010
  • 본 연구는 공과대학 여학생들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방향과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공과대학의 교육환경 및 여학생들의 심리적 기제, 그리고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인천시 소재 I 대학교의 공과대학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5.0 버전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 ANOVA 검증, 교차분석 등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진보적인 성인지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직장내 성역할에 대해 남학생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공과대학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특히 리더십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여학생들은 전공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는 정도가 남학생들에 비해 낮았고 전공분야 업무에 대한 자신감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교의 여학생들을 위한 행정서비스에 대해 남학생들보다 높은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와 같은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해당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