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Guidance Progra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2초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진로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of Re-employment of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 이성희;원종욱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2호
    • /
    • pp.139-159
    • /
    • 2004
  • 10년 이상 장기복무한 후 제대한 군인의 사회에서 재취업률은 최근 들어 연평균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으로 향후 군비축소에 따른 국방인력 감축까지 고려한다면 제대군인의 실업문제는 매우 우려할 수준에 와 있다. 본 연구는 장기복무 제대군인들의 전역 후 취업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후 계량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봉급생활을 선택한 집단에 비해 자영업을 선택한 집단이 배우자의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활동을 포기한 계층은 군복무 기간이 더 길고 계급도 높으며, 질병이나 장애가 있는 경우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복무 기간이 길수록, 직업보도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제대 후 첫 직장탐색 기간이 단축되는 반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장 오래 복무한 지역이 서울 지역인 사람이 여타 지역 근무자에 비해 직장탐색 기간이 길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간호학생의 진로 및 취업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Process of the Nursing Students Decision-making for Their Course and Job)

  • 추수경;전은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80-295
    • /
    • 1998
  • This study examines attitudes among nursing student, attitudes that give direction in life and effect the decision-making process when seeking employment. The exigency of which derives from the need to design a proper guidance program to assist students in their search for employment. Data was collected from a survey conducted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25, 1995, the respondants of which were 120 nursing students without jobs. The data was analyzed by examin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Chi-square, one-way ANOVA and t-test through an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student's academic major and employment(So responded 84.3% of the subjects with only 2.5% claiming that his major didn't matter). 2) Students believe that 'good jobs' are secured through aptitude. 'Good jobs' are seen as ones which develop an individuals abilities and which offer the opportunity for advancement. However they do not believe that 'good Jobs' contribute to society 3) Students have not been supplied the proper guidance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finding employment. The student's life research institude, professor and assistants provid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counseling. Personal goals are decisive factors in determining what direction a student may take as well as the kind of employment he will seek. However, advice from parents, siblings, friends, alumni, professors, assistants and counselors is also considered. 4) Students do not think it reasonable to base their career decisions on one factor only(33.9% responded that aptitude and personal interes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14.9% that income was the key determinant). 5) Location and size of the hospital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a job. There is a preference for larger hospitals. 6) A lack of stability and few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are perceived as the primary reasons for the possibility of leaving one's job.

  • PDF

미용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Cosmetology Students Occupation Decision and Job Hunting Behavior)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to cosmetology stud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Overall 214 par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final samples. Collected data and statistical processing are based on SPSS v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21.0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 showed that employment anxiety (β= .206, p<.05), job anxiety(β=.824, p<.05), and anxiety in career search(β=.118, p<.05)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However, employment concerns(β=-.312, p<.001) in career determination and employment concerns(β=-.223, p<.01) in career sear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und that employment anxiety(β=.364, p<.05)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use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 affects employment anxiety(β=-.188, p<.01). The study found that the more anxious cosmetology students are about employment, the more they plan and explore career options, and make information-based preparations for employment.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re will be lively discussions among cosmetology students on career adaptability,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anxiety.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아동 건강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건강교육 요구도 조사 (Health Knowledge, Health-Guidance Execution and Health-Education Needs of Parents of Preschoolers)

  • 서현미;전미양;최나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7-218
    • /
    • 2009
  • Purpose: In an attempt to develop a parental health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hildren, survey questions were devised to measured the extent of parental health knowledge, health-guidance execution and needs. Method: Participants were 727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J province informed consent was provided prior to participation. Result: Respondents were overwhelmingly (91.6%) mothers. Questions with high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were "What should I do if my child swallows harmful drugs, bleach or detergents?" (98.1%) and "What should I do if insects or other bugs enter my child's ear?" (96.6%). In most cases, parental health-guidance execution exceeded 90% except in response to the survey question "Does your child have a dental check-up every 6 months" (51%). Taken together, parental education is necessary concerning growth and development (12.8%), nutrition (12.1%), healthy life styles (10.3%) and general health issues (10.0%). Conclusions: Parental health knowledge about preschooler's health varies with degree of income, education and type of employment. Consideration of these variables is important in a par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유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18-729
    • /
    • 2009
  • 본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생활지도와 취업지도에 효율적인 관리지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계열 간에는 스트레스요인이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보건계열은 소망대처를 비보건계열은 정서완화 대처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왔다. 정신건강에서 강박증은 보건계열이 공포와 적대감은 비보건 계열이 높음을 나타냈다. 적극적 대처는 편집증과 부적관계를, 소극적 대처는 많은 정신건강 하부구조와 정적관계를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적절하지 못했을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 측과 교수는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학교생활과 취업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사려 된다.

A Study on the Employment Predictive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 Jun-Su Kim;Woo-Hong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1-2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패키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 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나 교육대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근로 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Working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김경범;이주현;최효진;최민재;권영대;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18-327
    • /
    • 2014
  • 청년층의 취업 경쟁은 점차 심화되어 졸업유예, 취업단념과 같은 청년실업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개인의 취업 준비 노력이 근로 참여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어떠한 변수가 취업준비 동기를 촉발하는지를 반복측정 자료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주관하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YP) YP2007의 3~5차 연도인 2009~2011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최종 연구에 적용한 대상은 남성 3,481명, 여성 3,770명이었으며, 분석을 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s) 방법을 이용한 패널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교육적 요인과 인구경제적 요인을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직업교육 및 훈련 여부, 진로지도 상담 유무, 직업체험 프로그램 참가 여부, 신규 자격증 취득 여부, 성별, 연령, 가구 총소득의 변동은 취업준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개인의 취업 준비 노력이 근로 참여 양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으며, 각 요인 간 영향력의 정도를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청년실업 문제는 청년층의 근로참여 동기와 같은 보다 근본적인 관점에서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NCS기반 음료자격증교육만족도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NCS-based Beverage Certificate Education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정원;심홍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7-45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음료자격증교육만족도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호텔관광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5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0부 중 27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교육과정', '담당교수', '자격증의 효용성', '자격증 유형', '교수만족도', '전공교수'의 항목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호텔관광계열학과에서 음료자격증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위의 항목을 우선시 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음료자격증은 취업준비와 전공만족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학생지도에 있어 전략으로 활용하여 학과의 만족도와 취업률 향상에 일조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체육계열 4학년 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Graduating Senio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53-460
    • /
    • 2017
  • 이 연구는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취업준비행동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을 되짚어 전략적인 취업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조사 기초분석보고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경기, 서울,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체육계열학과 1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평균 t-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들은 교내 취업프로그램에 낮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과 적성검사에만 50% 정도의 참여경험을 나타냈다. 대학교육과 진로관련 지원에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취업시설과 복지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공과 관련한 국가전문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에는 실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학과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취업준비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농촌구조개선을 위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 (The Roles of Rural Extension for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Rural Korea)

  • 임상봉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권1호
    • /
    • pp.71-79
    • /
    • 1995
  • The rural extension in Korea faces transient period since Green Revolution. The urban-centered rapid industrialization policies have initiated the changes in rural and agricultural sector. Nowadays,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newly established by the agreement of the Uruguay Round (UR), is accelerating the changes in rural areas. The rural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 established in 1990, in order to cope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encompassing rural Korea. The rural structure adjustment program is a political responses to reduce the development gaps among industries and regions within the country and to reinforc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toward trade liberaliza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contents and principles of the rural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 for the extension education. It argues that the rural extension should play a pivotal role to gather, process, and deliv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ural structural adjustment initiating rapid rural social changes. It suggests that the rural extension services should deal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through introducing business management techniques and linking relevant laborers, and the education and employment guidance of potential employees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assistance on farm management to farm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