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distribution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5초

Input-Output Analysis on the Economic Effect of the Korean Traditional Retail Market Supporting Project

  • Kim, Woo-Hyoung;Ryu, Tae-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7호
    • /
    • pp.5-17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an economic effect on the project that Korean government supported for the 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using an input-output model. From 2002 to 2013, the government provided 180.8 billion won for a Management Modernization Project and 2.851 trillion won for a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for 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inter-industry analysis by matching industri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arket Project for the measurement, and calculated the ripple effect of each project. Result - The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from 2002 to 2012, the Management Modernization Project and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showed a 296.1 billion won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a 158.7 billion won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and a 3,135-person effect on employment inducement in total. From 2002 to 2013,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showed a 6.948 trillion won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a 2.1109 trillion won effect on value-added inducement, and 40,209-person of effect on employment inducement in total.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d an empirical demonstration of a clear effect of the governmental support to traditional markets on developing regional econom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and presented that there were a considerable amount of an economic effect by region due to governmental policy support to traditional markets.

제 6기(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19-39세 한국 성인의 취업과 치주질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and occupation among Korean adults aged 19-39 according to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김한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31-641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ith a focus on employment statu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aged 19-39 yea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3,178 adults who complete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related questionnaires, and an oral examination. Socioeconomic, demographic,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data were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factor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and the related variabl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educational level, income, marital status, smoking status, prevalence of periodontitis, number of dental check-ups in a year, and unmet dental car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ults. Howeve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not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periodontal disea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oral health, time available for dental treatment, smoking cessation, and use of floss.

외환위기 전후 청년 코호트의 노동경력 비교 (The Change of Work Careers in Youth Cohort pre and post-the Economic Crisis-)

  • 문혜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01-226
    • /
    • 2013
  • 외환위기 이후 청년실업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으나, 청년층의 노동시장 경험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경력을 단순한 일자리 이동과 달리 노동지위의 연속적 배열과 순서적이고 위계적인 변화과정으로 개념화하였으며, 배열분석을 활용하여 외환위기 전후 청년층의 노동경력을 노동지위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이 장기화되고 고용형태와 사업장 규모 면에서 첫 일자리의 질적 저하가 발생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청년 코호트는 미취업형과 실업형, 비대기업형, 비정규직형 및 이동형 특성을 갖는 경력유형에 속할 상대적 위험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청년층의 고용불안정성이 더 커졌으며, 내부노동시장형에 비해 외부노동시장형 경력유형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 PDF

청년자기고용(self-employment) 특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t and Activation Methods: Young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최기성;김윤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17-233
    • /
    • 2022
  • 본 연구는 청년들의 자기고용 특성과 인식 그리고 자기고용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그간 이뤄진 자기고용에 대한 논의와 종사자 규모를 검토하고, 서울과 경기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실태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자기고용 청년의 특성, 결정요인 그리고 애로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시된 활성화 방안은 먼저, 정부, 지자체, 학교 모두가 청년 취업 문제 해결을 위해 적성과 역량에 기반하여 아이디어 개발, 제작, 판매 등의 실무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자기고용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을 증진시키면서 실현 가능성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기술기반 창업에 대한 지원에 비해 지식, 제조, 유통 분야의 경우 지원을 받고 싶어도 적합한 프로그램이 없으며 청년층 대다수가 종사하고 있는 프리랜서에 대한 지원은 거의 전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청년층이 지닌 다양성이 자기고용에서도 발현될 수 있도록 IT에 편중된 지원사업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기업가 정신이 자기고용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기업가 정신이 무엇인지 잘 모르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교육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창조적 아이디어와 실행력을 갖춘 청년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문화적 토대 마련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ODA 프로젝트를 활용한 글로벌 창업/취업 지원 모델 (A Study on the Global Start-ups/Employment Support Model Using ODA Projects)

  • 정무섭;정진섭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0호
    • /
    • pp.67-79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l that supports the recipient country by using the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fits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support of donor country with CSV business model. Specifically, we wan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ject based on the existing ODA proje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s the methodology, case studies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as well as literature studies. The case analysis is based on a press release of the entire KOICA's ODA project,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one year, based on 2017. After consideration, the actual results and future feasibility were analyz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nior Korean officials and Indian officials involved in Vietnam's ODA project. Results - As a result, some of the project cases appl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is study were judged to be highly potenti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s the model derived from this study pursues, the global business model is developed under the CSV (Creating Shared Value) strategy through ODA projects to support recipient countries and global start-up/employment support of donor country.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ly pursuing this model based on CSV business model was also confirmed. Conclusions - In the past, free aid agencies like KOICA focused solely on supporting recipient countries, but in terms of sustainability, they could discover the potential of supporting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of the donor country using CSV business model in ODA project.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otential possibilities in some ODA projects based on CSV business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KOICA ODA projects in 2017 and interviews, some ODA project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cipient country as well as the global start-up/employment of the donor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to promote ODA projects to understand the framework that achieves these two objectives simultaneously and to promote ODA projects based on various strategic considerations.

Impacts of Innovative EU Companies on Smaller Emerging Markets under an Open Economy

  • Seo, Dae-S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0호
    • /
    • pp.37-45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nds in innovative EU industries and market distribution in smaller emerging markets under an open econom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lthough innovation was well-distributed, due to socio-economic factors following European integration, CEE had not achieve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However,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among changes in CEE innovation for smaller emerging markets dominated since 2000. Market distribution has facilitated new markets for innovative industries, according to EU surveys and economic indicators. Results - The dominance of the local industrial market distribution has deterred innovation investment the survey shows that innovation investment has been shrinking, despite the EU's open innovation policy for CEE employment and R&D. For the CEE case, there were expectation gaps and uncertainty about whether to use the new distribution dominance or TNCs' innovation in smaller emerging countries without local industrial innovation. Conclusions - Innovation generates market growth and distribution power however, small growth requires stimulation, and creativity and innovative edge need further focus in local public and corporate strategy.

종사상 지위분류에 따른 산업분포변화: 부산, 1994~2004 (The Change of Industrial Distribution Pattern by Worker Status Classification : Busan, 1994~2004)

  • 강인주;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1-121
    • /
    • 2007
  • 도시산업구조의 진단과 예측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계획수립을 위한 주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의 산업관련 도시공간구조 연구들은 주로 도시산업체 자료나 총 종사자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유형별 공간분포의 측정에 집중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비정규직 문제를 포함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가 중요한 이슈가 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읍면동 단위의 1994년 및 2004년 종사상 지위별 자료를 수집하고 동 변화자료를 기반으로 공간분석 단위를 일치시킨 후 GIS를 활용하여 종사상 지위분류체계 자료를 활용한 도시산업구조의 질적 변화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GIS환경에서 부산시 산업구조의 종사상지위 유형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 한계에 부딪히고, 서비스업 및 도소매업은 영세한 생계형으로 진행되어 부산의 고용흡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통계상으로는 종사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비정규직과 비임금 노동자가 급증하면서 부산지역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도심지는 쇠퇴하는 반면 신도시나 신흥공업단지가 형성된 지역,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 일자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발전의 근간이 되는 산업구조의 행태적 패턴 뿐 아니라 종사상지위라는 질적 평가를 통한 장기적 차원의 산업발전계획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PDF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and Related Employment Opportunity Estim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94-711
    • /
    • 2016
  • 본 연구는 경제전반의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보이는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하위 업종별 고용기회의 변화를 분석한다. 특히 우리나라 20-30대 청년층이 선호하는 전문직서비스업 중 고용분포가 높은 업종인 출판업, 정보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입지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고용분포의 변화를 예측한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지식서비스업과 하위 3개 업종별 입지계수(LQ)를 산출하고, LISA 분석을 통해 집중분포지역을 파악한다. 또한 지식서비스업과 하위 3개 업종별 입지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파악하고, 마르코프 체인 모형(Markov Chain Model)의 확률과정을 적용하여 고용분포지역의 변화를 단기예측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의 일부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분포를 보이고 있는 세 업종별 특성에 따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에 차이가 나타났고, 업종에 따라 지역별 고용분포의 재분산에도 공간적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식서비스업종은 청년층의 고용분포가 가장 높지만 동시에 인력부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별 구인-구직과정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청년실업 문제를 완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직업구조의 변화와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 (Change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Distribution in Korea)

  • 박소현;이금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01-42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한 산업화과정 이후 후기산업화와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과정과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사회경제적 격동기를 거쳐 온 지난 30여 년간 한국의 직업구조 및 직업분포에 나타나는 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구조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직업구조의 제속성인 취업인구의 사회-인구통계적 특성과 직업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 특히,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별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크기와 성격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직업구조는 사회구조 및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른 속도로 산업구조가 고도화된 반면 전문직과 단순직으로의 이원화가 강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취업인구의 사회-인구통계적 속성과 직업과의 대응관계에서 차원1의 비정칙값을 통해 본 직업과의 관계는 산업, 성/학력, 지역(시군구), 성/연령 속성 순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출산율 저하, 인구고령화,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 등으로 취업인구의 구성에 큰 변화가 예견되는 우리사회에서 국가적 차원의 인력의 수급대비 및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고용정책의 방향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농협 연쇄점의 물류체계와 판매활동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by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and Sales Activitie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Chain Stores in Korea)

  • 韓柱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8-277
    • /
    • 2001
  • 농협 연쇄점을 정보화로 인한 商的 유통의 합리화와 재고 집약형 대규모 물류센터의 다극화로 물적 유통 의 집약화가 이루어져 유통의 효율성을 높였고, 수송도 외부수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용품과 농산물의 배송방식은 각각 루트배송과 정시 일괄배송으로 상품의 특성에 따라 그 배송권이 형성되었다. 한편 상품 판매활동에 의한 공간적 특성은 답작농업의 발달과 서비스업 취업 정도에 따라 판매 상품류의 구성이 결정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일상생왈 상품인 가공 식품류와 잡화류는 농협 연쇄점이 입지한 지역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판매된다는 점이 규명되었다.

  • PDF