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ed Analysis for Development of the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for Engineering Female Students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 Han, Ji-Young (Accreditation Board for Education, University of Seoul) ;
  • Han, Seung-Wo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Kim, Young-Suk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한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교육인증원) ;
  • 한승우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
  • 김영석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0.04.10
  • Accepted : 2010.08.0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Demands on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for female students in college of engineering in university level make this study be launched and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educational environments, psychological mechanism of female students and current status of convention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were provided. The related survey with 97 students in a university in Incheon was also conducte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SPSS Window's 15.0 version were adopted and applied to analyze data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ddressed that female students appeared higher interests in gender recognition than male students do. This result was also proved by statistical analysis. Additional differential finding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were gender roles and leaderships in classes, employment to the field of specialization and so on.

본 연구는 공과대학 여학생들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방향과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공과대학의 교육환경 및 여학생들의 심리적 기제, 그리고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인천시 소재 I 대학교의 공과대학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5.0 버전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 ANOVA 검증, 교차분석 등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진보적인 성인지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직장내 성역할에 대해 남학생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공과대학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특히 리더십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여학생들은 전공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는 정도가 남학생들에 비해 낮았고 전공분야 업무에 대한 자신감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교의 여학생들을 위한 행정서비스에 대해 남학생들보다 높은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와 같은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해당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익. 김소영(2008).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지원사 업의 성과; 2차년도(2007년도) 성과를 중심으로. 공학교육, 15(3): 29-36.
  2. 김분한. 김정아(2005). 여대생의 취업에 대한 태도와 취업 준비 실태; 일 대학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39-51.
  3. 김지현(2007). 국내 여성 화학공학 인력의 활용 현황. 화학공학기술정보지, 25(2): 114-119.
  4. 도승이. 오명숙(2008). 여학생 공학교육이란 무엇인가? 공학교육, 15(3): 21-28.
  5. 박지은. 김지현. 정윤경. 오명숙(2009). 해외 여성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9-95.
  6. 연세대 여성연구소(2001). 여성 career 개발과 대학교육. 개교 55주년 기념 심포지움 자료집.
  7. 오명숙(2007). 여학생 공학교육의 장벽 및 프로그램 개발.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5(3): 250-255.
  8. 정윤경. 오명숙. 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9. 최순자. 김영순(2009).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사업의 성과 분석 및 확산 방안에 대한 연구. (사)한국여성공학 기술인협회.
  10. 하경자. 문전옥. 김임숙. 이병준. 문소정(2002). 부산대학교 여학생 취업률제고 특별교육프로그램 개발. 여성학 연구, 12(1): 1-74.
  11. 교육통계서비스. http://std.kedi.re.kr/index.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