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ployment service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16초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and Related Employment Opportunity Estim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94-711
    • /
    • 2016
  • 본 연구는 경제전반의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보이는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하위 업종별 고용기회의 변화를 분석한다. 특히 우리나라 20-30대 청년층이 선호하는 전문직서비스업 중 고용분포가 높은 업종인 출판업, 정보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입지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고용분포의 변화를 예측한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지식서비스업과 하위 3개 업종별 입지계수(LQ)를 산출하고, LISA 분석을 통해 집중분포지역을 파악한다. 또한 지식서비스업과 하위 3개 업종별 입지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파악하고, 마르코프 체인 모형(Markov Chain Model)의 확률과정을 적용하여 고용분포지역의 변화를 단기예측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의 일부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분포를 보이고 있는 세 업종별 특성에 따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에 차이가 나타났고, 업종에 따라 지역별 고용분포의 재분산에도 공간적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식서비스업종은 청년층의 고용분포가 가장 높지만 동시에 인력부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별 구인-구직과정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청년실업 문제를 완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청년층의 지역별 고용률에 대한 통계정보 서비스 분석 (The Analysis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or Regional Employment-Population Rate of Young Man in Korea)

  • 박종태
    • 서비스연구
    • /
    • 제3권1호
    • /
    • pp.75-8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청년층의 고용통계 내용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은 각 지역별 비교분석을 위주로 실시한 결과는 중앙정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 조직에서 차별화된 정책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서 매우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큰 틀에서의 정책은 물론 각 단위 조직의 세부적인 정책에서의 적용 효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16개 시 도 지역을 기준으로 수도권을 비롯하여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5개 지역을 분류하고, 이들 지역에 대한 전체 연령층 및 청년층의 고용률을 도출한 다음, 전체 연령층에 대한 청년층 고용률의 상대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세부적으로 각 지역별로 비교분석한 것이다. 비교분석한 결과, 전체 연령층의 고용률은 모든 지역이 시간적인 추이에 변화가 없는 반면에, 청년층 고용률은 모든 지역에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과 충청권은 최근에 다소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층 고용률의 상대비율에 대해서도 청년 고용률 통계와 마찬가지로 거의 유사한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Demand for Labor)

  • 홍효진;홍필기;이영수
    • 정보화정책
    • /
    • 제17권4호
    • /
    • pp.44-60
    • /
    • 2010
  •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IT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총 6년간 국내의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498개 기업을 대상으로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부 서비스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IT투자가 노동수요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는 증가하나,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은 작아 IT투자는 저(低)숙련 노동과는 대체관계에 있고 고(高)숙련 노동과는 보완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 가스 및 건설업 역시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의 경우, 생산자 서비스업에서만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였으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통 서비스업과 사회 서비스업에서는 IT투자와 노동수요 간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IT 업계 고용 창출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SFs for Employment in IT Industry)

  • 성태경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33-1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조경제의 중심 산업인 IT 업계에서 정보기술의 활용이 고용 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기업의 전략 및 정보기술의 활용과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그리고 기업의 전략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고용 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데 있다. 187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창조경제 산업계에서 정보기술은 효율, 위협, 기능, 공격, 그리고 통합 모든 차원에서 경쟁력을 제공하여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의 전략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고용 창출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는 각 전략에 따라 그 효과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명되어, 경영 전략 수립 과정에서 정보기술의 활용 특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치과기공사의 양성(養成) 및 취업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f the Training and Employment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in Korea)

  • 성환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1
    • /
    • 1983
  • In order to ascertain the aspects of the dental technicians training system which require improvement, and also to provide important data for use in setting up dental technicians manpower planning, our country's dental technicians training and employment status has been studied and analyzed. The objects of the survey are 1896896 dental and Social Affairs from 1965 to 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ducation organs for dental technicians are education system such as health junior college and service training systems. About 965 dental technicians have come from the service training systems and 931 technicians have come from health junior college in our country. 2. Total number of employment of dental technicians employed in our country are 820, and 292 of them are engaged in Seoul, So unbalanced employment of dental technicians will be troubled in a future. 3. All registrated to government are 1,896 till 1982 and 820 of them engaged are that is, we can suppose about employment of dental technicians in a future, 3,746 dental technicians will registrate to Health and Social Administration an 1992, and 1,482 of them will be able to take their job in Korea.

  • PDF

The Impact of Robotics on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Service Sector, with Special Reference to Health Care

  • Qureshi, Mohammed Owais;Syed, Rumaiya Sajja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4호
    • /
    • pp.198-202
    • /
    • 2014
  • Background: The economy is being lifted by the new concept of robotics, but we cannot be sure of all the possible benefits. At this early stage, it therefore becomes important to find out the possible benefits/limitations associated with robotics, so that the positives can be capitalized, established, and developed further for the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health care sector, for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The negatives should also be further studied and mitigated. Method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based on secondary data, such as books on topics related to robotics, websites, public websites of concerned departments for data and statistics, journals, newspapers and magazines, websites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different printed materials (brochures, etc). Results: The impact of robotics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the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retail sector. So far, there has been no substantial research done into robotics, especially in the health care sector. Conclusion: Replacing employees with robots is an inevitable choice for organizations in the service sector, more so in the health care sector because of the challenging and sometimes unhealthy working environments, but,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propose that it should be done in a manner that helps in improving the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is sector.

공공부문에서 고용구조의 최적화 : 호주 고용계획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Optimising Workforce Structure in Public Sector : the System Dynamics of Employment Planning in Australia)

  • 윤영곤;윤경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6
    • /
    • 2017
  • 본 논문은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화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피드백 모델을 통해 고용 시뮬레이션의 특징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고 직위, 근무기간, 계급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적정한 고용 인원을 제시하는 3차원 논리적 판단구조를 제공한다. 호주 육군의 고용정책에 대해 보다 신축적인 고용시스템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통해 국방부의 변화가 심한 정책에 대한 안정적 고용 적정선을 파악한다. 특히 생산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필요한 고용 패턴 및 외부 인력의 고용, 내부인력의 타 조직으로 이동 등 다양한 가능성을 분석한다.

통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The Spill-over Effect of the Production and Investment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Industry)

  • 김성환;강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97-105
    • /
    • 2008
  • This paper tries to measure the spill-over effect of the production and investment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industry (hereafter telecommunication industry), using the most recent data of 2003 input-output t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dustries which have the biggest spill-over effect from the production of telecommunication industry is miscellaneous business service (including the sale commission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other engineering services (including royalty), and business consumption. Second, the production of telecommunication industry induces more value-added, and less production, less import, and less employment than related industries such as radio and television equipment, 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equipment, and computer and peripheral equipment. Third, while the investment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amounts to 15% of its production, the effect of the investment on production, value-added, consumption, and employment reaches 70% of that of its production.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contributes to overall economy mainly through its investment.

  • PDF

Is Job Insecurity Worse for Mental Health Than Having a Part-time Job in Canada?

  • Kim, Il-Ho;Choi, Cyu-Chul;Urbanoski, Karen;Park, Jungwee;Kim, Jim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2호
    • /
    • pp.110-118
    • /
    • 2021
  • Objectives: A growing number of people depend on flexible employment, characterized by outsider employment status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synergistic effect of employment status (full-time vs. part-time)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on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s: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2 Canadian Community Health Survey-Mental Health of 12 640 of Canada's labor force population, aged 20 to 74. By combining employment status with perceived job insecurity, we formed four employment categories: full-time secure, full-time insecure, part-time secure, and part-time insecure. Results: Results showed no synergistic health effect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full-time vs. part-time), insecure employ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four flexible employment status showed a gender-contingent effect on this link in only full-time insecure category. Men workers with full-time insecure job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major depressive disorders than their women counterparts. Conclusions: This study's findings imply that perceived job insecurity may be a critical factor for develop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both men and women workers.

구직자의 취업스펙이 실제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선별이론 및 이중노동시장이론을 중심으로 (The Differentiating Effects of Job Seekers' Spec on Actual Employment: Focusing on Screening Hypothesis and Dual Labor Market Theory)

  • 박지성;옥지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24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ob seekers' spec influence their actual employment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fferentiating effects of applicants' specs depending on whether general or decent job employ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on 54,443 samples that incorporated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for three years (2017-2019)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linear probability model and logit model 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Findings -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most job seekers' spe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employment status. Interesting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predicting employment for a general job and a decent job. This study sugges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selection/ recruitment field by clarifying the critical factors to influence applicants' employme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the screening hypothesis which explains that the applicants' spec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actual employment. Also, the dual labor market theory, which explains that applicants' specs differently affect actual employment between general and decent jobs, was reaf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